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가 민선으로 바뀌면서 단체장의 '일방적 행정' 또는 표를 의식한 '선심성 행정'으로 인한 주민혈세 낭비 사례가 적지 않다.
이에 충청투데이는 민선5기 출범에 맞춰 충북도내 민선 단체장들의 대표 예산낭비 사례의 현주소를 집중 조명해본다. /편집자
7년여의 오랜 논란 끝에 청주의 대표 명소 중 하나인 '가로수길'이 지난 4월 확장 개통됐다.
그러나 더 나아진 모습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새로운 단체장을 맞이할 때마다 계획이 변경되더니 결국 가로수길 원형은 훼손되고, 도로기능마저 악화되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지난 1999년 시는 청주의 관문에 위치한 탓에 교통량이 많아 상습정체 구간으로 지적돼오던 기존 4차선의 가로수길을 8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나무 63%가 훼손되고 교통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는 지적이 나오자 10여 차례 이상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지난 2005년말(한대수 전 시장 재임시절) 기존의 가로수길을 원형그대로 보존하는 시행안으로 변경됐다.
이 안은 기존 가로수길을 녹도화(공원화)해 보존하는 한편 양쪽 3차로를 각각 신설해 도로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민선4기 출범 후 남상우 전 시장이 안전성 등을 문제삼아 재검토를 지시, 또다시 논란 끝에 기존 4차로를 재포장해 활용하고 양쪽에 각각 1차로를 신설하는 한편 인도변을 녹도화하는 방안으로 거듭 변경됐다.
당시 환경단체 등으로부터 거센 반발이 있었으나 남 전 시장의 강행 의지에 시는 지난 2008년 가로수길 평면계획을 최종변경하고 총사업비 507억 원을 들여 올해 4월 공사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준공된지 3개월 여가 지난 현재 가로수길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견해 일색이다.
도로 밖에 도로를 만들다보니 도로 선형 변경을 위해 27그루의 나무를 이식하다보니 일부 가로수 훼손이 발생했다.
또 도로기능 향상을 위해 신설한 양쪽 1차로는 이용률이 떨어져 기존 4차로의 정체현상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기존 차로와 신설 차로가 분리대로 나뉘어 있어 중간중간 연결지점을 만들다 보니 길에 익숙지 않은 운전자들로 인한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가로수길을 명소화하겠다고 양쪽에 만든 녹도를 이용하는 시민들도 찾아보기 힘들다는 게 인근 주민들의 전언이다.
이와 관련 일부 시 공무원들조차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며 고개를 휘저을 정도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도로기능 향상이라는 당초 계획도, 가로수 보호라는 바람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 '바보 도로'가 돼 버렸다"며 "500억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단체장 한 명의 고집으로 고스란히 버려지게 된 셈"이라고 꼬집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이에 충청투데이는 민선5기 출범에 맞춰 충북도내 민선 단체장들의 대표 예산낭비 사례의 현주소를 집중 조명해본다. /편집자
![]() |
||
▲ 지난 4월 확장 개통된 청주 가로수 길이 확장 후에도 상습정체 현상을 보이며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시민들과 운전자들에게 불만을 사고 있다. 사진은 강서초등학교 앞 가로수 길의 모습이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그러나 더 나아진 모습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새로운 단체장을 맞이할 때마다 계획이 변경되더니 결국 가로수길 원형은 훼손되고, 도로기능마저 악화되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지난 1999년 시는 청주의 관문에 위치한 탓에 교통량이 많아 상습정체 구간으로 지적돼오던 기존 4차선의 가로수길을 8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나무 63%가 훼손되고 교통수요가 과다 예측됐다는 지적이 나오자 10여 차례 이상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지난 2005년말(한대수 전 시장 재임시절) 기존의 가로수길을 원형그대로 보존하는 시행안으로 변경됐다.
이 안은 기존 가로수길을 녹도화(공원화)해 보존하는 한편 양쪽 3차로를 각각 신설해 도로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민선4기 출범 후 남상우 전 시장이 안전성 등을 문제삼아 재검토를 지시, 또다시 논란 끝에 기존 4차로를 재포장해 활용하고 양쪽에 각각 1차로를 신설하는 한편 인도변을 녹도화하는 방안으로 거듭 변경됐다.
당시 환경단체 등으로부터 거센 반발이 있었으나 남 전 시장의 강행 의지에 시는 지난 2008년 가로수길 평면계획을 최종변경하고 총사업비 507억 원을 들여 올해 4월 공사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준공된지 3개월 여가 지난 현재 가로수길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견해 일색이다.
도로 밖에 도로를 만들다보니 도로 선형 변경을 위해 27그루의 나무를 이식하다보니 일부 가로수 훼손이 발생했다.
또 도로기능 향상을 위해 신설한 양쪽 1차로는 이용률이 떨어져 기존 4차로의 정체현상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기존 차로와 신설 차로가 분리대로 나뉘어 있어 중간중간 연결지점을 만들다 보니 길에 익숙지 않은 운전자들로 인한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가로수길을 명소화하겠다고 양쪽에 만든 녹도를 이용하는 시민들도 찾아보기 힘들다는 게 인근 주민들의 전언이다.
이와 관련 일부 시 공무원들조차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며 고개를 휘저을 정도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도로기능 향상이라는 당초 계획도, 가로수 보호라는 바람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 '바보 도로'가 돼 버렸다"며 "500억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단체장 한 명의 고집으로 고스란히 버려지게 된 셈"이라고 꼬집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