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와 관련해 충북도교육청이 ‘학교폭력전담팀’을 운영한다. 또 ‘기피 1순위’가 되고있는 생활지도 담당에게는 각종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19일 충북도교육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학교폭력 근절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우선 장학관과 장학사 등 7명으로 학교폭력 예방·근절 전담팀을 편성해 운영하고 생활지도 담당교사에 대해서는 승진가산점과 해외연수 확대 등 인센티브 제공, 학교폭력 상담사 자격취득 지원, 대안교육위탁기관 16곳 운영, 배움터지킴이 배치, 가해학생 학부모의 특별교육 이수 의무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다음달부터 학생과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행복4중주'( SPTC·Students Parents, Teahers and Community)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운영할 예정이다.
먼저 학생이 행복한 학교를 위해 초등학교는 공감능력 향상과 대인관계증진, 자기주장훈련, 분노조절, 징후인지 프로그램을, 중·고교는 학교폭력 유형과 폭력문화 바로알기, 인권, 자기통계훈련, 집단따돌림, 금품갈취, 언어·사이버 폭력,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학교자율 과정으로 편성해 월 1시간 이상 교육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부모들의 역할이 크다고 보고 학생과 교육기부자간 결연활동을 추진하는 한편, 분기별로 학교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학교폭력 징후 인지와 대처교육 등을 반드시 실시키로 했다. 특히 학생-교사간 세족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교직원 연수 월 1회 이상 실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사제동행 책읽기 운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홍순철 기자 david0127@cctoday.co.kr
'2012/02/19'에 해당되는 글 22건
- 2012.02.19 ‘학교폭력 전담팀’ 운영한다
- 2012.02.19 주택시장 ‘아직 겨울잠’ 보합세 유지
- 2012.02.19 천안시 4월 총선 공천경쟁 열기 ‘후끈’
- 2012.02.19 정부 휘발유가 인상 방치 … 소비자 분노
- 2012.02.19 대형마트 강제휴무일 제정 “장 보는날 바꾸면 그만”
- 2012.02.19 “공주시 정권교체 진원지 돼야”
- 2012.02.19 충북지역 주말 산불·화재 잇따라
- 2012.02.19 “북한이탈주민 복지증진 확대”
- 2012.02.19 ‘속쓰린’ 충청인
- 2012.02.19 “총장직선제 폐지 투표방식·절차 부적절”
![]() |
||
최근 대전지역 주택시장이 별다른 거래 없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셋째주 대전 아파트 매매시장은 2주간 -0.02%의 변동률로 2주전(-0.02%)과 같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전세시장은 2주간 0.00%의 변동률을 기록, 2주전(-0.01%)의 미약한 하락세에서 보합세로 전환했다.
◆매매
지역별로는 유성구(0.02%)가 약한 상승세를 보인 반면 서구(-0.06%)와 동구(-0.02%)는 하락세를, 대덕구(0.00%)와 중구(0.00%)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면적대별로는 135~148㎡대 0.02%, 85~99㎡대 0.01%, 119~132㎡ 0.01%의 순으로 미약한 상승세를 보였지만 69~82㎡대 -0.04%, 102~115㎡대 -0.03%, 66㎡ 이하 -0.02%의 순으로 내림세를 나타냈다.
개별 단지별로는 동구 천동 천동휴먼시아 99㎡대가 500만 원 오른 1억 9000만 원을, 유성구 관평동 대덕테크노밸리 4단지 109㎡대가 500만 원 오른 2억 8500만 원을 보였다.
하지만 서구 복수동 계룡 102㎡대는 750만 원 하락한 1억 4750만 원을 기록했고, 유성구 상대동 목련 2단지 106㎡대는 2억 2500만 원으로 500만 원 하락했다.
