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인 ‘영포(영일·포항 출신 공직자 모임) 게이트’를 놓고 국정조사권 발동을 제안하며, 연일 여권을 압박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특히 영포게이트 ‘몸통’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은 이를 ‘정치적 공세’로 규정하며, 맞대응하고 있다.
민주당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6일 “박영준 국무차장, 이영호 청와대 고용노동비서관, 이인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의 삼각 커넥션 고리가 어떤 실체적 진실을 갖고 있는지 밝혀내는 것이 몸통의 진상을 밝혀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유선호 의원(전남 장흥 강진 영암)도 “몸통이 박영준 차장인지 박 차장이 모신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인지, 그것도 아니면 이영호 비서관과 수차례 독대한 대통령인지 밝혀져야 한다”며 “청와대와 정부, 한나라당이 영포회가 이번 사건과 관련없다고 강변한다면 국정조사를 즉각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
조영택 원내대변인 역시 “이인규 지원관과 이영호 비서관 외에도 공직윤리지원관실의 김충곤 1팀장과 진경락 기획총괄과장 역시 포항 출신”이라며 “포항 출신이 주동하고 핵심 멤버가 돼 조직한 윤리지원관실이 공안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찰 비선조직으로 운영되지 않았나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민간인 사찰은 잘못된 일이라면서도 민주당의 공세를 구시대적 정치행태로 몰아세웠다.
한나라당 조해진 대변인은 이날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에서 민간인을 사찰한 것은 명백하게 잘못된 일이고 그에 대해서는 검찰이 철저한 수사를 해서 위법성을 밝혀내고 엄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도 “야당이 이 사건을 특정지역 출신 공무원 친목모임에 연결해서 권력형 비리로 몰아가는 것은 정부의 국정운영을 흔들어서 7·28 재보선에 이용하려고 하는 정략적인 의도가 있다. 의혹을 부풀리면서 특검과 국정조사 요구를 남발하는 것은 이제는 그만둬야할 구시대적인 정치 방식”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과 관련, "총리실 조사가 다 끝난 것으로 생각하지 말라. 더 조사할 게 있으면 할테니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총리실을 항의방문한 민주당 ‘영포 게이트 진상조사위’(위원장 신 건) 소속 의원들과 면담을 갖고 “이번 사건을 인지한 지 10일 정도 됐는데, 진실을 은폐한다거나 국민을 속이려는 의도는 정말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국가기관이 개인을 조사한 일이 분명히 잘못됐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검찰 수사를 일단 믿어보면 어떻겠냐. 자료 요구에 대해서는 아는 범위 내에서 다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또 “공직윤리지원관실 조직에 대해 다시 한번 점검하고 조직의 업무 매뉴얼이 제대로 됐는지 살펴보고 나서 조직을 민주적으로 변화시킬 생각”이라고 밝혔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민주당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6일 “박영준 국무차장, 이영호 청와대 고용노동비서관, 이인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의 삼각 커넥션 고리가 어떤 실체적 진실을 갖고 있는지 밝혀내는 것이 몸통의 진상을 밝혀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유선호 의원(전남 장흥 강진 영암)도 “몸통이 박영준 차장인지 박 차장이 모신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인지, 그것도 아니면 이영호 비서관과 수차례 독대한 대통령인지 밝혀져야 한다”며 “청와대와 정부, 한나라당이 영포회가 이번 사건과 관련없다고 강변한다면 국정조사를 즉각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
조영택 원내대변인 역시 “이인규 지원관과 이영호 비서관 외에도 공직윤리지원관실의 김충곤 1팀장과 진경락 기획총괄과장 역시 포항 출신”이라며 “포항 출신이 주동하고 핵심 멤버가 돼 조직한 윤리지원관실이 공안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찰 비선조직으로 운영되지 않았나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민간인 사찰은 잘못된 일이라면서도 민주당의 공세를 구시대적 정치행태로 몰아세웠다.
한나라당 조해진 대변인은 이날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에서 민간인을 사찰한 것은 명백하게 잘못된 일이고 그에 대해서는 검찰이 철저한 수사를 해서 위법성을 밝혀내고 엄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도 “야당이 이 사건을 특정지역 출신 공무원 친목모임에 연결해서 권력형 비리로 몰아가는 것은 정부의 국정운영을 흔들어서 7·28 재보선에 이용하려고 하는 정략적인 의도가 있다. 의혹을 부풀리면서 특검과 국정조사 요구를 남발하는 것은 이제는 그만둬야할 구시대적인 정치 방식”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과 관련, "총리실 조사가 다 끝난 것으로 생각하지 말라. 더 조사할 게 있으면 할테니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총리실을 항의방문한 민주당 ‘영포 게이트 진상조사위’(위원장 신 건) 소속 의원들과 면담을 갖고 “이번 사건을 인지한 지 10일 정도 됐는데, 진실을 은폐한다거나 국민을 속이려는 의도는 정말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국가기관이 개인을 조사한 일이 분명히 잘못됐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검찰 수사를 일단 믿어보면 어떻겠냐. 자료 요구에 대해서는 아는 범위 내에서 다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또 “공직윤리지원관실 조직에 대해 다시 한번 점검하고 조직의 업무 매뉴얼이 제대로 됐는지 살펴보고 나서 조직을 민주적으로 변화시킬 생각”이라고 밝혔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