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어린이공원 상당수가 관리부실로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게다가 이들 공원은 불법투기된 쓰레기와 각종 음란 그림, 퇴폐적인 내용의 글 등이 그대로 방치된 채 어린이공원이라는 이름을 무색케할 지경이다.
11일 대전지역 5개자치구 어린이 공원현황 등에 따르면 동구 21개소, 중구 29개소, 서구 71개소, 유성구 67개소, 대덕구 47개소 등 모두 235 개소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 내근 직원 3~4명이 일반 생활공원까지 수십 여개의 공원을 현장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제대로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물론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이 공원관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소소한 쓰레기 제거작업에 그치고 있고, 관할구청의 확인·점검작업 조차 미흡해 안전사고 위험은 가중되고 있다.
실제 11일 본보 취재진이 찾은 중구 석교동 소재 범골 어린이공원은 녹슬은 채 모서리가 솟아 있는 철재 담벼락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고, 미끄럼틀에는 음란 그림부터 퇴폐적이 내용이 담긴 글이 방치돼 있는 등 관리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미끄럼틀 주위에 겹겹이 뭉쳐있는 정체불명의 철조망이 나뒹굴고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크다.
수돗가에서는 식수 사용불가 지하수가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안내문은 성인 키 높이에 맞춰져 있고, 그나마 5m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돼 있어 어린이들이 숙지하기에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대덕구 송촌동에 소재한 학댕이 어린이공원의 경우도 모서리가 날카로운 합판, 깨진병 등 생활쓰레기들이 공원입구 등을 메우고 있고, 미끄럼틀 주변에는 담배꽁초를 비롯, 깨진 소주병까지 확인되기도 했다.
5살 난 아들을 두고 있는 김 모(39·중구 석교동) 씨는 “공원 곳곳에 방치된 위험물을 비롯해 퇴폐적 내용의 글이나 그림 등을 직접 제거해보기도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또 다시 똑같은 상황이 된다”며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만큼 관할구청에서 정기적으로 세심한 부분까지 관리·점검을 실시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반면 관리주체인 관할구청들은 인력부족 등을 이유로 더 이상의 관리·점검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나름대로 어린이공원을 돌며 점검을 하고 있는 등 어린이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내근을 병행하며 수십 여개의 공원을 관리하다 보니 힘든점이 많다”며 “주민민원 시 현장을 방문하는 것 외에는 담당직원들이 수시로 공원을 점검하기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게다가 이들 공원은 불법투기된 쓰레기와 각종 음란 그림, 퇴폐적인 내용의 글 등이 그대로 방치된 채 어린이공원이라는 이름을 무색케할 지경이다.
11일 대전지역 5개자치구 어린이 공원현황 등에 따르면 동구 21개소, 중구 29개소, 서구 71개소, 유성구 67개소, 대덕구 47개소 등 모두 235 개소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 내근 직원 3~4명이 일반 생활공원까지 수십 여개의 공원을 현장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제대로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물론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이 공원관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소소한 쓰레기 제거작업에 그치고 있고, 관할구청의 확인·점검작업 조차 미흡해 안전사고 위험은 가중되고 있다.
실제 11일 본보 취재진이 찾은 중구 석교동 소재 범골 어린이공원은 녹슬은 채 모서리가 솟아 있는 철재 담벼락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고, 미끄럼틀에는 음란 그림부터 퇴폐적이 내용이 담긴 글이 방치돼 있는 등 관리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미끄럼틀 주위에 겹겹이 뭉쳐있는 정체불명의 철조망이 나뒹굴고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크다.
수돗가에서는 식수 사용불가 지하수가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안내문은 성인 키 높이에 맞춰져 있고, 그나마 5m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돼 있어 어린이들이 숙지하기에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대덕구 송촌동에 소재한 학댕이 어린이공원의 경우도 모서리가 날카로운 합판, 깨진병 등 생활쓰레기들이 공원입구 등을 메우고 있고, 미끄럼틀 주변에는 담배꽁초를 비롯, 깨진 소주병까지 확인되기도 했다.
5살 난 아들을 두고 있는 김 모(39·중구 석교동) 씨는 “공원 곳곳에 방치된 위험물을 비롯해 퇴폐적 내용의 글이나 그림 등을 직접 제거해보기도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또 다시 똑같은 상황이 된다”며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만큼 관할구청에서 정기적으로 세심한 부분까지 관리·점검을 실시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반면 관리주체인 관할구청들은 인력부족 등을 이유로 더 이상의 관리·점검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나름대로 어린이공원을 돌며 점검을 하고 있는 등 어린이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내근을 병행하며 수십 여개의 공원을 관리하다 보니 힘든점이 많다”며 “주민민원 시 현장을 방문하는 것 외에는 담당직원들이 수시로 공원을 점검하기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