◆전세
지역별로는 중구(0.16%)와 서구(0.03%)가 상승세를 보인 반면 유성구(-0.14%)와 동구(-0.04%)가 하락세를 보였고, 대덕구(0.00%)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면적대별로는 85~99㎡대가 0.07%, 102~115㎡대가 0.05%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168~181㎡대 -0.42%, 66㎡ 이하 -0.26%, 135~148㎡ -0.06%, 69~82㎡대 -0.05%, 152~165㎡대 -0.02%의 순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개별단지별로는 유성구 봉명동 유성자이 138㎡대가 500만 원 오른 2억 3000만 원을, 동구 낭월동 오투그란데 118㎡대가 500만 원 오른 1억 1500만 원을 유지했다.
또 서구 둔산동 수정타운 85㎡대가 500만 원 오른 1억 3000만 원을, 중구 오류동 삼성 102㎡대가 500만 원 오른 1억 2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서구 월평동 무지개 99㎡대는 500만 원 하락한 1억 6500만 원을, 동구 판암동 주공 5차 66㎡대는 500만 원 하락한 5750만 원을 기록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여·야 각당의 4월 총선 후보자 공천작업이 본격화 되면서 천안지역 예비후보들 간 공천경쟁 열기도 뜨거워지고 있다.
천안갑 선거구는 새누리당의 경우 전용학(59 ·전 조폐공사 사장), 이정원(59·전 천안시의회장), 김수진(46·충남희망천안포럼 공동대표,), 엄금자(전 충남도의원)등 4명이 공천신청을 냈다.
지역정가에서는 박종인 예비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한 이정원 후보와 전용학 후보간 2파전 양상으로 보고 있는 분위기다.
‘절치부심’ 재기를 노리는 전 후보가 ‘정치인생 마지막 도전’이라는 각오로 배수진을 치고 있는 이 후보의 거센 도전을 어떻게 뚫고 본선무대에 다시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유선진당에서는 강동복(55·전 충남도의원), 이종설(52·천안시개발위원회 부회장)후보 2명이 공천신청을 냈다.
강 후보는 두터운 인맥을 바탕으로 꾸준히 지역관리를 해왔으며, 정치신인인 이 후보는 국제라이온스 등 사회단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여왔다.
지역정가에서는 당내기반이 취약한 이 후보에 비해 오랫동안 심대평 당 대표 직계로 분류되는 강 후보가 경쟁에 다소 유리하다는 관측이다.
천안을 선거구는 민주통합당과 자유선진당의 공천경쟁이 볼만하다.
3명의 후보가 출사표를 던진 민주당은 박완주(46) 서북구지역위원장과 한태선(47) 당 정책위부위원장이 지난 18대 총선에 이어 벌이는 ‘리턴매치’가 관심사다.
18대에서는 박 후보가 공천권을 따냈지만 본선에서 고배를 마셨다.
지역조직 기반이 강하지만 ‘두 번(보선포함)의 실패’라는 약점을 안고있는 박 후보와 중앙당 정책 경험을 토대로 정책에는 강하지만 조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한 후보간의 경쟁결과가 주목된다.
자유선진당은 박상돈(62 ·18대 국회의원), 박중현(43 ·천안시 볼링협회 회장)두 후보가 공천신청을 냈다. 중량감이나 인지도 등에서 볼때 박 전 의원이 박 원장을 앞서고 있다는 것이 지역정가의 일반적 분석이다.
하지만 박 전의원은 심대평 당 대표와의 불편했던 관계가 아직 복원되지 않은데다 2010년 7월 재보선에서 박 원장을 후보로 당에 추천한 사람이어서 도덕성 문제가 불거질 경우 낙점을 장담할 수 없다.
