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황해경제자유구역 당진 송악지구가 당초 계획보다 절반 이상 축소돼 추진된다.

충남도는 송악지구 개발면적을 당초 394만㎡에서 150만㎡로 축소하는 안을 놓고 오는 29일 당진에서 황해청, 송악지구 주민대표와 만나 주민토론회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도는 송악지구 개발면적이 394㎡로 규모가 커 사업 시행사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던 만큼 규모가 축소되면 사업자가 관심을 보일 수 있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새롭게 지정될 150만㎡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마련되지 않았다.

일단 새로운 축소안의 윤곽이 잡힌 만큼 송악지구 주민대표와 토론회를 통해 개발사업의 돌파구가 마련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가 제시한 송악지구 축소안은 무난히 합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송악지구 주민대책위의 경우 축소 규모가 크면 클수록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김진선 송악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은 “최소로 할 수 있는 면적만 했으면 좋겠다”며 “도가 최대로 축소할 수 있으면 축소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반면 송악지구 개발사업 추진 시기를 놓고 이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의 경우 황해경제자유구역이 경쟁력이 있고 사업 투자자 선정만 용이하게 진행되면 아시아 중심의 사업지구로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으로, 자유구역 해제만이 능사인지 주민들과 함께 대안을 갖고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송악지구 주민들의 경우 최대 6개 월 내 사업 시행사 선정을 기다려 줄 수 있을 뿐 그 이상 사업이 표류할 경우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도가 어떠한 안을 갖고 나와 통보하는 형식일 경우 우리는 받아 들일 수 없다”며 “사업자가 선정돼도 실시설계가 1년이상 걸린다. 이를 고려할 경우 최대 6개월을 기다릴 수 있다. 6개월이 한계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경제자유구역의 핵심은 외국인 투자가 용이하도록 정주여건과 투자여건을 여유있게 허용하는 것으로 이것이 허용되면 아시아 중심 사업지로 만드는 게 목표”라며 “주민들과 만나 자유구역 개발사업을 포기하는 게 좋은지 사업을 지속하는 게 좋은지 대안을 갖고 말씀 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주민토론회는 그동안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해 표류해 온 송악지구의 사업 시행사를 확보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지난달 15일 황해청이 제안한 것으로, 토론을 통해 사업규모 축소 등 개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계획 됐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