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4년 일제가 전북 군산을 식량수탈기지로 삼기 위해 불합리하게 설정한 해상경계로 인해 서천 어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장항항 인근에 만선의 꿈을 접은 소형어선들이 출어를 포기한 채 정박해 있다. 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의 불합리한 해상경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 자치단체 및 일부 언론 등이 이를 ‘충청도민의 이기주의’라고 폄훼하고 있어 서천 어민들의 분노심을 자극하고 있다.

특히 경술국치 100년을 맞아 일본인에 의해 잘못 설정된 해상경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전북 측에선 ‘충남도와 서천군이 해상경계를 둘러싼 영토확장 분쟁을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고 있다’며 “더이상 논의할 가치조차 없다”고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

이들은 또 전북에 소속된 연도, 개야도 등 옛 충남 도서(島嶼)를 반환 받으려면 충남으로 편입된 옛 금산 땅을 내놓으라는 터무니 없는 요구까지 내놓고 있어 해상경계 조정을 지역감정으로까지 비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서천과 군산의 불합리한 해상경계는 일제강점기인 1914년 일제가 군산을 식량수탈기지로 삼기 위해 조선총독부령에 의해 부당하게 설정한 만큼, 이들의 주장이야말로 외려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 금산군은 일제가 도계를 설정한 후 반세기가 지난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도, 군,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제1172호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전북도에서 충남도로 편입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앞서,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충남도 공주부(公州府)의 금산군과 진산군을 전북도로 편입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府)의 폐합으로 진산군을 병합해 현재의 금산군으로 칭하고 있다는 점에서 애초부터 금산은 충남 관할이다.

개야도 동고록, 조선왕조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호서읍지 등에 따르면 일제가 해상경계를 획정하기 이전에 이미 개야도, 연도, 12동파도가 모두 서천군 비인현에 속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난 것도 이 같은 지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때문에 서천 앞바다를 받는 대신 금산을 충남에 줬다는 전북 측의 교환설은 설득력이 없으며, 전북 측이 도리어 영토 분쟁을 촉발시키고 있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고시한 새만금 일부 지역의 군산시 관할 결정에 반발해 전북 김제시와 부안군이 결정 취소 소송을 제기하는 등 해상경계를 둘러싼 논쟁은 전북 도내에서조차 법정 다툼으로 비화된 상태다.

김제시와 부안군은 일제 강점기에 그어진 해상경계선을 기준으로 새로 조성된 새만금 구역을 군산시가 맡도록 한 결정은 부당하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김제시와 부안군은 앞으로 소송과 제반사항에 대해 공조하는 한편, 결정 취소를 위한 시민운동도 전개해 나갈 계획이어서 해상경계를 둘러싼 분쟁은 갈수록 더욱 첨예해 질 전망이다.

나소열 서천군수는 이와 관련 “잘못된 해상경계로 인해 지난 한세기 동안 서천군민이 겪어온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면서 “불합리한 도계를 바로잡는 것은 비단 서천군 만의 일이 아니라 국가적 현안이 됐다”고 강조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서천=노왕철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속보>=사행성게임장 업주와의 연루의혹을 받아왔던 홍동표(58) 전 청주흥덕경찰서장이 4600여만 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될 처지에 놓였다.

<본보 11월 23일자 3면 보도>청주지검은 2일 사행성 게임장 업주에게 단속정보를 제공하고 금품을 받은 혐의(뇌물수수) 등으로 홍 전 서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홍 전 서장은 지난해부터 올 초까지 청주흥덕서장으로 재직하면서 고향 선배인 김모(70) 씨에게 관할지역 내 게임장 단속정보를 제공한 뒤 4600여만 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다.

홍 전 서장은 검찰 조사에서 "김 씨로부터 단속정보제공 대가로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하다가 김 씨와의 대질심문이 이뤄지자 "대가성 없이 회식비 명목으로 100만 원씩 몇 차례 받은 적은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앞서 김 씨로부터 "홍 전 서장에게 4000여만 원의 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 홍 전 서장의 자택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이는 등 수사를 벌여왔다. 홍 전 서장에 대한 영장 발부 여부는 3일 오후 청주지법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결정된다.