한편 각당의 향후 공천심사 일정을 보면, 새누리당은 23일 면접을 실시한 뒤, 내주 여론조사를 거쳐 늦어도 3월 초쯤 공천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민주통합당은 이번주 초쯤 예비컷오프를 위한 지역별 여론조사를 마무리하고, 경선이 치러질 선거구를 확정할 계획이다. 민주당도 3월초쯤 공천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자유선진당은 18일 1차 공천신청이 마감 됨에따라 본격 심사에 들어가 3월초 여론조사 경선에 이어 3월 중순 공천자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천안=전종규 기자 jjg2806@cctoday.co.kr
지칠줄 모르고 오르기만 하는 기름값에 서민경제는 날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특히 국제유가에 따라 가격이 오를 땐 '급등'하는 국내 기름값은 내릴 땐 소폭 인하되거나 아예 가격인하 폭이 없어 기름값 하나 못 잡는 정부에 대한 서민들의 불만은 분노로 바뀌고 있다. |
◆충북도내 기름 값 강세 지속
1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인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현재 충북도내 보통 휘발유 평균가격은 ℓ당 1982.56원으로, 일주일전(1978.39원)보다 4.17원 상승했다.경유가격도 1821.58원으로, 일주일 전 가격인 1817.72원보다 3.86원 올랐다.
이는 5년 사이 휘발유의 경우 무려 490.36원(32.8%), 경유는 583.81원(47.1%)이 뛴 금액이다.
또 도내 휘발유 값은 지난해 11월 1981.31원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는가 싶더니 12월(1945.39원) 잠시 주춤, 올 들어 다시 급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5개월 간 꾸준한 오름세를 거듭하고 있는 경유의 경우 이날 현재가는 1821.58원으로, 이 중 최고가는 일선 휘발유 판매가와 비슷한 가격대인 1957원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지난 13일에는 도내 휘발유 값이 처음으로 ℓ당 2000원으로, 최고가 정점을 찍으며 서울·경기 등 수도권지역과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하며 일선 주유소의 판매가도 일제히 오른 바 있다. 이 밖에 청주지역 내 휘발유 값이 2000원을 넘어선 주유소는 122곳의 주유소 가운데 26곳(21.3%)으로, 지역 내 대다수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 또한 1900원대 후반을 기록하며 2000원대 진입을 코 앞에 두고 있는 실정이다.
◆올릴 땐 '왕창', 내릴 땐 '찔끔'
일선 주유소의 기름 값이 오를 땐 급등하는 반면, 내릴 땐 소폭 인하로 소비자들의 불만을 낳고 있다.
특히 국내 기름 값의 경우 국제유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하지만,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즉각적인 가격인상 반영과 달리 국제유가 하락에는 실질적인 기름값 인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실제 지난 1일 소비자시민모임 석유감시단이 지난해 휘발유시장을 분석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국제 휘발유가격 비해 국내 정유사 공급가격이 ℓ당 약 25.16원 더 많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유소 판매가격은 정유사의 두배인 ℓ당 약 50.65원 더 올랐다. 정유사공급가는 지난 1년 동안 국제 휘발유가격의 인상분이 ℓ당 모두 458.89원인데 비해 ℓ당 411.07원으로, 47.82원 적게 인상됐다. 반면 국제 휘발유가격의 인하분은 ℓ당 391.81원인데 비해 정유사 공급가 인하분은 ℓ당 318.82원으로, 인하폭이 더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주유소판매가격의 인하분은 ℓ당 총 139.97원으로 주유소 판매가격이 국제 휘발유가격 인하분보다 251.84원 적게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고유가에 서민들 부담넘어 '분노'
기름 값이 가계의 부담을 높이는 물가상승의 주범이라는 점에서 서민들의 아우성은 끝을 모른다. 싼 곳을 찾아 헤매는 운전자들은 국제유가는 하락세인데 왜 국내유가는 계속 오르는지 알 수 없다며 '주유소 유목민(?)' 내몰리고 있다. 이에 정부가 기름 값을 잡기 위해 대안으로 내놓은 '알뜰주유소'가 추진 중이지만 아직까지 갈 길은 멀다.
