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충주시 앙성면 중전리의 한우농가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28일 양성으로 판정되면서 마을로 연결되는 모든 도로에 방역초소가 설치된 가운데 관련 공무원들이 진입하는 차량을 통제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충북 충주까지 확산되며 충남도가 구제역에 포위됐다.
지난달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경기도를 비롯해 강원도와 인천시로 확산되며 충남을 ‘ㄱ’형태로 압박하는 가운데 28일 충북 충주에도 구제역이 발생, 충남이 사면초가에 몰렸다.
특히 지난 4월 인천시 강화군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도와 충북을 거쳐 충남 청양으로 확산된 전례가 있어 또 다시 구제역 사태가 발생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또한 충북의 경우 충남과 생활권이 밀접하고 교류가 많아 자칫하면 구제역 유입이 시간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충남도는 이에 따라 2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충주 구제역 발생에 대한 긴급 방역대책을 발표했다.
도는 충주 구제역이 확진됨에 따라 충북지역 도계를 중심으로 유입도로망의 통제초소를 확대·설치하는 등 현재 54개인 방역초소를 60개로 확대키로 했다.
또한 충북과 인접한 천안시와 연기군에 소재한 우제류 사육농가에 대한 차단·예찰·소독 등 현장방역을 강화하며 근무 인력을 240명에서 260명으로 증강할 것을 지시했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확산 추세에 있는 구제역에 대한 방역활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지난 24일 수의사와 전문가, 축산과 직원 등 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가축방역점검반’을 편성해 각 시·군 방역현장과 축산기반시설 등 취약시설을 세밀히 점검하고 있다.
도는 전방위적 구제역 방역활동을 위해 긴급 예산 2억 8600만 원을 편성·투입했으며 방역 상황을 종합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키 위해 시·군 상황실 및 방역초소를 24시간 운영키로 했다.
지난 5월 1일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은 축산기술연구소도 비상이 걸렸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축사 주변에 방역 울타리를 설치하고 연구소 내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으며 매주 2차례에 걸쳐 연구소 반경 500m의 축산농가를 직접 소독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김홍빈 충남도 축산과장은 “충남은 생활자체가 충북과 가장 밀접하고, 천안의 경우 경기도와 도계만 있지 같은 생활권”이라며 “방역활동에 가능한 자원은 총 동원해 구제역 유입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이어 “구제역은 사람에 의해 전염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방역을 위해 농장주가 차단 및 이동을 통제하고 불필요한 출입을 스스로 억제해야 한다”며 “농장주가 축사에 대한 예찰과 소독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충남도는 지난 5월 청양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도내 51개 농가 6590마리의 우제류를 살처분·매몰한 바 있다.
한편 대전시는 27일 구제역 의심사례를 신고한 서구 기성동 이모(53) 씨의 한우농가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정밀검사에서 '구제역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이 농가는 사육중이던 소 97마리 가운데 1마리의 코에 딱지가 생기는 등 구제역이 의심된다며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