앞서 김 씨는 홍 전 서장과의 친분을 과시한 뒤 "뒤를 봐주겠다"며 사행성 게임장 업주로부터 금품을 받아 챙긴 혐의(변호사법 위반)로 지난달 구속기소됐다.

또 단속정보를 주겠다며 사행성 게임장 업주 엄모 씨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1750만 원을 받은 김 씨의 동생과 이를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협박해 수천만 원을 뜯어내려 한 엄 씨도 구속기소돼 지난 10월 징역 6월에 추징금 1750만 원, 징역 10월을 각각 선고받았다.

이 사건과 관련해 청주흥덕서 소속 B 경사는 구속된 오락실 업주에게 수개월간 단속정보를 유출한 사실이 드러나 지난 8월 파면조치됐다. 하성진·고형석 기자 seongjin98@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겨울은 거침없이 교외를 덮쳤다. 차창 밖 풍경은 부여에 가까워질수록 갈필(渴筆)로 그려진 수묵화를 닮아갔다. 도심의 잠열 앞에서 머뭇거렸던 겨울은 외곽도로를 따라 교외로 몰려들어 세력을 키우고 있었다. 차에서 내리자 마른 잎을 떨군 빈 나뭇가지 사이로 바람소리가 스산했다. 바람은 북에서 남으로 하루살이처럼 떨어지는 낙엽을 쓸어갔다. 바야흐로 소멸의 계절이다.

무량사(無量寺)는 충남 부여군 외산면과 보령시 미산면 사이에 솟은 만수산(萬壽山) 남쪽 기슭의 고찰이다. 신라 문무왕대 범일(梵日)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나 문무왕은 7세기의 왕이고 범일은 9세기의 승려다. 혹자는 창건시기를 9세기 문성왕대로 잡으나 차령산맥 끝자락에서 유장한 세월로 다듬어진 늙은 산 만수산과 천년고찰 무량사 앞에서 세월의 오차는 부질없어 보였다. 그러한 부질없음을 오래 전부터 짐작했던 옛사람들은 만수산과 무량사를 따로 보지 않고 만수무량(萬壽無量)이라 불렀다.

후세사람들 또한 옛사람들의 예를 따라 그리 부르고 있으나 그 뜻까지 따르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후 고려 고종 때 중창된 무량사는 대웅전, 극락전, 천불전, 응진전, 명부전 등 불전과 더불어 30여동의 요사와 12개의 암자를 거느리며 그 위세를 자랑했으나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없어졌다. 현재의 무량사는 조선 인조 때 진묵선사에 의해 중수된 흔적이다.

매표소에서 벗어나면 일주문(一柱門)이다. 가지를 친 자리와 옹이를 다듬은 흔적이 없는 투박한 두 기둥위로 거대한 지붕이 걸터앉아 있다. 만수산무량사(萬壽山無量寺)라고 새겨진 편액의 글씨는 차우(此愚) 김찬균(1910~?)이 썼다. 속초 신흥사 사천왕문, 통영 미륵산 관음암 보광루, 여주 봉미산 신륵사 심검당 등 전국 각지의 사찰 편액에 글씨를 남긴 그는 주자서체(朱子書體)와 일체유심조(一切維心造)를 새긴 조그만 한반도 지형의 두인(頭印)으로 명성을 얻었다. 무량사 일주문 편액 우측 상단에도 그만의 독특한 두인이 남아있다. 전국 사찰을 돌며 많은 흔적을 남겼건만 그의 마지막 생은 물같이 바람같이 홀연해 알 길이 없다. 서예가보다는 거사(居士)가 어울렸던 인물인 듯 싶다.

 

   
▲ 겨울은 가장 먼저 산을 찾는다. 산기슭에 깃든 가람은 초겨울부터 선명한 겨울의 냄새를 풍긴다. 경내로 들어서면 가람을 휘감아 돌던 소슬바람이 사천왕문으로 들어서는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맨살을 스치는 찬바람은 죽비처럼 방문객들의 어깨를 스치며 정신을 깨운다.