먼저 알뜰주유소의 경우 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전체 주유소의 10%, 1300개로 늘릴 계획이라고는 하지만 현재 서울·경기 등 수도권지역에 편중돼 있는 탓에 당장의 지방민들이 혜택을 보긴 힘들기 때문이다. 직장인 손모(청주 흥덕구 수곡동·31) 씨는 "알뜰주유소 찾아 서울까지 가야 하느냐"며 "저렴한 주유소 설립을 추진하는 것도 좋지만 실제 기름 값 인상이 정유사와 주유소의 이득 챙기기에서 비롯된 것이니 만큼 이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더욱 시급하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박모(청주 상당구 우암동·42) 씨도 "요즘엔 대통령이 경고해도 일선 주유소는 꿈쩍도 하지 않더라"면서 "당국은 주유소의 묻지마식 가격 인상을 단속하긴 하는 거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전북 전주에서 촉발돼 전국으로 퍼지고 있는 대형마트 등의 영업일 제한 조례 제정이 충북에서도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하지만 대형 유통업계가 평등권 침해와 막대한 매출손실 등을 주장하며 헌법소원을 제기, 결국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처럼 '존폐 위기'까지 거론하는 유통업계와 지역상권을 지키려는 이들의 첨예한 대립을 불러온 '강제 휴무일'의 효과는 얼마나 될까.
지난 17일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이 속해있는 (사)한국체인스토어협회(이하 체인협)는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영업일수와 영업시간을 규제하는 '유통산업발전법'과 전주시의 '대규모 점포 등의 등록 및 조정조례'에 대해 헌법소원 및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청구했다. 이 과정에서 체인협은 직업의 자유 및 평등권 침해와 더불어 강제 휴무일을 통해 매달 이틀씩 쉴 경우 연간 3조 4000억 원의 매출손실이 발생할 것이라 주장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대형소매점 판매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전국 대형마트의 매출액 합계는 약 36조 8000억 원이다. 여기에 체인협의 유통업체연감에서 분석한 요일별 매출비율(평일 11.1~13.7%, 토요일 19.6%, 일요일 20.2%)을 적용하면 매달 일요일 가운데 이틀씩 연간 24일을 쉬었을 때 약 3조 4214억 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충북만 국한지어 계산하면 도내 12개 대형마트가 지난 2010년 거둬들인 매출액 7431억여 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691억 원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변수가 있다. 이 액수가 다 이익감소로 이어진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정일에 영업하지 않으면 이날 발생할 매출이 전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전후로 분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휴무일을 피해 장보는 날을 바꾸면 그만이라는 것이다. 또한 휴무일 발생하는 상품보관 및 유통에 따른 단위 물류비용도 휴무에 따른 인건비 감소로 일정부분 보전될 것이란 전망이다.
결국 강제 휴무일을 두고 유통업계가 말하는 '존폐 위기'는 말그대로 '엄살'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 말은 강제 휴무일이 가져올 수 있는 지역상권 회복 효과 또한 기대이하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대형 유통업계에 대한 영업제한과 함께 이들이 지역환원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정책마련이 동반돼야 그나마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게 대다수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일례로 청주시의 경우 소상공인, 전통시장협의회, 소비자단체, 충북지방중소기업청, 유통학과 교수, 대형마트와 SSM 운영자, 공무원 등 10명으로 구성된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연 2회 이상 개최하고 있다. 하지만 협의회 내부 권고사항이 강제성을 띠지 않는데다 회의에 참석하는 대형마트 관계자들 대부분 결정권한이 없는 지점 운영자에 불과해 형식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청주시 관계자는 "회의 때마다 대형마트나 SSM 관계자들에게 지역을 위한 각종 요구를 해도 권한이 없다는 말로 넘겨버리기 일쑤"라며 "법개정 또는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정책마련을 통해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압박수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북도의회를 비롯해 청주시·충주시·제천시·청원군 의회 등은 현재 도내 대형마트와 SSM의 영업시간 제한 범위, 의무휴업 일수 등을 담은 조례 제정을 검토중이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 |
||
▲ 민주통합당 박수현 예비후보(공주·연기)는 지난 18일 공주시 신관동 원광마트 4층에서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사진제공=박수현 후보 | ||
민주통합당 박수현 예비후보(공주·연기)는 지난 18일 공주시 신관동 원광마트 4층에서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민주통합당 전 손학규 대표와 민주통합당 소속 이춘희·강용식 세종시장 예비후보, 최교진 교육감 예비후보, 박정현 국회의원(부여·청양) 예비후보, 고광철 시의회 의장, 이혁규 논산시의회 의장, 조길행 도의원 등 지지자 400여 명이 참석해 대 성황을 이뤘다.
