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군 현도면 현도 보금자리주택건설이 사실상 무산됐다.

2일 청원군과 LH 충북지역본부에 따르면 하문용 LH 충북지역본부장은 지난달 4일 이종윤 청원군수를 만나 “LH의 자금사정으로 인해 현도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4~5년 정도 늦어질 것”이라고 통보했다. 이에 이 군수는 “주민이 장기간 피해를 봤기 때문에 사업을 즉시 시행하거나 아니면 포기해 달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LH 충북지역본부는 “공식 사업 무산은 아니다”며 부정하고 있지만 이달 중 사업 지연에 대해 주민설명회를 계획 중으로, 사업 지연으로 인한 주민반발이 커지면 해당 사업 지역에서 반대한다는 명분을 들어 국토해양부에 사업계획철회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원군도 보금자리주택은 무산된 것으로 예상하고 대안으로 물류·산업단지 조성 등을 고려 중이지만 성공가능성은 미지수다.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민간투자가 필수인데 현도면보다 여건이 좋은 오송역세권도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금자리주택 건설을 목적으로 사업지구의 ⅔ 가량이 해제된 그린벨트가 물류·산업단지 조성시 재지정 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보금자리주택의 경우 국가정책사업으로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가진 국토해양부가 직접 추진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쉽게 그린벨트가 해제됐다. 하지만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무산되는 즉시 그린벨트가 재지정 돼 청원군은 다시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와 함께 보금자리주택 사업에 반대하던 주민이 물류·산업단지 조성도 반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청원군 현도면 오낙균 씨는 “보금자리주택사업이 취소된다면 주민은 대환영”이라고 전제한 후 “청원군이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한다면 다시 한 번 주민의 반발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굳이 주민이 사는 곳을 개발해 고향에서 쫓겨나게 하는지 모르겠다”며 “미래도 중요하지만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도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원군 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취소되면 물류·산업단지 조성을 대안으로 준비 중”이라며 “가능하면 그린벨트와 겹치지 않고 주민이 거주하는 곳을 제외해 조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투자자를 구하는 것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도 보금자리주택건설 사업은 청원군 현도면 선동·매봉·달계·시목·죽전리 일원 170만 4958㎡의 부지에 8789호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됐지만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합병 후 LH가 자금난에 빠지면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청원=심형식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