◆사라졌지만 사라지지 않은 것들

경내로 들기 전 사천왕문 우측으로 당간지주(幢竿支柱)가 눈에 든다. 무량사 당간지주는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충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돼 있다. 별다른 꾸밈없이 소박해 무심코 지나쳐 사천왕문 안으로 들기 쉽다.

당간지주는 다른 불교 수용 국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삼한(三韓) 시대 소도(蘇塗) 신앙이 불교의 토착화 과정 중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당(幢)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사찰의 깃발을, 당간(幢竿)은 당을 매단 기둥을 가리킨다. 당간지주는 두 돌기둥으로 당을 매단 당간을 지탱했다.

한때 당연한 사찰의 격식이었던 당간은 고려 말 이후 점차 사라져갔다. 선종의 발현과 더불어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의 등쌀에 못이긴 수많은 사찰들이 평지에서 산기슭으로 숨어들었기 때문이다. 평지에서 사찰의 랜드 마크 역할을 해왔던 당간은 산비탈 위에서 그 시각적 효용성을 잃었다. 자연스러운 도태였다. 그렇게 당과 당간은 사라지고 당간지주만 덩그러니 남았다.

그러나 이 도태된 양식은 아이러니하게도 옛 가람보다도 오래남아 사지(寺址)를 증거하고 있다. 당간지주는 평지 가람에서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가람 주축선과 멀리 떨어져 있으며, 두 돌기둥의 방향은 가람 주축선과 평행하다. 산지 가람에서는 가람 주축선과 가까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두 돌기둥의 방향도 가람 주축선과 직각을 이룬다.

구릉지 가람에서는 평지 가람와 산지 가람의 특징들이 반반씩 나타난다. 이러한 당간지주의 공간적 특성은 폐사지 발굴 작업에 있어 가람 주축선의 위치와 방향을 유추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이제 더 이상 높은 바람에 펄럭이는 당은 없지만 후인들은 폐사지의 흔적을 폐사지보다 앞서 사라진 것들로 더듬는다. 그렇게 오래전 제 기능을 잃은 당간지주는 이끼와 더불어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관통하며 아득한 미래를 내다보고 있다.

 

   
 

◆무량사

사천왕문을 넘어서자 비에 젖은 가람이 그윽하다. 고즈넉한 가람을 휘감던 바람이 죽비처럼 어깨로 치달아 발걸음을 멈춰 세운다. 일렬로 늘어선 석등, 석탑, 극락전의 가람배치가 점층적인 위엄으로 발걸음에 스며든 미열을 가라앉힌다. 이 단순한 가람배치 앞에서 사람들은 사천왕문을 넘던 거침없는 발걸음을 주저했다. 고찰은 고찰이다. 눈에 띄는 모든 게 문화재다. 가람을 형성하는 석등, 석탑, 극락전 또한 모두 보물로 지정돼 있다. 석등은 상대석과 하대석에 적당히 부푼 연꽃 위로 팔각 화사석(火舍石)을 갖춘 전형적인 고려 초기의 양식으로 보물 제233호다.

석등 뒤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닮은 석탑 역시 고려 초기의 것으로 백제계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보물 제185호다.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금동제 아미타여래 좌상 등 삼존상이, 3층 몸돌에서 금동보살상이, 5층 몸돌에서 사리구가 수습됐다. 이들은 모두 충남도 유형문화재 제100호로 지정됐다. 무량사 극락전(보물 제356호)은 법주사 대웅보전, 화엄사 각황전과 더불어 국내에 몇 안 되는 복층 불전이다. 조선 중기의 건물로 2층 구조를 가진 불전(佛殿)인데 내부는 상하층 구분 없는 통층 구조다. 세월에 빛바랜 단청은 빛바램으로써 위엄을 드러낸다. 김시습이 편액의 글씨를 썼다고 전해지나 근거는 없다. 그러나 김시습의 후광 없어도 편액에 새겨진 강건한 필치는 극락전과 더불어 충분히 조화롭다.
 

