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5일 한나라당 대전시당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을 위한 한나라당 충청권 당협위원장 회의가 열려 박성효 최고위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여당인 한나라당 소속 당협위원장들이 대통령을 상대로 공약 이행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향후 정부 여당에 대한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성효 최고위원과 강창희 전 최고위원을 비롯한 대전·충남·충북 당협위원장 17명은 이날 한나라당 대전시당에서 회의를 열고,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핵심 공약이자 한나라당의 총선 공약인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조속한 확정을 위해 공동 노력할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미 충청권이 과학벨트 거점도시로 최적지라는 검토 결과를 발표한 만큼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유치해 과학강국의 포석을 마련하고, 21세기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약속의 이행 없이는 내년 대선과 총선을 기대할 수 없다”라며 “지역의 모든 정당들은 당리당략에 입각한 정치공세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한나라당 충청권 당협 위원장들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와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집권당의 당직자로서 직을 걸고 결연히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박성효 최고위원은 인사말에서 “(과학벨트가 충청권 입지가) 대통령 공약사항이지만, 특별법에 지역 명기가 없어 지자체들이 유치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충청인의 우려와 걱정이 많다”라며 “신뢰 차원에서 대통령 공약은 반드시 지켜줘야 한다는 근본적인 가치는 물론, 국가 미래를 위한 당위성과 정책 일관성을 보더라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는 합당하다”고 강조했다.
윤석만 대전시당 위원장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는 대선 공약인 동시에 지난 총선 공약이었다”라며 “어느 누구도 충청권이 최적의 입지라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못 박았다.
김호연 충남도당 위원장은 “정부는 수 차례에 걸쳐 실시한 용역에서 과학벨트의 최적지가 충청권이고 나온 결과를 무시해선 안 되고, 입지 선정을 공모가 아닌 지정 방식으로 하겠다던 주무 장관의 약속도 이행돼야 한다”라며 “(정부는) 이런 사실에 입각해 과학벨트를 조속히 추진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논란을 불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창희 전 최고위원은 “어느 방향을 가야 할 지 정하기 어려울 때는 초심으로 돌아가면 된다. 당초 계획대로 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고 부작용이 없다”라면서 “초심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할 때의 공약이며, 바꿔서는 안 된다”고 피력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발표한 결의문과 충청지역의 민심을 조만간 정부와 청와대에 전달하는 한편, 박 최고위원은 26일로 예정된 최고위원 회의 자리에 결의 내용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박 최고위원과 강 전 최고위원(대전 중구 당협위원장)을 비롯해 △윤석만 대전시당 위원장(대전 동구당협위원장) △한기온(서갑) △나경수(서을) △송병대(유성) △김호연 충남도당 위원장(충남 천안을) △박종인(천안갑) △김장환(공주·연기) △김태흠(보령·서천) △김영갑(논산·금산·계룡) △허영일(서산·태안) △이규용(홍성·예산) △김동완(당진) △ 윤경식 충북도당 위원장(충북 청주 흥덕갑) △송태영(청주 흥덕을) △어성균(청원)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