|
 |
|
|
|
▲ 청주시 예산에 대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회의가 26일 청주시의회 특별위원회실에서 열린 가운데 증인으로 출석한 이태만 자치행정과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
|
청주시 재정난 원인 조사를 위해 구성된 시의회 예산조사특위의 활동이 증인출석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지리한 공방만 반복되고 있다. 특히 의원들이 전임 단체장에 의해 조직적인 예산부풀리기가 이뤄졌다고 단정 짓고, 이를 시인토록 공무원들에게 강압적 자세로 일관하자 '정치특감'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지리한 공방전
시의회 '예산에 대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는 26일 특별위원회실에서 6차 회의를 갖고 2010년도 예산 책정 당시 예산 및 세정 업무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출석시키는 등 강수를 펼쳤다. 하지만 이전 회의와 마찬가지로 지리한 공방전만 이어졌다.
정우철 의원은 "2010년 당초 560억 원이었던 순세계잉여금이 아무런 근거 없이 770억 원으로 증액됐다"며 "특히 이 과정에서 재정경제국장과 세정과장의 결재가 없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육미선 의원은 "일련의 과정이 국·과장 결재 없이 실무선에만 이뤄진 사안이라면 청주시재무회계규칙에 위배되는 사항으로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순세계잉여금의 증액편성은 관례에 따라 최근 3년간의 평균액을 기준으로 이뤄졌으며, 이는 예산·세정 실무자간 협의를 통해 결정된 것"이라고 반박한 뒤 "다만 담당 국·과장의 서면결재가 이뤄지지 않은 부분은 잘못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반쪽 증인출석
이날 회의는 당초 출석요구된 7명의 증인 가운데 남봉익 전 기획행정국장(퇴임), 여주회 흥덕구청장(전 재정경제국장), 이태만 자치행정과장(전 세정과장), 오병근 세정과 세정담당 등 4명만이 참석한 채 진행됐다. 나머지 이충근 국장(전 복지환경국장), 반재홍 충북도 식품의약품안전과장(전 기획예산과장), 김의 봉명1동장(전 기획예산과 예산담당) 등 3명은 일신상의 이유로 참석을 거부했다.
그나마 참석한 증인들과의 질의도 기존 의혹제기 수준에 머물자 증인출석을 통해 예산부풀리기 의혹을 밝혀내겠다던 예산조사특위의 의지가 단순 '의욕'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예산조사특위는 오는 3월 11일까지 예정된 특위 활동 기간중 불참한 증인이 출석할 때까지 지속 요구하는 한편 끝까지 거부할 경우 지방자치법 41조 5항 등에 의거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또한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
 |
|
▲ 청주시의회 행정사무조사 예산특별위원인 정우철(왼쪽), 윤송현 의원이 증인으로 출석한 공무원들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강압적 조사 빈축
예산조사특위 활동이 지속되면서 청내에서는 의원들의 지나친 강압적 자세가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의혹 규명 보다는 전임 단체장에 의해 조직적인 예산부풀리기가 이뤄졌다고 단정하고, 공무원들의 해명은 모두 거짓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 심지어 민간인 신분의 전 공무원에게도 마치 취조하는 듯한 자세로 일관하자, 일종의 정치적 목적을 둔 '정치특감'이라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 공무원은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자리라고는 하지만 마치 어린애 혼내듯 하거나 인격모독성 발언까지 서슴지 않는 것은 도가 지나치다"며 "본인들이 원하는 답변만을 강요하는데 무슨 말이 통할 수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일방적인 자료요구와 장기간 지속된 특위 활동에 업무에 적잖은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며 "만약 특위 활동 결과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역풍을 면키 힘들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