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대전지역 전통시장에 대한 화재안전 점검과 예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지난 12일 발생한 대전 동구 중앙시장 화재 진화 모습. 충청투데이DB |
|
|
대전지역 전통시장 화재예방을 위한 전반적인 안전점검 및 화재예방 메뉴얼 마련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통시장은 건물의 노후화 및 밀집도, 취급물품의 인화성 등 화재에 대한 근본적인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어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5일 대전시와 각 자치구에 따르면 대전지역에는 총 34개의 전통시장에 7082개의 점포, 1만 1316명에 이르는 종사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는 동구가 중앙시장활성화구역 7개소를 포함해 역전, 역전지하상가, 용운 등 총 14개소로 가장 많다.
이어 중구는 중앙로지하상가와 태평·문창 등 9개소, 서구 4개소, 유성구 2개소, 대덕구 5개소 등이다.
하지만 이 같이 시 전역에 산재한 전통시장의 경우 시설의 노후, 영세성 등으로 인해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도심 대부분의 시장들이 1950~70년대 생성된 목조건물이 주를 이루고 있어 이 같은 우려는 더욱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각 자치구들은 이에 따라 안전점검과 시설물 보강을 유도하고 있지만 소규모 영세상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전통시장의 특성상 시설 투자가 제때 이뤄지긴 힘든 상황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전통시장 화재의 원인은 전기안전시설 미비로 인한 전기합선·누전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여기에 전통시장은 각종 물품과 노점상의 상품적치로 인해 소방통로 확보도 쉽지 않아 소방당국이 초기 진화에 애를 먹고 있는 형국이다.
아울러 대부분의 보험회사들은 보험손실률만 280%에 이르는 전통시장의 보험가입을 고사하거나 꺼리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은 가중된다.
실제 지난 12일 발생한 동구 중앙시장 화재도 이 같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시장 역시 도로 중앙을 점유한 좌판이 화재를 키워다는 지적이다.
당초 좌판은 바퀴를 달아 신속한 기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지침이었지만 대부분의 노점상들은 크기와 높이를 부풀려 300㎏에 육박하는 반고정식 좌판으로 운영됐다.
무엇보다 전통시장의 주요 취급물품인 의류, 잡화, 포목의 경우 인화성이 강해 가뜩이나 밀집도가 높은 전통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화재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2005년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는 전통시장의 화재취약성을 여실히 증명한 사건이다.
대구 서문시장은 섬유산업이 발달한 대구의 초대형 포목류 시장으로 지근거리에 소방본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져 천문학적인 피해를 불러왔다.
총 1060개 점포 가운데 700여개 점포가 전부 소실됐고 재산피해만 179억 원에 이르렀다.
때문에 인화성이 높은 물품을 취급하는 동구 중앙시장 일대에 대한 전반적 화재점검과 대책마련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중앙시장 활성화구역 일대는 이불과 의류, 잡화 등을 취급하는 점포가 밀집해 있다”면서 “화재발생 시 초기진화에 전력할 수 있는 소방통로 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구 관계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구성된 외형과 달리, 내부는 대부분 수십 년이 경과한 목조건물이다”라면서 “이 같은 전통시장의 화재 취약성을 단 번에 보강하기는 쉽지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