   
 

극락전 내부에는 거대한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 좌상이 안치돼있다. 주존불 아미타불(5.4m)을 중심으로 양쪽에 관세음보살(4.8m), 대세지보살(4.8m)이 자리 잡고 있다. 소조불로서는 동양 최대 규모다. 불상의 복장에서 나온 발원문은 조각한 이의 법명(현진·玄眞)과 조성연대(1633년)를 밝히고 있어 조선 후기 조각사 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삼존불을 감싸는 극락전 또한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량사 아미타삼존불은 지난 2008년 보물 1565호로 지정됐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도 괘불(掛佛·법회나 의식을 치를 때 법당 앞뜰에 거는 대형 탱화)로 남아 극락전 안에서 아미타불과 공존하고 있다. 인조 5년(1627년)에 완성된 이 괘불은 세로 12m, 가로 6.9m의 너른 모시천 위에 미륵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 여덟 구의 화불(化佛)을 모시고 있으며 보물 제1265호다.

극락전 우측에 자리 잡은 명부전(冥府殿)은 산 자와 죽은 자의 눈길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중앙 불단 위 지장보살(地藏菩薩) 양 옆으로 이제 과거가 돼버린 사람들이 물끄러미 영정 속에서 명부전 밖 사바세계를 바라보고 있다. 49재의 흔적이다. 영정 속 주름진 표정들은 하나같이 어색해 오래 마주보기 민구스럽다. 도망치듯 시선을 거두자 명부전 옆으로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우뚝하다. 잎을 모조리 털어낸 나무는 굵은 가지마다 살아서 강인한 굴곡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나지막한 담장 너머로 사바세계가 환하다. 문득 살아있다는 사실이 감사해진다.

글=정진영 기자 crazyturtle@cctoday.co.kr

사진=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부여=양근용 기자 yong2004@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의회가 2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집행부 견제·감시역할은 잊은 채 정파싸움에만 몰두하는 등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도의원들이 여야로 나뉘어 공격성 발언과 함께 '자당 감싸기'를 서슴치 않았고, 정작 중재역할을 해야 할 상임위원장까지 가세해 되레 정쟁을 부추기면서 빈축을 샀다.

이날 설전은 한나라당 김양희 의원이 지난 10월 오송메디컬시티 사업과 관련한 도의회의 성명이 조작됐다며 사무처를 강하게 질타하면서 불거졌다.

김 의원은 "지난 10월 의회사무처 직원에게 성명서 제출을 요청해 받았는데 확인결과 일부 내용이 변경됐다"며 "이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할 공무원이 특정정당의 눈치를 보며 의도적으로 조작·위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무처가 공식성명서를 위조·조작해 의원에게 제출한 것은 도의회 입장에선 상상할 수 없는 부끄러운 일"이라며 "도의회가 소수당 의견은 배려하지 않고 편파적으로 운영되다 보니 사무처가 정당의 눈치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동인 사무처장은 "김 의원에게 제출한 성명서는 비공식적 자료인데다 담당직원이 내용의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해서 제출한 것으로, 의도적인 조작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둘 사이 고성과 함께 설전이 오가자, 사실확인을 위해 정회를 하자는 의원들의 요구가 잇따르기도 했다.

일부 의원들은 "김 의원의 지적에 동감을 하지만 사무처가 의도를 갖고 내용수정을 한 것은 아닌데도 김 의원이 정치적으로 몰고 가는 것 같다"고 피력했다.

자유선진당 김재종(옥천1) 의원은 "김양희 의원의 지적에 동감한다. 성명내용이 수정돼 제출된 것은 잘못됐다. 그렇다고 조작이라고 비방하는 것은 안된다. 직원의 잘못도 관리자의 책임이니 사무처장이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의회 안팎에선 의원들의 정쟁에 대한 비판과 함께 박문희(민주당·청원1) 운영위원장의 매끄럽지 못한 의사진행에 대해 질타를 가했다.

