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소속 청주시의원들이 시의 재정위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특위 구성을 당론으로 결정하자 정치적 논란과 함께 한나라당 의원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기본적으로 특위 구성에 반대하면서도 당론이라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 의정활동의 독립성 침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시의회 민주당의원들은 7일 오후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윤송현 의원 등 9명이 발의한 '청주시 예산에 대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해 당론으로 특위 구성에 찬성키로 했다.
또 이들은 오는 9일 기획해정위원회를 열어 의사일정을 변경하고, 10일 제3차 본회의가 열리면 특위 구성안을 상정해 구성여부를 최종 결정키로 합의했다.
특위 구성여부가 표결로 가더라도 시의회 전체 26개 의석중 민주당이 17석, 한나라당이 9석인 점을 감안하면 특위 구성을 의결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특위 구성의 적정성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던 민주당의원들이 돌연 당론으로 특위 구성을 찬성키로 하자 그 배경에 의구심을 낳고 있다.
당초 반대 입장을 내비쳤던 일부 의원들은 여전히 특위 구성의 필요성을 못 느끼지는 당론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어서 이같은 의문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민주당 소속 한 초선의원은 "특위구성을 통해 어떤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스러워 지금도 개인적으로 반대입장이지만 당론으로 결정됐기 때문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같은당 한 재선의원은 "특위가 구성되면 민선4기 당시 예산을 심사했던 8대 의회의 일원으로서 큰 부담이 가는게 사실이지만 당론이 찬성으로 결정됐으니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민주당의원들의 단체행동에 정치적 꼼수가 숨어있는 것 아니냐는 억측까지 난무하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도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나라당 소속 한 의원은 "8대 때는 민주당과 한나라당을 떠나 시정결정을 하면서 당론으로 결정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며 "이같은 사안이 과연 당론으로 결정할 사안인지 의문스럽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 의원은 이어 "지방자치 실현을 위한 기초의회라면 당리당략보다는 의원 개개인의 자유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며 "당대당 신경전이 아닌 민생안정이 기초의회의 최우선 과제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