손학규 전 대표는 축사에서 "지난 지방선거에서 충남도지사를 민주당에서 만들어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풍향계가 이미 결정된 것"이라면서 "이제 충청도에서 또 하나의 새로운 인물을 이곳 공주에서 만들어 달라. 정권교체의 진원지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손 전 대표는 이어, 지역 정당인 자유선진당을 겨냥해선 "지역주의로 얼마나 고생이 많으셨는가, 지역주의로 무엇을 이뤘는가"라며 "세종시와 과학비즈니스벨트를 누가 지켰는지는 여러분이 잘 알고 있다. 이번(총선)에는 박수현을 당선시켜 변화를 제대로 보여 달라"고 주장했다.
박수현 예비후보는 인사말에서 "부족하지만 10여년의 세월동안 지역의 많은 어르신과 선·후배, 당원동지들의 아낌없는 성원에 힘입어 정말 열심히 달려왔다"며 "이제는 '기다림'과 '준비'라는 슬로건처럼 그동안 우리나라와 우리 고장 공주의 발전을 위해 키워온 저의 꿈과 우리 모두의 열망을 담아 새로운 도전에서 반드시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
공주=오정환 기자 jhoh5882@cctoday.co.kr
충북 전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는 등 2월 셋째 주말 도내에서 사건 사고가 속출했다.
◆건조주의보, 산불 잇따라
18일 밤 9시경 충북 옥천군 군북면 증약리 고리산에서 발생한 불이 19일 새벽에 되살아났다가 12시간여 만인 오전 9시 20분경 진화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18일 밤 산불이 나자 소방헬기 1대와 소방차 2대, 공무원과 소방대원, 진화대원 120여명이 출동해 3시간 만에 불길을 잡았다. 이날 산불은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가운데 잔불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19일 새벽 3시경 불씨가 되살아났고 인력과 장비를 재투입해 오전 9시 20분경 진화, 오후 6시 현재 잔불 정리 중이다.
앞서 이날 오후 1시경 충북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야산에서 불이 나 산림 1ha를 태우고 3시간 20분 만에 진화됐다. 불이 나자 산림청 헬기 7대와 소방대원과 공무원 300여 명이 동원돼 진화작업을 벌였다.
◆청주 상가서 불, 25명 긴급대피
18일 오후 3시 8분경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층짜리 상가건물 4층에서 불이 나 10여분 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건물 안에 있던 25명이 긴급 대피했으며, 이 중 이모(12) 군 등 11명은 연기를 마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또 이날 오후 2시 31분경 충북 청원군 오송읍 쌍청리의 한 공장 뒤편 건초더미에서 불이 나 40여분 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소 먹이용 건초가 불에 타 1600만 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경부고속도 람보르기니 추돌 전소, 2억여 원 피해
18일 오후 8시경 충북 청원군 현도면 선동리 경부고속도로에서 신탄진 방면으로 향하던 람보르기니 승용차가 앞서가던 아반떼 승용차를 추돌했다. 이 사고로 아반떼 차량 탑승자 양모(32·여)씨가 다쳤고, 람보르기니 승용차가 전소돼 2억 4750만 원(소방서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지역종합
![]() |
||
▲ 염 시장은 지난 17일 동구 판암동 대전하나센터(북한이탈주민적응센터)에서 대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대전시청 제공 | ||
염홍철 대전시장이 "북한이탈주민에게 교육과 일자리, 의료비 등의 지원을 확대해 대전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염 시장은 지난 17일 동구 판암동 대전하나센터(북한이탈주민적응센터)에서 대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염 시장은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생활을 위한 다양한 시책으로 △주정차 단속요원 및 환경사원으로 신규 채용 △각종 자격취득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 신설, 운영 △대학생 교재비 및 검정고시 학원비 확대지원 등의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자리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정착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취업과 교육, 건강관리, 사회적 편견 등을 꼽았다.