박 의원이 이날 딱딱해진 분위기를 전환하고 사실확인을 위해 정회를 하자는 의원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감정에 치우쳐 의원과 설전을 벌이면서 되레 정쟁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나왔다.

A 의원은 "소속 당을 떠나 위원장으로서 중립적 태도로 감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의원과 설전을 벌였다"면서 "정쟁을 불식시킨 게 아니라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싸움을 부추긴 꼴"이라고 지적했다.

한 공무원은 "의원간 감정대립이 심해지면 정회를 통해 분위기를 전환하는 매끄러운 의사진행이 필요했다"며 "초등학교 대의원 회의에서도 볼 수 없는, 유치하고 한심한 행정사무감사였다"고 꼬집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청주시의회가 재상정된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TP)에 대한 현금출자안이 원안대로 의결하면서 청주TP의 자금난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사업의 열쇠가 되는 금융권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해 향후 사업추진 향방에 귀추가 주목된다.

시의회 재정경제위원회는 2일 시가 청주TP에 현물 출자한 흥덕구 가경동 상업용지 1000여㎡를 감정평가액으로 매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재경위는 원안의결 이유에 대해 지역발전을 위해 산업단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과 현금 출자가 이뤄지지 않으면 청주TP가 심각한 자금난에 직면해 개발사업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황영호 의원은 "산업단지 개발의 당위성은 인정하지만 방만한 운영, 부진한 사업추진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며 "개발지연으로 고통받는 해당 지역 주민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박상인 위원장은 "청주TP를 통해 기업을 유치한 뒤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의도는 좋으나 현재 시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많은 문제점이 노출된 만큼 앞으로 특단의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동주 도시관리국장은 "현재 산업은행과 PF에 대한 구제적인 안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차례 부결된 바 있는 청주TP에 대한 시의 현금출자안이 진통 끝에 의결됨에 따라 공유재산취득절차를 거쳐 가경동 상업용지 매입비는 청주TP 운영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감정평가에 의한 매입비는 18억 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권 PF 대출이 만만치 않아 개발을 위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는데다 부동산 경기상황이 좀처럼 호전되지 않아 사업 성공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장담할 수 없는 입장이다.

청주TP 관계자는 "개발면적 축소와 단계별 개발계획에 대해 산업은행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번 현금출자안 의결로 벌 수 있게 된 시간동안 다양한 대책을 모색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청주TP는 흥덕구 강서동 일대 347만㎡를 공업용지, 상업·유통시설 용지, 주택용지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해왔으나 PF 대출이 이뤄지지 않자 지난달 1일 이사회를 열어 개발면적 축소를 결정하는 등 자구책을 모색해오고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와 지역 환경단체가 4대강 사업공구인 금강 8-2공구 방우리 1지구 교량개설 공사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이는 충남도가 자연적 보전가치가 높은 금강 상류에 위치한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 일대에 콘크리트 교량개설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충남도는 금강 상류부에 위치한 금강 8-2공구 방우리 1지구에 생태탐방로 교량개설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금산군은 지난 8월부터 지역주민 숙원사업, 군수 공약사업 등을 근거로 내세우며 조직적으로 충남도에 방우리 교량설치를 건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관건은 방우리 지역 일대가 하천자연도 1등급으로 빼어난 경관을 보유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뛰어난 청정지역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지역환경단체인 금강유역환경회의는 방우리 교량개설 사업의 부당성과 맹점을 조목조목 제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금강유역환경회의는 방우리 일대에 콘크리트 교량을 건설해도 사실상 주민의 통행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점과 교량개설에 따른 환경파괴, 추가사업비 발생에 따른 예산낭비 등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금산군이 내세운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이라는 근거도 실상 방우리 주민의 민원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한 ‘방우리 주민 볼모잡기’ 사업이라고 반박했다.

