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의 초입에 들어섰지만 평년보다 한층 강화된 냉·난방 운영기준 등으로 추위와의 사투를 불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행정안전부·대전시·5개자치구 등에 따르면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해 ‘2010 자치단체(산하기관 및 공공기관 포함) 청사 에너지절감 목표관리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에너지 사용량 10% 절감을 목표로 비상 에너지 절감대책을 마련·시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개인 전열기 사용금지, 적정 난방온도(18도 이하) 준수, 출입문 사용시 회전문(방풍문) 이용, 집중근무시간 활용으로 시간외 근무 줄이기, 4층 이하는 계단이용, 야간근무 시 전기스텐드 이용 등 10대 실천수칙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다 올해는 평년과 달리 냉·난방 운영기준 강화의 일환으로 기준온도를 난방 20도에서 18도로 낮추고, 난방 기간도 혹한기를 중심으로 90일에서 72일로 조정, 공무원들의 근무 여건을 저하시키고 있다.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청사관리 담당 직원이 청사 내에서 사용중인 전열기 및 전기방석 등을 압수하기 위해 사무실 검열을 실시, 공무원들의 사기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일부 공무원들은 현장의 근무여건과 민원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에너지 절감 조치라며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한 공무원은 “야근 때 추위를 견뎌내며 근무를 해야하고, 전기스텐드를 이용하라는 수칙은 업무의 효율성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수칙”이라며 “민원인들이 많이 몰리는 구청의 경우 실내온도를 낮추고 난방기간을 줄이는 것은 현실에 반하는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민원인 김 모(35·가오동) 씨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시한 채 불편을 감수하며 무조건 줄이기 식 에너지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무지한 생각”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행안부는 정부합동평가 지표에 자치단체의 에너지절약 추진실적을 반영, 평가해 보통교부세 산정에 반영 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동구청 관계자는 "정부가 정해놓은 에너지 절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전국 타자치구와 비교해 무능하다는 지적과 함께 교부세 삭감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정부 정책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며 “밀어붙이기 식 정부의 합리화 정책이 이제 그만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가 공무원과 지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한다고 지적한다.
반면 행안부 관계자는 “전국 5344개 공공기관에서 함께 시행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수칙이라는 점에서 누구보다 공무원 스스로가 솔선수범 해 시민들의 동참을 이끌어 내야한다”며 “소수의 공무원 및 시민들이 민원이 있을지 몰라도 기존 수칙대로 공공기관의 자율적 에너지절감 실천을 통해 지역사회 민간부문이 참여하는 에너지 절약운동으로 확산 시킬 방침”이라고 일관하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