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와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이희범)에 따르면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중 '출산율 제고 관련 주요 고용정책'에 대해 60.2%의 기업들이 '부담이 크다'고 밝혔다.
또 기업들은 '출산율 제고 관련 주요 고용정책'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39.6%가 '낮다'고 응답했고, '보통'(34.8%), ‘높다’(25.6%)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는 기업 부담이나 활용도 측면에서 산업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기업들은 '출산율 제고 관련 주요 고용정책' 시행에 따라 가장 우려되는 부작용으로 ‘여성고용 기피’와 ‘인건비 증가’를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중기중앙회 측은 중소기업의 경우 인력 및 경영사정의 한계로 인한 '여성고용기피 현상'을 가장 우려하며, 전체근로자 85%이상의 고용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현실을 감안할 때 이번 제도가 무리하게 시행될 경우 고용부담 증가 및 경영 악화를 넘어 여성고용기반마저 약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기존에 나온 출산률 제고를 위한 각종 정책들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및 국회가 각종 휴가·휴직제도의 확대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실제로 출산율 제고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면서 기업의 비용부담 증가와 여성고용기피로 인한 고용활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