금강유역환경회의 관계자는 “충남도가 추진하려는 방우리 교량개설 사업은 생태탐방로를 빙자한 콘크리트 덩어리에 불과하다”며 “본연의 생태탐방로가 필요하다면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협의를 시행하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2일 김종민 정무부지사와 박동철 금산군수를 비롯한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현장조사를 실시해 교량개설의 타당성 및 추진여부를 검토하는 등 대책마련에 분주했다.

김종민 정무부지사는 “환경가치, 주민생활 편의, 행정구역 문제 등의 문제가 얽혀 있다”면서 “지역주민 간 이견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방우리와 수통리를 연결하는 통로가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음 주 중으로 금산군과 환경단체, 지역주민들의 입장과 대안을 정리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이견차를 좁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 청주산업단지의 고질적인 상습 불법주차 문제는 청주시와 청주산업단지관리공단의 단속 의지가 약한 데다 일부러 묵인하면서 근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 4기 남상우 시장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청주산단에서의 불법주차는 되도록 묵인해 줘라’고 주문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선 5기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자 각종 논란이 일고 있다.

◆불법주차 기승 … 운전자 형평성 논란

청주산단 내 LG화학 제1복지관 앞 양방향도로 500여 m는 도로 가장자리는 물론, 이중으로 차량이 불법주차를 일삼고 있지만 이에 대한 단속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이곳을 지나는 운전자는 맞은편에서 공사차량이나 직장 셔틀버스가 진입할 경우 차량을 피하고자 아찔한 곡예운전이 빈번히 일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2008년 10월 LG화학은 복지관 옆 부지에 차량 227대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2층 3단의 철골식 구조로 된 주차장을 신축했다.

그러나 자사 직원 외엔 주차를 할 수가 없다보니 협력업체 차량은 대부분 도로에 이중삼중으로 불법주차를 하고 있고, 이에 대한 단속이 없어 교통난이나 과태료엔 별로 무감각한 실정이다.

청주지역 일반 도로의 주차금지구역에는 황색 선이 분명히 있는데도 다른 지역에선 5분만 주차할 경우 즉각 단속을 벌여 불법주차스티커를 발부하고 있지만 청주산단에서는 예외다.

사정이 이렇자 이곳을 지나는 운전자들은 청주산단이 주차단속의 ‘번외지역’으로 공공연히 알려진 게 사실이라면서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동안 청주산단 불법주차 차량은 청주시와 청주산단관리공단이 불법주차스티커 대신 계도문과 양심경고장으로 대체하면서 갈수록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다.

◆청주시·청주산단관리공단 단속의지 결여

이 같은 고질적인 병폐를 없애기 위해 청주산단관리공단은 지난 2008년부터 청주산단 내 주차질서 확립을 위한 대대적인 계도를 벌였지만 청주시에서 일체 단속 스티커를 끊지 않으면서 주차질서 확립은 무용지물이 돼 버렸다.

시에서의 단속 의지가 모자라다 보니 청주산단관리공단도 뒷짐만 지고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전 시장의 방침에 따라 단속을 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며 "청주산단에서의 불법주차는 심각한 것은 알고 있지만 민선 5기에 와서도 특별한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청주산단관리공단 관계자는 "해당 구청에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계도를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LG화학 하도급업체 근로자의 차량이 업체로부터 통제되면서 불법주차로 이어지고 있고, 이와 함께 신흥기업사 인근 불법주차 해결을 위해서도 시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청원군 현도면 현도 보금자리주택건설이 사실상 무산됐다.

