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구가 신탄진 봄꽃축제를 폐지한 데 대해 축제 부활을 촉구하거나, 대덕구청장의 일방통행식 행정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신탄진 봄꽃축제의 직접적인 참여자이자 수혜자인 시민들은 폭넓은 의견수렴 없는 축제폐지의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축제폐지 방침을 철회할 것을 강력 촉구하고 있다.

대전시의회 오태진 의원(대덕3), 대덕구의회 조용태·성욱제·김금자 의원 등은 31일 시청 기자실에서 “대덕구는 신탄진 봄꽃축제 민간이양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면서 “KT&G 역시, 신탄진 봄꽃축제 행사장 개방시간 단축방침을 철회하고 대운동장을 개방하는 등 행사 운영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대덕구와 KT&G는 신탄진 봄꽃축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행사장 교통과 안전대책, 방문객 편의시설 설치 등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이 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는다면 (대덕구와 KT&G는) 축제를 사랑하는 모든 시민들의 준엄한 심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지난해 6월 (대덕구가) 감사원의 ‘유사축제 통폐합 권고’ 이후 신탄진 봄꽃축제를 폐지하고 이를 민간 위탁키로 결정하고도, 관련예산을 한 푼도 반영하지 않는 등 추진의지가 전혀 없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KT&G 또한 대덕구의 축제폐지 통보를 이유로 행사장 개방시간을 단축하고 대운동장을 개방하지 않는 등 비협조적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이 같은 행태는 축제 개최를 바라는 시민들의 염원을 저버리는 처사로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면서 “시민에게 사랑받는 축제를 외면하는 대덕구청과 KT&G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대덕구 관계자는 “(신탄진 봄꽃축제로 인해) 인근 주민과 상서·평촌공단 기업체 관계자들이 수년째 심각한 교통체증을 호소하고 있다”며 “특히 기존 음식업소의 매출저하, 무질서한 호객행위, 생활쓰레기 증가 등 오히려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한다는 주민들의 뜻을 받아들여 축제를 폐지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 충남, 충북지역에 8개의 자율형 공립고가 추가로 지정됐다.

31일 대전·충남·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대전의 경우 충남고와 노은고, 대전여고 등 3개교, 충남은 천안업성고, 덕산고, 강경고 등 3개교, 충북은 청주고, 충주 예성여고 등 2개교가 이번에 자율형공립고로 추가 선정돼 내년 3월부터 5년 간 운영된다.

이들 학교들은 최근 관할 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교과부에서 학교운영계획서, 교육과정과 입학전형 계획, 서면 평가, 학교장 제안설명 등을 심사한 뒤 최종 선정됐다.

대전의 경우 기존 중구 1개교, 대덕구 1개교, 동구 1개교와 함께 유성구, 서구 지역에 위치한 학교가 선정됨으로써 지역간 균형적 발전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평준화 지역인 청주고의 경우 선 지원 후 추첨 방식으로 선발하게 되며, 비평준화 지역인 충주예성여고는 학교 자율적으로 선발하게 된다. 단, 필기고사는 볼 수 없다.

이로써 대전은 6개교, 충남 5개교가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됐으며 충북은 3개교로 늘었다.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된 학교는 교장 공모제 및 교사 초빙제를 실시할 수 있으며, 교과용 도서, 수업일수, 수업연한 등 교육과정 자율성이 확대된다. 또 5년동안 교당 연간 2억 원의 교육과정 개발비, 교원연수비 등 학교운영비가 지원된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청권 미분양주택이 23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세수요의 매매전환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 충청권 미분양주택 감소세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31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지난 2월 전국 미분양주택현황 자료에 따르면 충청권 미분양주택은 총 1만 3478호로 전달 1만 4100호에 비해 622호가 감소했다.

특히 대전지역 지난 2월 미분양주택은 1847호로 전달 2068호보다 221호가 줄어 10.7%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광주에 이어 2번째 높은 감소율로 최근 대전지역에 불고 있는 부동산 훈풍이 미분양주택 소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충남 미분양주택은 지난 2월 8477호로 전달(8750호)보다 3.1%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충북 역시 지난 2월 3154호의 미분양주택을 기록한 가운데 전달(3282호)보다 3.9% 감소했다.

악성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도 대전은 한달새 51호가 팔려나가는 등 미분양 해소에 탄력이 붙고 있다.

그러나 충남·북지역의 준공후 미분양은 한달새 각각 212호, 557호씩 늘어나 충청권 가운데 대전의 부동산시장 회복속도가 가장 빠름을 보여주고 있다.

