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친일 자손은 부귀영화를 누리는 반면 독립운동가의 자손은 경제·사회적 고통을 당하는 뒤바뀐 사회풍토, 식민지 통치를 위해 도입된 법과 제도, 민족정기 말살을 꾀하는 식민사관 등 일제 잔재가 남아서 역사 왜곡의 바탕이 되고 있습니다.”
서천교육지원청 이원훈 교육장은 “정치권이 일제 잔재를 없애고, 민족혼을 회복하기 위해 하루 빨리 법안 제정에 나서야 한다”며 일제 강점기 잘못된 해상도계를 바로잡기 위한 수산업법 개정 등 범 국가적인 노력을 촉구했다.
이 교육장은 “1914년 일제가 식량수탈을 위해 군산을 수탈기지화하면서 충남에 속해있던 어청도, 연도, 개야도 등을 전북 군산시로 편입시켰다”면서 “이에 따라 공유수면에 있는 해상 도계가 전북 군산에는 유리하게, 충남 서천에는 불합리하게 그어졌다”며 조속한 경계조정을 요구했다. 특히 “일제시대의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부당한 해상도계를 바로잡아 서천 어민들이 인근 해역에서 자유롭게 어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근간을 마련해야 한다”며 “해상경계 법제화를 조속히 마련해 더 이상 자치단체 간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육장은 또 “올해는 한·일 합방에 도장을 찍은 경술국치 100년, 독립 65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해”라고 전제한 후 “그런 의미에서 일본인에 의해 획정된 해상도계를 바로잡는 것은 일제 잔재를 떨치는 지름길”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서천군의회가 결의문을 채택해 청와대에 전달키로 하는 등 강력한 대응을 예고하고 있는 데 대해 적극 지지한다”며 “일제 잔재를 온전히 떨치기 위해 교육청 차원에서도 서명운동을 실시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장은 “해상도계 바로잡기는 물론, ‘바른 품성 가꾸기’, ‘높음을 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기르기’, ‘보람이 가득한 교직문화 만들기’, ‘사랑이 넘치는 행복 꿈터 다지기’, ‘희망을 심어주는 교육행정 펼치기’를 통해 앞으로도 서천 인재들이 세계적인 동량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서천= 노왕철 기자no850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