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충남지역이 오는 2023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4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2006년 전남과 경북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중 3번째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충남지역은 오는 2023년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반면 2006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대전지역은 오는 2022년에 고령사회로, 2028년경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고령화 진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차지하는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상황이다.
한은은 이 같은 지역 인구고령화의 원인으로 출산율 저하, 기대수명 연장, 청년층 인구유출 등을 꼽았다.
2009년 현재 대전·충남지역 출산율은 대전이 1.16명, 충남은 1.41명으로 지난 1997년(대전 1.58, 충남 1.67)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이는 결혼연령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결혼 이후에도 양육부담 증가 및 고용 불안정, 자녀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자녀를 덜 낳는 분위기가 지역까지 확산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의료기술 발달 및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기대수명이 올해 79.6세까지 늘어나 노인 비중이 커지고 있는 데다 지역 청년층(20∼29세)이 지난 1995년 이후 대전은 연평균 3000명, 충남은 7000명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며 지역인구 고령화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구고령화가 지속될 경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평균 근로연령이 상승해 지역 성장잠재력이 약화될 뿐 아니라 현역세대의 인구 부양부담이 증가하는 등 지역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근거로 OECD는 2010~2011년 4.0%에 이르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2012~2025년에는 2.4%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한은은 이같은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지역 내 청년층이 선호하는 유망 일자리를 창출해 청년층의 외부지역 유출을 억제하고, 여성 및 고령인력의 고용 확대, 출산율 제고 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4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2006년 전남과 경북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중 3번째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충남지역은 오는 2023년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반면 2006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대전지역은 오는 2022년에 고령사회로, 2028년경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고령화 진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65세 이상)가 차지하는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상황이다.
한은은 이 같은 지역 인구고령화의 원인으로 출산율 저하, 기대수명 연장, 청년층 인구유출 등을 꼽았다.
2009년 현재 대전·충남지역 출산율은 대전이 1.16명, 충남은 1.41명으로 지난 1997년(대전 1.58, 충남 1.67)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이는 결혼연령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결혼 이후에도 양육부담 증가 및 고용 불안정, 자녀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자녀를 덜 낳는 분위기가 지역까지 확산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의료기술 발달 및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기대수명이 올해 79.6세까지 늘어나 노인 비중이 커지고 있는 데다 지역 청년층(20∼29세)이 지난 1995년 이후 대전은 연평균 3000명, 충남은 7000명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며 지역인구 고령화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구고령화가 지속될 경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평균 근로연령이 상승해 지역 성장잠재력이 약화될 뿐 아니라 현역세대의 인구 부양부담이 증가하는 등 지역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근거로 OECD는 2010~2011년 4.0%에 이르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2012~2025년에는 2.4%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한은은 이같은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지역 내 청년층이 선호하는 유망 일자리를 창출해 청년층의 외부지역 유출을 억제하고, 여성 및 고령인력의 고용 확대, 출산율 제고 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