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 시·도민 결의대회’가 16일 대전역 광장에서 열려 참석한 충청권 인사들과 시민 5000여 명이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 사수를 위한 충청권 3개 시·도민의 열망이 꽃샘추위를 녹였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비상대책위원회가 주최한 결의대회는 16일 대전역 광장에서 염홍철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와 지역 국회의원, 기초의원 등 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당위성을 역설했다.
이날 대회는 지난달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충청권 공약 백지화성 발언에 대한 성토와 공약이행을 갈망하는 충청권 시·도민의 염원과 결집력을 재확인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대위 정성욱 대전비대위 대표, 유철웅 충북비대위 대표, 정경식 충남비대위 대표 등은 이날 결의문을 통해 대통령의 즉각 사과 및 충청권 입지 촉구, 지역이기주의와 국론분열 조장 세력에 대한 단호한 행동을 결의했다.
염 시장은 연대사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는 세종시가 주는 교훈을 망각하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는) 세종시 문제로 국론분열 국가적 낭비를 초래했고 사필귀정 세종시는 원안대로 추진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벨트 입지를 법대로 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에는 중이온 가속기를 넣지 않거나 분산배치 등 세 가지 함정이 내포돼 있다”면서 “그렇지만 과학벨트도 사필귀정 충청권에 입지하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이명박 대통령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 표를 얻기 위한 거짓말이라고 말했다”며 “국가 운영을 저렇게 해도 되는지 화가 치민다”고 성토했다. 안 지사는 또 “(과학벨트와 같은 일이) 영·호남에서 일어났다고 하더라도 충청민은 약속을 이행하라고 대통령께 경고할 것”이라며 “충청권과 과학계, 나아가 대한민국 기초과학의 발전의 중요성 측면에서 과학벨트는 공약대로 이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지사는 최근 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사태를 거론하며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의 타당성을 주장해 호응을 얻었다. 이 지사는 “과학벨트의 핵심적 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워낙 민감한 장치이다”고 전제한 뒤 “지진과 쓰나미의 영향을 받는 곳에 (중이온 가속기가 들어서는 것은)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과학벨트는) 대통령의 형(이상득 의원)이 있는 곳(포항)에 입지해서는 절대 안 될 것”이라며 “세종시는 형님이 없고 충청도 양반만 있는 지역으로 500만 충청민의 역량을 결집해 과학벨트를 지켜내자”고 대통령을 정면 겨냥했다.
한편 대회참가자들은 행사가 끝난 후 대전역에서 충남도청까지 가두행진을 벌이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홍보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