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주 성안길 입구에 세워진 청주 읍성 표지석. 충청투데이 DB | ||
청주시는 천년고도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관광자원 개발로 도심활성화를 촉진한다는 취지에서 최근 청주도심의 청주읍성 복원사업에 착수했다.
한범덕 시장의 공약사업이기도 한 이 사업을 위해 시는 복원자료 축적 차원에서 올해 8000만 원을 들여 현재 도로로 사용되는 서문(청추문) 30m 구간에 대해 1차 발굴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이어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문이나 성곽 복원계획을 세우는 한편 시유지 등을 우선 복원한다는 구상이다. 상당수 문화예술인과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청주읍성 복원은 역사적 지속성을 잇는다는 점과 도시·건축 역사학적 의의를 되살린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복원현장이 지역최대 번화가인 점을 감안하면 읍성을 다 복원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일부 복원도 걸림돌이 산재해 있다.
당장 서문쪽은 시유지가 다수 포함돼 있어 건물철거와 토지매입에 따른 민원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일부 학계에서 지역의 상징성 제고를 위해 우선 복원해야 할 곳으로 지목되고 있는 북문쪽은 3.3㎡당 1000만 원을 호가하고 토지보상금과 대형건축물이 즐비한 번화가 중심이라 인근 상인들의 반발은 차치하더라도 재원조달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결국 상징적 의미를 위해 4대문만 복원하더라도 천문학적 예산 투입이 수반돼야 한다.
이와 함께 읍성 복원으로 재산상 불이익이 우려되는 인근 토지 소유주 및 상가 건물주 등의 거센 반발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장기적 관점에서 성안길 일원의 지나친 개발은 청주읍성 복원에 장애가 된다고 보고 이를 제한하기 위해 올해 추경을 통해 6억 원의 예산을 반영, '청주읍성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다.
그러나 가뜩이나 반복되는 상권변화로 각종 개발행위가 빈번한 곳인데 개발제한을 둘 경우 당장 재산상 불이익이 예상되다보니 용역 소식만 전해졌음에도 벌써부터 토지소유주와 상가 건물주들의 반발이 감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일부 학계와 시민사회단체의 요구에 의해 사업을 성급하게 추진할 게 아니라 각계각층을 아우르는 지역적 공감대 형성을 우선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막대한 예산이 수반되는 장기프로젝트인 만큼 완료 시점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섣불리 일부 재산상 제약만 발생할 경우 새로운 갈등만 양산하는 꼴이 될 수 있다는 것.
특히 실체도 없는 4대문 일부 복원이 가지는 의미가 제한적인 만큼 청주·청원통합 이후 청주동헌과 중앙공원, 철당간 등을 잇는 문화재 정비 이후 순차적으로 청주읍성 복원 작업도 시민공감대 속에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청주읍성 복원사업의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올해 일부 발굴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라며 "현재는 시장공약사업으로 기본계획만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발굴작업이 마무리돼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