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이번 학기부터 신입생 수업 방식에 학생 중심과 토론 중심의 에듀케이션 3.0 프로그램을 도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최신 IT 기술을 통해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고, 수준별 맞춤학습에 따라 자기주도적 수업 참여가 가능해졌다.
또 선진 대학의 강의 및 컨텐츠를 공유하는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간 또는 동료학생 간 토론학습으로 상호 통합적 학습도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온라인 학습 플랫폼(KLMS)에 접속해 교수가 사전에 마련한 강의 영상과 슬라이드, 멀티미디어, 온라인 랩 등 디지털 자료를 통해 개인별로 학습하게 된다. 강의실 수업은 최소 주 1회 실시되며, 학생들은 온라인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들과 서로 질문하고 토론하며 그룹을 만들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한다. KAIST는 이 프로그램을 올 봄학기 신입생을 대상으로 적용·공모해 미적분학과 일반화학에서 과목 당 48명 씩 선발했다. 이태억 KAIST 에듀케이션 3.0 추진단장은 “대량교육을 위한 기존 강의방식으로는 미래사회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배출할 수 없다”며 “이공계 교육과 학습 방법이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배출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패러다임이 변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