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침체의 여파로 급식비와 수업료를 제때 내지 못한 도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북도는 지난해 6월 학교급식지원에 관란 조례를 제정해 학교급식을 지원했지만 급식비를 내지 못한 학생 수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초·중·고등학교에서 급식비를 미납한 학생 수는 1027명으로 이를 금액으로만 따져도 1억 930여만 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 2007년 729명 미납에 미납액 9270여만 원과 비교해 학생 수로는 298명이 늘어난 수치고 금액으로는 1660여만 원이 늘어난 수치다.

고등학교의 경우 지난 2007년 145명이 급식비를 내지 못했지만 지난해는 311명이 급식비를 내지 못해 배가 넘는 미납 현황을 보였다.

학비를 내지 못하는 학생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도내 고등학교에서 수업료를 내지 못한 학생 수는 6명으로 금액으로는 193만 3100원이다.

지난 2007년 13명 미납, 미납액 325만 6800원과 비교해 줄어든 수치지만 지난 2006년 4명 미납, 미납액 160만 4700원과 비교해서는 늘어났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선거의 모든 것 A부터 Z까지 책임집니다.’

충청투데이와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은 2010년 6월 2일에 실시하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선거 출마자를 위한 차세대 정치리더십 전문교육 ‘창의실용 정치 아카데미’를 준비하고 제1기 원생을 모집한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성공의 지름길을 제공할 이번 정치 아카데미는 선거 전략부터 PR까지 후보자의 궁금증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선거전략은 물론, 유권자와의 소통기법을 중점 교육할 예정이다.

특히 국내 최고의 강사진, 수준 높은 강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성공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 정치 아카데미 원생들에게는 독일 나우만재단 ‘지방정치 CEO 과정’ 연수기회와 함께 수료증도 수여한다. 독일 나우만재단은 1958년 자유주의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테오도르 호이스(Theodor Heuss) 독일 연방공화국 초대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정치재단이며,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존엄성 안에서 개인의 자유’라는 원칙을 증진하기 위해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개원 취지


최근 비정규직법, 미디어법 등을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치는 늘 대립과 갈등, 분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채 여전히 정치의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않다.

지방정치 역시 중앙정치 예속화 등으로 당리당략에 함몰돼 지역민의 여망을 제대로 받들지 못해 국민들로부터 거센 비판에 직면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처럼 중앙과 지방을 막론하고 정치인들이 국민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의정을 제대로 수행할만한 자질을 갖추지 못하는 이들이 당선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유권자들의 의식도 문제지만 자질 함양을 게을리하는 정치인들의 안이한 현실 인식이 정치 토양을 척박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충청투데이와 한남대 행정복지대학원이 공동 주최하는 ‘창의실용 정치 아카데미’는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자질 향상과 한국 정치의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이정표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한층 무르익고 있다.

△프로그램

여야 각 당이 당파적 이익 등을 고려해 정치 아카데미를 앞다퉈 실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충청투데이와 한남대가 공동으로 개원하는 이번 ‘창의실용 정치 아카데미’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객관적·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자질향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격동하는 국내 정치 구도 속에서 자신의 정치적 선택과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창의적 차세대 리더십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선거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요소로 손꼽히는 유권자와 소통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을 홍보할 수 있는 기법을 연마할 수 있는 계기를 포착할 수 있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수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10주 간의 정기 교육을 마친 후에는 희망자에 한해 5일 동안 정치선진국 독일을 방문, 나우만재단 등에서 지방정치에 대한 이론과 실무교육을 받을 수 있는 특전까지 부여된다.

이와 함께 지방선거에 임하는 선거전략과 공약개발에 대한 노하우 등 지방선거 실무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사진 및 교육 방법

이번 정치 아카데미에는 정계의 실력자는 물론 학계 인사, 선거 전문가 등이 강사로 나와 품격높은 강의와 선거 노하우 등을 전수해 줄 예정이다.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를 비롯 3선의 관록을 자랑하는 김부겸(민주당)·원희룡(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완구 충남지사, 이명박 대통령 선거기획전략팀장을 지낸 재선의 정두언 의원, 대전 동구청장을 역임한 임영호 의원(선진당), 김학량 캠스트 대표(㈜리서치&리서치 정치사회조사담당 이사), 김형준 명지대 교수(한국정치학회 이사),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기획 대표, 박현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변해섭 대전선거관리위원회 조사관, 송병대 한나라당 대전시당 위원장, MBC아나운서 출신인 이미영 유어커뮤니케이션 컨설팅 대표, 최민수 국회 사무처 연수국장 등이 정치지망생 들에게 선거에 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계획이다. 이번 정치 아카데미는 특히 특정 정당에 치우치지 않고 각 분야의 실력자들을 골고루 섭외해 그들의 독특한 정치역정 및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은 정치 지도자 등과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토론식 수업으로 진행되며 사례 발표 중심의 생생한 강의가 곁들여진다.

