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61주기 12차 대전산내학살사건 희생자 합동위령제가 서대전시민공원에서 열린 27일 원불교 대전·충남교구 관계자들이 종교제례를 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산내사건이 국가에 의해 진실로 규명됐음에도 불구하고 명예회복을 위한 가시적인 고증 및 기념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산내사건은 지난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17일까지 대전 산내 골령골 일원에서 충남지구 CIC(미 육군 방첩부대), 제2사단 헌병대, 대전지역 경찰 등이 법적 절차 없이 최소 1800여 명의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을 법적 절차 없이 집단 학살한 사건이다.
특히 이 사건은 지난해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진실로 규명돼 희생자 및 유가족들을 위한 보상과 명예회복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진실규명 이후에도 희생자와 유족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실제적 후속조치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우선 산내학살의 직접적 행위자인 국가의 소극적인 대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산내학살은 과거사정리위 활동이 마무리 단계에 돌입한 시점에서 발견·규명돼 학살인원과 희생자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희생자와 유족들의 보상과 명예회복을 위한 실질적 후속조치가 미흡한 상태에서 과거사정리위의 직접적인 조사활동이 지난해 종료된 상태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전시 역시, 관련 자치단체로써 사실상 관심 수준의 제한된 역할에만 머물고 있다.
희생자 유족들이 단기적으로 위령탑 건립, 중·장기적으로 평화공원 조성 등을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학살지 인근 주민들의 정서적 거부감도 관련시설 건립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학살지 인근 토지 대부분이 사유지인 가운데 유해발굴에 따른 재산권 행사 제한, 기피시설 건립 등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내학살의 해당 당사자인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위령탑 건립에 대한 인근 주민들의 반감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향후 평화공원 등 거시적인 관점에서 추모 사업을 추진한다면 주민들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유족회의는 27일 서대전 시민공원에서 전국 유족회원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61주기 위령제를 개최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