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생강과 같은 채소값의 오름세는 저장물량이 막바지에 이르렀고, 일부에서는 지난주 우천으로 산지 출하작업이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6일 대전농산물공판장과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1㎏)는 전달 대비 670원(106.3%) 급등한 1300원의 도매가를 기록했다.
양배추(10㎏)도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3500원(63.6%) 뛴 9000원에, 당근(20㎏)은 6600원(42.9%) 오른 2만 2000원에 각각 거래가 이뤄졌다.
시금치(4㎏)는 전월 대비 1700원(32.1%) 올라간 7000원에 경매가 이뤄졌고, 대파(1㎏)도 200원(20%) 상승한 1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깻잎과 부추 등 노지(바깥)에서 생산된 채소류는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따뜻한 햇볕을 받고 잘 자란 채소를 소비자가 조금 더 싼 가격에 즐길 수 있게 된 것.
청피망(10㎏)의 경우 지난달보다 4만 3600원(-65.5%) 폭락한 2만 3000원에 거래가 진행됐고, 조선애호박(8㎏)도 1만 3600원(-53.1%) 빠진 1만 2000원의 경매가를 기록, 하락세를 보였다.
풋고추(10㎏, -45%)와 미나리(20㎏, -37.5%)도 가격이 떨어졌고, 부추(1㎏, -25.6%), 오이(다다기계통, 15㎏, -21.2%), 상추(치마, 4㎏, -20%), 가지(10㎏, -8.8%), 깻잎(2㎏, -1.3%) 등도 내림세를 띠었다.
농산물공판장 관계자는 “채소류는 전반적으로 물동량이 늘었지만 소비부진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조금 내렸다”며 “배추 등의 저장채소는 저장기간이 끝나가는 시점이라 시세가 다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