△특전 및 모집 대상

이번 정치 아카데미 수료생들은 자연적으로 정치네트워크 및 그룹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공천 확정 시 각종 선거전략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줄 예정이다. 아울러 한남대 총장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되고 한남대 행정복지대학원 입학 시 우대한다. 비록 5일 간의 짧은 일정이지만 해외 연수 시엔 독일 나우만재단의 수료증도 발급된다.

2010년 지방선거 출마 희망자는 물론 광역·기초의회 의원 및 직원, 국회 보좌진, 지방정치에 관심있는 시민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원서 접수 및 교육 일정

원서는 오는 13일부터 19일까지 접수하며 교육기간은 이달 29일부터 9월 30일까지, 교육시간은 매주 수요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2시간 동안 총 10주에 걸쳐 한남대 행정복지대학원 세미나실에서 이뤄진다. 모집인원은 50명에 한해 선착순 마감하며 수업료는 150만 원(교재비, 간식비 포함)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남대 행정복지대학원(전화 042-629-8098)으로 문의하면 된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공기업에 취업하기 위해서 어떻게 시험 준비를 해야 하나요?”, “취업시 가산점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자격증이 필요하나요?”, “공기업과 일반 기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7일 오후 충북대학교에서 열린 한국농어촌공사충북지역본부의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에 참석한 취업준비생들의 취업에 대한 질문들이 1시간 가량 오고 가는 등 취업 열기가 뜨거웠다.

이날 대학교 재학생을 비롯 졸업생 등 구직자 150여 명이 설명회장에 몰려 최근 심각한 취업난을 실감케 했다.

최근 공공부문 신규채용이 얼어붙은 가운데 한국농어촌공사가 190여 명이라는 대규모 신입사원 채용계획을 밝히면서 공기업 신규채용에 물꼬는 트는 계기가 될지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이는 최근 들어 공공부문 신규채용으로는 최대 규모라는 점과 정부의 강도 높은 공공부문 경영선진화 및 정원축소 방침에 따라 대다수 공기업이 채용을 미루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충북신용보증재단도 최근 신규 직원 3명 채용에 198명의 지원자가 대거 몰려 66대 1의 경쟁률을 보이는 등 공공부문 취업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날 농어촌공사충북지역본부는 설명회에서 공사 홍보 동영상과 사업내용, 채용 관련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공사 취업에 성공한 선배들과의 질의 응답 시간에는 취업 준비에 관련된 질문들이 쏟아져 취업준비에 대한 열기를 엿볼 수 있었다. 농어촌공사의 이번 신규채용 모집부문은 행정, 토목, 지질, 기전, 전산, 환경분야 등이며 연령, 학력, 전공 제한이 없다. 해양토목과 수산, 조경, 홍보분야도 채용할 계획이다.

경제난으로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및 농어업인 자녀는 전형시 우대와 지방대 졸업자 등 지역인재 채용을 늘리기 위해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도입해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처럼 공기업들의 신규 직원 채용이 미뤄져 취업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농어촌공사의 신규직원 채용이 시발점이 돼 다른 공기업으로 확산될지 여부도 주목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충북지역본부 관계자는 “수도권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업에서 불이익을 받아온 지역에서 출생하고 공부한 인재들을 지역 농어촌발전의 핵심인력으로 활용키 위해 지역채용할당제를 도입해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더욱 높다"며 “오는 10일 충주 건국대에서도 지역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채용 설명회를 가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오랜 만에 친정을 찾았다가 고속도로를 이용해 대전으로 돌아오던 백 모(32) 씨는 하이패스 충전을 위해 휴게소를 들렀다가 당황스러운 경험을 했다.

오후 8시 이후에는 휴게소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충전 서비스가 종료됨에 따라 수수료(700원)를 지불하고 직접 기계(ATM기)로 충전을 해야한다는 설명을 들었기 때문이다.

편리하게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한 푼이라도 아껴보고자 거금을 들여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했는데 충전 ‘수수료’까지 물어야 한다는 설명이 쉽게 납득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늦은 밤 별다른 도리가 없다고 판단한 백 씨는 어쩔 수 없이 수수료를 내고 충전해야만 했다.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하이패스 이용객 확보를 위해 전방위적인 홍보와 판촉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하이패스 이용객은 여전히 크고 작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휴게소 충전 문제의 경우도 고속도로 휴게소 내 종합안내소 근무자의 근무시간 종료로 불거지는 휴게소 자체 문제여서 개입하기 곤란한 부분이라는 게 도로공사의 설명이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휴게소의 경우 임대 운영하는 형식이고 휴게소 자체적으로 오후 9시 이후에는 인건비 절약을 위해 최소 인원만을 투입하고 있어 도공 입장에서는 휴게소 충전 시간 연장을 위한 특별한 개선책을 마련하기 요원하다”며 “진출입로 영업소는 24시간 운영되므로 불가피한 경우 영업소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하이패스 이용객 입장에서는 할인혜택(상시 5%)과 20㎞ 구간 출퇴근 할인(하이패스 이용시 20%~50% 할인) 등을 홍보하면서 일과시간 이후 충전 수수료 문제를 간과하고 있는 도공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오작동 미납분 납부시 수수료’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차량이 톨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통행료가 결제되지 않을 경우 도공은 해당 차량주에게 ‘통행료 납부 요청 안내문’을 발송, 미납분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미납분 납부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은행 송금 수수료 문제에 대해서는 납부자에게 떠넘긴 채 무방비한 상태다.

