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올해 말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모두 종료함에 따라 내포문화권 개발사업의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나섰다.
도는 1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포문화권 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에 관한 용역을 추진하고, 도청이전 내포 신도시 개발과 연계키로 했다고 발표하는 등 내포권 개발사업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는 도가 추진해온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올해 말 마감됨에 따라 내포문화권으로 지정된 ‘특정지역’의 규모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균형 개발 및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광역단체는 ‘특정지역 개발’에 있어 관할 구역면적의 30%를 초과할 수 없도록 명시됐다.
현재 도의 ‘특정지역 개발’ 규모는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도 전체 면적의 19%인 1620㎢를 차지하고 있다 보니 내포문화권 개발사업(11%·955㎢)에 대해선 적극적인 문화자원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내포문화권 개발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해 왔으나 지난해까지 사업 진행률이 12%에 머무는 등 저조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도는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마감되는 시점에 기존의 내포문화권 개발사업 ‘특정지역’을 30% 범위내로 확대할 수 있도록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전반적 구상에 착수했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충남발전연구원에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용역을 의뢰해 당초 사업에서 제외됐던 신규사업 발굴·반영 및 불합리한 사업에 대한 조정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향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또 내년에 모든 용역을 완료해 국토해양부에 제출,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승인을 받아 본격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충남도 조직개편안에 내포권 T/F팀을 구성해 내포문화권 개발사업을 적극 활성화 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2012년 도청이전 신청사(내포신도시)가 설립함에 따라 주변 문화유적 정비 등 핵심사업을 가시화 한다는 구상이다.
도 관계자는 “내포문화권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이 승인되면 그동안 저조했던 개발사업에 총력을 기울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도는 1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포문화권 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에 관한 용역을 추진하고, 도청이전 내포 신도시 개발과 연계키로 했다고 발표하는 등 내포권 개발사업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는 도가 추진해온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올해 말 마감됨에 따라 내포문화권으로 지정된 ‘특정지역’의 규모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균형 개발 및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광역단체는 ‘특정지역 개발’에 있어 관할 구역면적의 30%를 초과할 수 없도록 명시됐다.
현재 도의 ‘특정지역 개발’ 규모는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도 전체 면적의 19%인 1620㎢를 차지하고 있다 보니 내포문화권 개발사업(11%·955㎢)에 대해선 적극적인 문화자원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내포문화권 개발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해 왔으나 지난해까지 사업 진행률이 12%에 머무는 등 저조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도는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이 마감되는 시점에 기존의 내포문화권 개발사업 ‘특정지역’을 30% 범위내로 확대할 수 있도록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전반적 구상에 착수했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충남발전연구원에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용역을 의뢰해 당초 사업에서 제외됐던 신규사업 발굴·반영 및 불합리한 사업에 대한 조정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향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또 내년에 모든 용역을 완료해 국토해양부에 제출,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승인을 받아 본격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충남도 조직개편안에 내포권 T/F팀을 구성해 내포문화권 개발사업을 적극 활성화 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2012년 도청이전 신청사(내포신도시)가 설립함에 따라 주변 문화유적 정비 등 핵심사업을 가시화 한다는 구상이다.
도 관계자는 “내포문화권 ‘특정지역 개발계획 변경’이 승인되면 그동안 저조했던 개발사업에 총력을 기울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