문향숙 씨는 "지난 2010년부터 남대전 IC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북한이탈주민 채용 때 고용주에게 지원되는 취업 장려금이 3년까지만 지원돼 연말이면 그만 둬야 하는 실정"이라며 취업 장려금 지급기간 연장을 건의했다. 이어 채추화 씨는 "북한에서는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고 중국에서 장기 체류로 인해 건강이 좋지 않아 진료를 받아야 하지만 비급여 항목이 많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들은 또 △일자리 특례적용 확대와 △생활용품 정기적 지원 △쉼터 내 긴급환자 체계적 지원 △공공기관 인턴십 확대 등도 건의했다. 이에 대해 염 시장은 "치과와 산부인과, 성형외과 등 비급여부분의 의료비 지원과 연령 초과자의 검정고시 학원비 등 교육비 지원 방안을 복지만두레와 대전복지재단 사업과 연계해 마련하겠다"며 "현재 운영 중인 푸드마켓을 통해 생활용품 지원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최근 스트레스나 술, 약물 등으로 위 내벽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위염 환자가 연간 541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대전지역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대전에 이어 전국 두번째, 충북은 부산에 이어 4번째로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5년(2006~2010년)간 위염(분류기호 K29) 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환자 수는 지난 2006년 447만 명에서 2010년 541만 명으로 한해 평균 4.9%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는 같은 기간 9428명에서 1만 1058명으로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4.1%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환자 수는 대전이 10만 명당 1만 3961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충남(1만 2700명), 부산(1만 2567명), 충북(1만 2163명) 등의 순이었으며 광주(8527명)가 가장 적었다.
특히 대전과 충남·북은 지난 2010년 인구 10만 명당 위염환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발병 이유와 대책 등을 추적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는 지난 2010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여성 환자가 1만 3665명으로 남성(8493명)의 1.6배나 많았으며, 20대 연령층은 여성이 무려 남성의 2.3배에 달했고,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위염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지난 2006년 2793억 원에서 2010년 3758억 원으로 연평균 7.7% 늘었고, 5년 사이 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는 1924억 원에서 2574억 원으로, 입원 진료비는 86억 원에서 136억 원으로, 외래 진료비는 1674억 원에서 1863억 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지역의 한 전문가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음주, 약물 등으로 위염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며 “절제된 식사 습관과 함께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도록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 등이 치료 및 예방책”이라고 전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순위 | 지 역 | 인 원 |
1 | 대 전 | 1만 3961명 |
2 | 충 남 | 1만 2700명 |
3 | 부 산 | 1만 2567명 |
4 | 충 북 | 1만 2163명 |
5 | 광 주 | 8527명 |
충북대가 총장직선제 폐지와 관련한 교직원 찬반투표를 21~22일 예고한 가운데 반대 입장을 견지해온 인문대·사회대 교수회가 찬반투표에 대해 방식과 절차가 부적절하다며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충북대 인문대·사회대 교수평의회(이하 교수회)는 지난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찬반투표의 방식과 절차가 부적절하다며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교수회는 “이번 투표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투표하는 인터넷투표로 투표방식은 대학본부가 교수회와 협의를 전혀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정한 것”이라며 “투표는 본인의 비밀투표가 전제돼야 하는데 인터넷 투표는 개인의 투표성향이 기록으로 남을 뿐 아니라 남용될 소지도 있다.
또 이번 투표는 대리투표도 가능하며 이를 확인할 방법도 없다”고 지적했다. 또 “총장의 일방적 투표 강행은 구성원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대학의 민주적 의사결정을 파괴하는 폭거로 투표참여 자체를 전면 거부하며 불공정한 투표를 끝까지 강행할 경우, 그 결과를 수용할수 없고 총장퇴진 운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순철 기자 david012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