전국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8만 588호로 전달(8만 4923가구)에 비해 5.1%(4335가구)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1479호 줄어든 2만 7417호로 집계됐으며, 지방은 2856호 감소한 5만 3171호를 기록하는 등 전국적으로는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해양부 국토해양통계누리(http://stat.mltm.go.kr)와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1월  2월  감소율
대전  2068호  1847호  221호(10.7%)
충남  8750호  8477호  273호(3.1%)
충북  3282호  3154호  128호(3.9%)
 1만 4100호  1만 3478호  622호(4.4%)

<충청권 미분양 주택현황>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지역 일부 입시, 외국어 학원 등이 교육청에 신고한 수강료보다 최고 4배 가량 비싸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부와 동부지역의 수강료가 최고 2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31일 대전주부교실에 따르면 3월 7일부터 21일 입시종합학원 66개소, 외국어(영어)학원 37개소 등 103개소를 대상으로 학원수강료 실태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입시학원 월 수강료 조사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청 수리기준 수강료(20시간 기준)는 6만 6000원이지만 수강료가 가장 비싼 서부의 경우 25만 원, 동부는 12만 2000원을 받아 각각 3.8배, 1.9배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기준액은 7만 7000원으로, 서부 실 수강료 최고가는 28만 원(3.6배)선, 동부는 16만 2000원(2.1배)까지 받고 있으며, 고등학교는 기준액 10만 3000원에 서부 3.4배, 동부는 2.7배 높게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학생 대상 영어 학원의 경우 교육청에 신고한 수리기준액을 수강료와 비교했을때 서부는 61.8%(6만 3667원), 동부는 16.5%(1만 7000원)높게 받았고, 서부가 동부보다 4만 6667원 비쌌다.

외국인 수업은 서부가 교육청 수리기준액보다 23.1%(4만 385원)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내·외국인 수업학원은 서부 10.3%(2만 5667원), 동부 0.5%(667원)가격차이를, 동·서부 간 가격차이는 서부가 2만 5000원이 높았다.

중학생 대상 영어학원의 경우 내국인 수업은 서부 89.8%(9만 2489원), 동부 96.4%(9만 9247원) 높게 받았고, 동·서부 가격차이는 동부가 서부보다 6758원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내·외국인 수업학원은 동·서부 모두 수리기준액 보다 24.1%(3만 4000원)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학원 월 수강료 최고가 조사결과 동·서부 학원 모두 수리 기준액을 지키지 않았으며, 중학교 내국인 수업은 동·서부 모두 96.4%~89.8%로 교육청 수리기준액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강료를 제외한 추가비용의 경우 입시학원은 89.4%, 외국어학원 86.5%가 교재비를 별도로 받고 있었고, 매달 3~4만원을 받는 곳도 상당수였다. 이와함께 80개(77.7%)학원의 수강료 납부시 현금, 신용카드, 현금 영수증이 가능했고 현금, 신용카드가 가능한 곳은 23개(22.3%)였다.

현금으로만 수강료를 받는 곳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학원은 현금 결제 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학원비를 할인해주는 등 현금결제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부교실 관계자는 “투명한 학원수강료 정착을 위해 선택사항으로 돼 있는 학원 수강료 인터넷 공개와 현금영수증 발급을 서둘러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부모들의 민원으로 현장 조사를 펼치고 있지만 학원비를 수리금액보다 높게 받고 있는 학원은 드물다”며 “주부교실의 조사방법·기준이 교육청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다른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는 제13대 정무부시장에 이종기(62) 전 한국교통방송 대전본부장을 내정했다.

이 내정자는 대전 동구 산내 출신으로 보문고와 충남대 법대를 졸업한 뒤 경찰 간부후보생 25기로 경찰에 입문, 충남 예산·공주경찰서장과 대전 중부경찰서장 등을 거쳤으며, 특히 대전·충남지역 경찰로는 처음으로 경무관에 진급했다.

이후 충북·충남지방경찰청 차장과 한국교통방송 대전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합리적이고 부드러운 리더십을 바탕으로 뛰어난 업무추진력이 최대 강점으로 손꼽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높은 사료값에 쇠고기 판매 부진이 이어지면서 직거래를 시도하는 한우농가가 늘고 있다.

이들 농가는 낮아진 농가수취가격에 사료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울며 겨자먹기’식의 직거래를 통해 수익을 내야하는 상황에 빠졌다.

