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봄을 알리는 지역축제가 잇따르고 있고 열릴 예정인 가운데 지난 3년간 충북 도내에서는 수백 개의 각종 축제가 열려 지자체들이 수백억 원의 예산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 대부분은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지자체들이 축제를 계획하면서 중첩되거나 지역과 무관한 축제들을 남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공개한 충북 도내 축제현황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도내에서는 모두 153개의 축제가 열려 350억 원이 넘는 지자체 예산이 쓰였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충북에서는 모두 51개 축제가 도내 곳곳에서 열려 무려 127억 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갔다. 지난 2009년에는 50개의 축제에 110억 원이 넘는 예산이 쓰였고 2008년에도 52개의 축제에 120억 원이 넘는 예산이 사용됐다.
이는 도내에서만 한 달에 4번꼴로 축제가 열리는 것으로 월 10억 원가량의 지자체 예산이 축제에 쓰이는 셈이다.
문제는 지자체들이 축제를 계획하고 여는 과정에서 종류가 비슷한 축제를 남발한다는 데 있다. 지자체들이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축제에 심혈을 기울인다고는 하지만, 수요는 고려하지 않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가며 과도하게 축제를 벌이고 있다는 뜻이다.
일부에서는 지역 축제 종류 등이 겹치고 여전히 남발되는 이유에 대해 각 지자체들이 선거 등을 의식한 선심행정을 펼쳤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6·2지방선거가 있었던 2010년 각 지자체에서는 2009년 열리지 않았던 몇몇 축제가 새롭게 선보여지기도 했고 예산 또한 17억 원이나 증가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 한다.
정보공개센터 관계자는 “지역의 축제가 늘어나면 관광객도 그만큼 증가하고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있다”며 “하지만, 단체장들이 재임 기간 치적을 위해 즉흥적으로 축제를 급조하는 등 과도한 겹치기 행사와 선심성 성격이 짙은 지역의 축제는 철저한 사후 검증 등을 통해 예산 페널티 등의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