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공무원이 매년 추석을 앞두고 올바른 차례 예법을 설파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주인공은 조남명 충남도의회 행정사무관으로 한울문인협회 충청지회 부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시인이기도 하다.
한국문인협회·호서문학회·문학방송 회원, 전국풍수지리학회 고문으로도 활약하고 있는 조 사무관은 예전에는 설과 추석 제례에 차(茶)를 올렸기에 차례(茶禮)나 차사(茶祀)라 하던 것이 오늘날 차대신 술(淸酒)을 쓰면서도 차례라고 불러오고 있다고 강조한다.
추석차례가 기제사(忌祭祀)와 다른 점은 자정이 지난 밤이 아닌 낮(아침)에 지내고, 메(밥)나 갱(국) 대신 송편을 올리며, 편(떡)을 생략하기 때문. 또 기제사는 三獻(초헌, 아헌, 종헌)을 올리나, 단헌무축 (單獻無祝·술은 제주가 한잔만 올리고 축은 없음)이며,어적·육적·계적 등 삼적(三炙)을 함께 올린다.
◆ 차례상 준비의 基本
차례상은 방위에 관계없이 모시기 좋은 곳에 제상을 놓고, 병풍을 치며, 신위(지방)쪽이 북(北), 제주가 서있는 쪽이 남(南)이고, 오른쪽이 동(東), 왼쪽이 서(西)이다. 신위는 양위(내외분)를 모실 때는 남서여동(男西女東)이고, 여러 조상을 한자리에 모실 때는 서에서부터 윗대 조상을 모시며, 헌작(獻爵·제사 때 술잔을 올림) 시에도 같다. 차례상 진설은 원래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차례상의 맨 앞 과(果)줄이 조율시이 진설법이냐 또는 홍동백서 진설법이냐에 따라 문중마다 다소 다를 수는 있으나, 그 외는 옛부터 제물, 제수의 진설 위치가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다. 차례상 진설은 제례자가 서 있는 위치로부터 과(果), 채(菜), 탕(湯), 적(炙), 반(飯)의 다섯 줄로 홀수이며, 줄별 제물 수, 과일 수, 나물, 탕도 홀수로 한다.
◆ 진설법의 주요 내용
△남서여동(男西女東): 남자는 서쪽에, 여자는 동쪽에 모심 △조율시이(棗栗枾梨): 서쪽부터 대추, 밤, 감, 배를 놓는 진설법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진설법 △서포동혜(西鮑東醯): 포는 서쪽에, 식혜는 동쪽에 놓음 △생동숙서(生東熟西): 생김치 등 안익은 것은 동쪽에, 나물 등 익은 반찬은 서쪽에 놓음 △어동육서 (魚東肉西): 생선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음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 머리는 동으로, 꼬리는 서쪽로 놓음 △서반동갱 (西飯東羹): 메(밥)는 서에, 갱(국)은 동쪽에 놓음 △건서습동 (乾西濕東): 마른 것은 서에, 젖은 것은 동쪽에 놓음 △접동잔서(接東盞西): 접시는 동에, 잔은 서쪽에 놓음
◆ 제사상에 사용하지 않는것
고추가루나 마늘, 붉은 팥, 비늘없는 고등어나 치자로 끝나는 생선인 삼치, 갈치, 준치, 넙치, 꽁치, 한치는 사용하지 않는다. 과일 중에 복숭아는 쓰지 않으며, 국산 과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주인공은 조남명 충남도의회 행정사무관으로 한울문인협회 충청지회 부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시인이기도 하다.
한국문인협회·호서문학회·문학방송 회원, 전국풍수지리학회 고문으로도 활약하고 있는 조 사무관은 예전에는 설과 추석 제례에 차(茶)를 올렸기에 차례(茶禮)나 차사(茶祀)라 하던 것이 오늘날 차대신 술(淸酒)을 쓰면서도 차례라고 불러오고 있다고 강조한다.
추석차례가 기제사(忌祭祀)와 다른 점은 자정이 지난 밤이 아닌 낮(아침)에 지내고, 메(밥)나 갱(국) 대신 송편을 올리며, 편(떡)을 생략하기 때문. 또 기제사는 三獻(초헌, 아헌, 종헌)을 올리나, 단헌무축 (單獻無祝·술은 제주가 한잔만 올리고 축은 없음)이며,어적·육적·계적 등 삼적(三炙)을 함께 올린다.
◆ 차례상 준비의 基本
차례상은 방위에 관계없이 모시기 좋은 곳에 제상을 놓고, 병풍을 치며, 신위(지방)쪽이 북(北), 제주가 서있는 쪽이 남(南)이고, 오른쪽이 동(東), 왼쪽이 서(西)이다. 신위는 양위(내외분)를 모실 때는 남서여동(男西女東)이고, 여러 조상을 한자리에 모실 때는 서에서부터 윗대 조상을 모시며, 헌작(獻爵·제사 때 술잔을 올림) 시에도 같다. 차례상 진설은 원래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차례상의 맨 앞 과(果)줄이 조율시이 진설법이냐 또는 홍동백서 진설법이냐에 따라 문중마다 다소 다를 수는 있으나, 그 외는 옛부터 제물, 제수의 진설 위치가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다. 차례상 진설은 제례자가 서 있는 위치로부터 과(果), 채(菜), 탕(湯), 적(炙), 반(飯)의 다섯 줄로 홀수이며, 줄별 제물 수, 과일 수, 나물, 탕도 홀수로 한다.
◆ 진설법의 주요 내용
△남서여동(男西女東): 남자는 서쪽에, 여자는 동쪽에 모심 △조율시이(棗栗枾梨): 서쪽부터 대추, 밤, 감, 배를 놓는 진설법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진설법 △서포동혜(西鮑東醯): 포는 서쪽에, 식혜는 동쪽에 놓음 △생동숙서(生東熟西): 생김치 등 안익은 것은 동쪽에, 나물 등 익은 반찬은 서쪽에 놓음 △어동육서 (魚東肉西): 생선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음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 머리는 동으로, 꼬리는 서쪽로 놓음 △서반동갱 (西飯東羹): 메(밥)는 서에, 갱(국)은 동쪽에 놓음 △건서습동 (乾西濕東): 마른 것은 서에, 젖은 것은 동쪽에 놓음 △접동잔서(接東盞西): 접시는 동에, 잔은 서쪽에 놓음
◆ 제사상에 사용하지 않는것
고추가루나 마늘, 붉은 팥, 비늘없는 고등어나 치자로 끝나는 생선인 삼치, 갈치, 준치, 넙치, 꽁치, 한치는 사용하지 않는다. 과일 중에 복숭아는 쓰지 않으며, 국산 과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