31일 농협중앙회 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30일 기준 한우 지육 경매가격은 ㎏당 1만 2863원, 농가수취가격은 600㎏ 당 460만 8000원으로 전월보다 각각 966원, 34만 6000원 낮아졌다.

전년동월과 대비하면 그 격차는 더욱 크게 벌어진다. 지난해 3월 한우 지육 경매가격은 ㎏당 1만 7190원, 농가수취가격은 615만 7000원으로 1년새 경매가와 농가수취가격은 25%나 줄어들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사료값까지 오르며 한우농가들 사이에서는 더 이상 우시장이 열리기 만을 기다릴 수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우 농가들은 한우전문식당 등에 직거래를 시도하는 것은 물론 싼 값에 송아지를 넘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충북 청원에서 소 1600여 두를 사육하는 한 농민은 “더 이상 지켜보기만 할 수 없어 직접 식당들을 돌며 우리 소를 사달라고 광고하고 다니는 상황”이라며 “이 경우 경매가격보다 낮은 값을 쳐주는 경우가 많지만 (소를) 그냥 가지고 있으면 오히려 더 손해가 날까봐 직거래라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우시장 폐쇄 여파로 송아지 가격이 형성되지 않아 농민들은 결국 헐값에 송아지를 넘겨야 하는 상황이다.

지역의 한 한우농가는 “구제역 이전만 해도 4~5개월 된 암송아지가 마리 당 250만 원씩 했는데 지금은 10~12개월 된 송아지도 150만~2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며 “1년 새 수천만 원의 손해를 보고 있지만 사료값이 올라 그냥 키우기도 어려운 실정이라 어쩔 수 없이 내다 팔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의 해법은 한우고기 판매 촉진이 급선무지만 소비자가격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한국물가협회 자료에 따르면 30일 기준 대전지역 한우등심 500g 소매가격은 3만 7000원으로 전주보다 1000원 낮아졌다.

4만 2500원까지 올랐던 지난 2월에 비하면 5000원 이상 낮아진 수치지만 한우농가들은 여전히 소비자들이 찾을만큼 낮은 가격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 한 축산농민은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물론 동네 정육점 가격이 여전히 고가대를 형성하고 있어 판매량이 높지 않다는 얘기만 듣고 있다”며 “이는 어떻게든 소를 팔고자 하는 농민들이 턱없이 낮은 값을 부르는 유통업체들에게 싼 값에 소를 넘기지만 유통업체들이 가격을 내리지 않는 탓”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지금은 생체 소값이든 소비자가격이든 유통업체가 부르는 게 값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역 저축은행 당혹

2011. 4. 1. 00:54 from 알짜뉴스
     저축은행 BIS비율(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과대산정 문제가 잇따라 불거지면서 1년 이상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지 않은 저축은행들이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들 저축은행은 대전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이후 업계가 안정화로 접어든 시점에 BIS비율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BIS비율이 높아 우량저축은행으로 분류되던 곳들이 BIS비율 과대산정 지적을 받은 것과 관련, 자신들도 안심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실제 지난 2009년 11월 금감원의 검사를 받았다는 한 저축은행은 최근 BIS비율 산정 기준에 문제되는 부분은 없다고 자부하면서도 불안한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자본건전성 분류기준을 파악해 본 결과, 우리 저축은행은 금감원의 규정을 위배한 사안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금감원 검사가 나올 경우 우리가 판단한 부분과 상충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역시 최근 불거진 두 저축은행의 BIS비율 과대산정에 대해 당혹감을 표출했다.

이 저축은행 관계자는 “그 동안 BIS비율을 높게 공시했던 저축은행들이 BIS비율 감소했다는 언론보도에 당황했다”며 “우리 은행도 혹시 금감원 검사와 관련해 지적 사항으로 나올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체크하는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반면 금감원의 검사에 자신있다는 저축은행도 있었다.

A저축은행은 지난 2009년 7월을 끝으로 금감원 검사를 받지 않았지만 그 동안 건전한 경영을 해왔다고 자부했다.

A 저축은행 관계자는 "BIS비율과 관련해 우리는 그 동안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를 지양함은 물론 규정에 맞는 대손충당금 적립 등 보수적인 경영을 해왔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지난해 12월 금감원 검사를 받았다는 B 저축은행 역시 부실을 모두 해결한 뒤 안정적 운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감원 검사 결과 부실을 털어냈음에도 그 동안 언론에서 BIS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보도 돼 피해를 본 건 사실"이라며 "이미 금감원의 검사를 마쳐 현재는 튼실하게 영업하고 있기 때문에 올 1분기 경영공시에서 BIS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