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시가 극심한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정부 고위공무원단(행정기관 국장급 이상 1~3급 공무원)에 대전·충청권 인사가 사실상 희귀현상을 보이면서 중앙·지방 간 인사교류는 물론, 지역발전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 구축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일 국회, 행정안전부, 대전시 등에 따르면 올 6월 기준으로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직자는 모두 1500명으로 이 가운데 대전·충청권 고교 출신인사는 135명으로 9.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반면 서울과 영남출신이 각각 전체의 37.5%, 27.3%로 전체 고위공무원단의 64.8%를 점유하는 등 특정지역, 특정학교 출신자들의 편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대전시 소속 공직자들의 중앙부처 근무 기피현상도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행안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 통계'를 보면 대전시 소속 공직자 중 인사교류를 위한 전출은 행안부에 2명, 국가기관에 1명 등 타 시·도(1명)와 자치구(102명) 전출을 제외하면 단 3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에 충북과 충남이 각각 6명, 10명을 보냈고 서울시 17명, 전북 5명, 전남 9명, 경북 8명, 경남 8명 등 타 시·도가 경쟁적으로 중앙부처와 활발한 인사교류를 진행하고 있지만 유독 대전시만 제외되고 있다.
반면 대전지역 자치구들은 중앙과의 인사교류에 적극적이다. 지난해 5개 자치구 소속 공직자 중 행안부를 포함, 중앙부처로 이동한 인원은 모두 5명으로 대전시의 인사교류가 그만큼 적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다.
문제는 고위공무원단에 지역 인사가 적고, 지역 출신 공직자들의 중앙부처 근무 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당장 인사교류 및 지역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최근 임명된 조욱형 대전시 기획관리실장의 경우 경남 통영 출신으로 류순현(부산 출신) 전 기획관리실장에 이어 타 지역 출신 인사로 임명 막판까지 지역 출신 대상자를 찾지 못해 발탁됐다는 후문이다.
역대 시 기획관리실장을 보더라도 권선택 의원(자유선진당)과 박성효 전 대전시장, 송석두 G20 준비위원회 총괄운영국장을 제외하면 대부분 타 지역 출신자들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정계·경제계는 물론 시민들까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대전발전을 위해 중앙에서 정책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 출신의 공직자들을 양성해야 한다”면서 “국가정책을 결정하는 중앙부처에서 지역의 입장을 대변할 인재를 키워 대전을 한국의 신중심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도 “지역출신 고위직 인맥이 부족해 중앙과의 인사교류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최근 기획관리실장 인사도 지역출신 인재 풀이 너무도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행정고시 출신자들의 현실 안주가 중앙과의 인사교류를 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시 본청에서 고시 출신자들을 지나치게 우대하면서 행안부 등 중앙부처 근무를 꺼리고 있다"며 “지역발전과 공직자 스스로를 위해 중앙부처 근무를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