2일 청원군과 LH 충북지역본부에 따르면 하문용 LH 충북지역본부장은 지난달 4일 이종윤 청원군수를 만나 “LH의 자금사정으로 인해 현도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4~5년 정도 늦어질 것”이라고 통보했다. 이에 이 군수는 “주민이 장기간 피해를 봤기 때문에 사업을 즉시 시행하거나 아니면 포기해 달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LH 충북지역본부는 “공식 사업 무산은 아니다”며 부정하고 있지만 이달 중 사업 지연에 대해 주민설명회를 계획 중으로, 사업 지연으로 인한 주민반발이 커지면 해당 사업 지역에서 반대한다는 명분을 들어 국토해양부에 사업계획철회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원군도 보금자리주택은 무산된 것으로 예상하고 대안으로 물류·산업단지 조성 등을 고려 중이지만 성공가능성은 미지수다.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민간투자가 필수인데 현도면보다 여건이 좋은 오송역세권도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금자리주택 건설을 목적으로 사업지구의 ⅔ 가량이 해제된 그린벨트가 물류·산업단지 조성시 재지정 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보금자리주택의 경우 국가정책사업으로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가진 국토해양부가 직접 추진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쉽게 그린벨트가 해제됐다. 하지만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무산되는 즉시 그린벨트가 재지정 돼 청원군은 다시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와 함께 보금자리주택 사업에 반대하던 주민이 물류·산업단지 조성도 반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청원군 현도면 오낙균 씨는 “보금자리주택사업이 취소된다면 주민은 대환영”이라고 전제한 후 “청원군이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한다면 다시 한 번 주민의 반발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굳이 주민이 사는 곳을 개발해 고향에서 쫓겨나게 하는지 모르겠다”며 “미래도 중요하지만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도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원군 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취소되면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대안으로 준비 중”이라며 “가능하면 그린벨트와 겹치지 않고 주민이 거주하는 곳을 제외해 조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투자자를 구하는 것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도 보금자리주택건설 사업은 청원군 현도면 선동·매봉·달계·시목·죽전리 일원 170만 4958㎡의 부지에 8789호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됐지만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합병 후 LH가 자금난에 빠지면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청원=심형식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쌀겨기름이 치매나 뇌졸중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충북대 성연희(52·수의대)·유환수(50·약대)·이용문(51·약대) 교수 팀은 농촌진흥청의 지원으로 4년 간에 걸쳐 청원생명쌀을 이용한 공동 연구를 벌인 결과 쌀겨에서 추출한 미강유가 치매원인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기억손상과 뇌신경세포 독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미강유가 뇌조직 중 기억력 감퇴의 원인이 되는 베타아미로이드의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며, 글루타치온 등의 항산화물질을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를 내 동물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팀은 또 뇌로 가는 동맥을 폐색시켜 일시적으로 뇌의 허혈증을 일으키는 뇌졸중의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미강유가 뇌경색 및 뇌부종에 대한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도 찾아냈다.

이러한 결과는 미강유가 흥분성 세포독성물질인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뇌신경세포사와 세포 내로의 칼슘유입 및 활성산소생성을 억제해 뇌졸중의 예방이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에 대해 국내특허를 출원했으며 해외특허도 준비하고 있다.

성연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미강유의 치매 및 뇌졸중 치료효과에 대한 최초의 실험결과로 쌀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며 "우선 새로운 식용유자원으로서 응용이 기대되며, 나아가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개발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충북도는 2일 현대중공업(회장 민계식), 생고방(회장 드 샬렌다)과 오는 2015년까지 최대 8억달러를 투자해 오창에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형 태양전지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내용의 합작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충북도청 제공  
 

현대중공업이 프랑스 생고방그룹과 손잡고 충북 오창에 국내 최대 박막 태양전지 공장을 건립한다.

충북도는 2일 현대중공업(회장 민계식), 생고방(회장 드 샬렌다)과 오는 2015년까지 최대 8억달러(9600억 원)를 투자해 오창에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형 태양전지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내용의 합작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내 1위 태양전지 제조업체인 현대중공업과 세계 최대의 유리, 건축자재 업체인 생고방사는 지난 10월 박막 태양전지 공장 설립 계약에 서명한 바 있다.

양사는 2012년 상반기까지 청원군 오창 외국인투자지역 21만 2690㎡ 부지에 연간 100㎿ 규모의 국내 최대 CIGS 박막 태양전지 공장을 세우기로 하고 초기 사업비 2억 달러를 절반씩 부담해 내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도는 이 공장이 완공되면 10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오창 지역경제도 활성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