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산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를 앞둔 가운데 각 기관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개발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각 산하기관들이 조직규모와 기능, 업무특성 등이 차이를 보이지만 12개 기관을 비교해 등급별 순위를 정하다 보니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 궁극적으로 기관 본연의 기능과 목표가 무엇이고 이를 얼마나 달성했는지에 대한 기관별 맞춤형 평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충남도는 기관별 경영합리화와 책임성 강화를 목표로 4~5월까지 2개월간 도내 12개 산하기관에 대해 경영평가에 들어간다.
대상 기관은 △충남발전연구원을 비롯해 여성정책개발원, 역사문화연구원 등 3개의 연구기관과 △충남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충남문화산업진흥원, 농업테크노파크, 신용보증재단 등 4개의 산업진흥기관 △충남장학회, 충남체육회, 충남교통연수원, 충남장애인체육회, 충남청소년육성센터 등 5개의 문화체육기관 등 총 12개다.
경영평가 지표로는 조직구조의 합리성 및 효율성, 활성화 노력 등 관리부분, 사업성과 평가 등 경영부문, 전화설문조사를 통한 고객만족도 등 총 3개 부문이 적용된다.
도는 평가결과에 따라 12개 기관을 가등급 2개, 나등급 4개, 다등급 4개, 라등급 2개로 각각 구분해 등급별 순위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가등급에 속한 산하기관장은 연봉의 10%가 성과급으로 지급되며 나등급은 5%, 다등급은 0%, 라등급은 -5%로 각각의 성과급 지급 기준이 적용된다.
그러나 12개 기관이 기능과 규모 등 차이가 명확함에도 불구하고 3개의 지표만으로 이를 평가해 순위를 정하기에 다소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다는 주장이다.
장학회의 경우 조직원이 3~4명인 반면 충남발전연구원의 경우 40여명 이상으로 조직의 효율성 평가에서 동일한 평가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사업성과를 평가할 시 연구기관과 산업진흥기관 등 각 기관의 기능과 목표가 달라 성과 비교가 난감하다.
특히, 각 기관이 평가에 있어 좋은 성적을 받아내기 위해 성과위주로 지나치게 몰입할 경우 자칫 기관 본연의 목표를 추구하기 보다 효율성만 강조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