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류모(35) 씨는 며칠 전 가끔 즐기는 온라인 게임에 접속했다가 충격적인 얘기를 들었다.
종종 같이 게임을 하던 나이가 어린 유저가 아이템이 필요하다며 은밀한 제안을 한 것.
이 유저는 “내가 가진 아이템이 너무 떨어지는 것 같다. 오빠가 괜찮은 것을 사주면 직접 만나 원하는 걸 해주겠다”고 접근했다.
류 씨는 “기껏해야 중학생 정도로 알고 있는데 그런 얘기를 서슴지 않는 것에 무척 놀랐다”며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이 심하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 정도 일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폐해가 갈수록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치닫고 있다.
특히 게임 아이템 사기사건은 예사고, 부모 폭행과 살인, 성매매까지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될 상황이지만 정부에서 내놓은 대책은 이에 못 미쳐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중고생 6500명을 상대로 조사한 청소년 게임중독 실태를 보면 청소년 가운데 약 10%가 게임중독 잠재위험성과 고위험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중·고교생 10명 중 1명은 인터넷과 게임중독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다.
실제 요즘 인터넷 게임 아이템과 관련한 각종 사기사건이 갈수록 지능화하거나 대담해지고 있지만 청소년들은 단지 '소유욕'에 사로잡혀 별다른 죄책감 없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는 데 문제가 있다.
또 관련 청소년 범죄를 그저 호기심에 의한 행위로 여겨 가벼운 처벌을 하는 것 자체도 잠재적인 범죄자를 양산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처럼 청소년 게임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가 각종 대책을 내놓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항상 의문이 제기된다.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예방을 위해 심야 접속을 제한하는 ‘셧다운 제도’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이템 획득 속도를 낮추는 ‘피로도 시스템’이 대표적인 정부 정책이다.
하지만 이 대책은 이미 부모나 가족 명의로 여러 개 계정을 쓰는 유저들에게는 무용지물인데다 몰입도를 높여 접속자로 매출을 올리는 게임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실효성 없는 다수의 대책보다 청소년들이 게임과 컴퓨터에 자주 접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데 입을 모은다.
또 현재 부처별 산발적으로 지원하는 대책을 하나로 통합해 범정부차원의 대책기구를 설립하는 것도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대전시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센터 송계심 주무관은 “지난해 총 4608건이던 상담 건수가 올 최근까지 3043건으로 많이 늘어난 것도 청소년 게임중독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청소년이 부모와 함께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얻어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통합 추진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종종 같이 게임을 하던 나이가 어린 유저가 아이템이 필요하다며 은밀한 제안을 한 것.
이 유저는 “내가 가진 아이템이 너무 떨어지는 것 같다. 오빠가 괜찮은 것을 사주면 직접 만나 원하는 걸 해주겠다”고 접근했다.
류 씨는 “기껏해야 중학생 정도로 알고 있는데 그런 얘기를 서슴지 않는 것에 무척 놀랐다”며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이 심하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 정도 일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폐해가 갈수록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치닫고 있다.
특히 게임 아이템 사기사건은 예사고, 부모 폭행과 살인, 성매매까지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될 상황이지만 정부에서 내놓은 대책은 이에 못 미쳐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중고생 6500명을 상대로 조사한 청소년 게임중독 실태를 보면 청소년 가운데 약 10%가 게임중독 잠재위험성과 고위험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중·고교생 10명 중 1명은 인터넷과 게임중독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다.
실제 요즘 인터넷 게임 아이템과 관련한 각종 사기사건이 갈수록 지능화하거나 대담해지고 있지만 청소년들은 단지 '소유욕'에 사로잡혀 별다른 죄책감 없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는 데 문제가 있다.
또 관련 청소년 범죄를 그저 호기심에 의한 행위로 여겨 가벼운 처벌을 하는 것 자체도 잠재적인 범죄자를 양산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처럼 청소년 게임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가 각종 대책을 내놓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항상 의문이 제기된다.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예방을 위해 심야 접속을 제한하는 ‘셧다운 제도’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이템 획득 속도를 낮추는 ‘피로도 시스템’이 대표적인 정부 정책이다.
하지만 이 대책은 이미 부모나 가족 명의로 여러 개 계정을 쓰는 유저들에게는 무용지물인데다 몰입도를 높여 접속자로 매출을 올리는 게임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실효성 없는 다수의 대책보다 청소년들이 게임과 컴퓨터에 자주 접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데 입을 모은다.
또 현재 부처별 산발적으로 지원하는 대책을 하나로 통합해 범정부차원의 대책기구를 설립하는 것도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대전시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센터 송계심 주무관은 “지난해 총 4608건이던 상담 건수가 올 최근까지 3043건으로 많이 늘어난 것도 청소년 게임중독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청소년이 부모와 함께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얻어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을 통합 추진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