장애인 하이패스 혜택 문제도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 차량이라도 하이패스 차로로 진입한 뒤 요금을 계산할 때는 일반 차로로 나와 장애인 탑승 여부를 확인받아야 하기 때문에 하이패스 혜택은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도로공사도 현 시점에서는 육안식별을 통한 장애인 탑승 여부 확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도로공사는 지문인식 시스템을 활용, 통행료 면제나 50% 할인 혜택을 검토하고 있으나 전용 단말기 탑재 비용 부담 문제와 시스템 개발비 부담 등으로 속만 앓고 있는 중이다.

지난 3월 선불제 시스템의 불편 해소를 위해 후불식 카드를 도입하는 등 공사도 다각적으로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으나 이용객이 느끼는 불편의 수위는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다.

‘법아래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는 법언에도 불구하고 관련 내용을 충실하게 파악해 숨은 대안을 활용하지 않은 불이익을 온전히 하이패스 이용자에게만 떠넘기기에는 하이패스 운용 서비스가 아직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쌀값 안정을 위한 정부대책촉구 충남농민단체 공동기자회견이 7일 한나라당 충남도당 앞에서 열려 기자회견을 가진 후 관계자들이 정부대책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홍성후 기자 hippo@cctoday.co.kr  
 
충청지역에 쌀 재고량이 넘쳐나자 농민들이 특단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가격 폭락은 물론 올 가을 햅쌀 수매까지 우려해야 하는 지경에 처했다는 게 그 이유다.

예년 같으면 여름에 접어들면서 쌀 값이 한창 오를 때지만 지금은 반대로 쌀 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수확기부터 80㎏(정곡)당 16만 원대를 유지하던 쌀 값은 최근 들어 15만 원대로 내리더니 추가 하락의 조짐마저 보이는 추세다.

반면 지난달 말 현재 충남도내 쌀 보유량은 14만 76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4%나 늘었다.

게다가 습한 장마철과 더운 여름이 되면서 농가에 보관중인 쌀의 상태도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농민들의 고심은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도내 농민단체들은 연대를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하며 단체 행동도 불사하고 나섰다.

7일 한미 FTA저지 대전충남운동본부와 전국농민회, 한국농업경영인연합, 쌀전업농연합 등 6개 농민단체는 7일 대전시 중구 한나라당 충남도당 앞에서 쌀 값 안정을 위한 정부 대책을 촉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농민단체 연합은 사태 해결을 위해 대북 쌀 지원과 비축미 매입, 차상위계층까지 쌀 현물 지원 확대, 대형할인점 시장 교란행위 단속 등 다양한 대책을 촉구했다.

농민단체 관계자는 “쌀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와 농민, 농협이 안간힘을 다하고 있으나 상태가 나아질 기미가 전혀 없다”며 “지금 추세로는 올해 쌀 수매 불가 상황까지 예측되고, 이 경우 우리 농업의 내일도 얼마 남지 않았다”며 탄식했다.

농민단체들은 이 같은 쌀 재고 문재를 현 정권이 촉발시켰다고 주장했다.

현 정권이 물가를 잡는다며 쌀을 소위 ‘MB품목’으로 특별 관리하면서 많은 양을 시장에 방출시킨 데다, 무모한 대북정책으로 매년 쌀 수급의 중요 역할을 하던 대북 지원마저 막히면서 걷잡을 수 없는 쌀 파동을 야기했다는 것.

이 관계자는 “정부가 현재 겪는 쌀 재고 누적을 농협 탓으로 돌리거나, 정부 개입시 시장을 왜곡한다는 명분으로 책임져야 할 농업과 식량문제를 회피하고 있다”며 “현재 겪고 있는 쌀 재고량 누적 문제를 해결해 쌀 값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이완구 충남지사와 강태봉 충남도의회 의장은 8일 서울에서 지역 국회의원들을 초청, 간담회를 갖고 지역 현안 해소 방안을 논의한다.

이 지사와 강 의장은 이날 지역 현안과 2010년도 예산에 반영해야 할 사업들을 설명하고 지역 국회의원의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일단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 사업 예산이 차질없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힘을 실어 줄 것과 국방대 논산이전 결정에 따른 국방과학클러스터 조성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또 석면피해구제특별법 제정과 지방 재원 확보 방안의 일환으로 충남도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화력발전지역개발세법 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줄 것과 한민족교육문화센터(공주) 건립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 줄 것도 요청할 방침이다.

이 지사는 또 군문화엑스포와 2010 대백제전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는 한편 정부 차원에서 2011년 금산세계인삼엑스포가 개최될 수 있도록 고려인삼의 중요성을 정부에 강력히 전달해 달라는 뜻도 전할 예정이다.

지역 국회의원과의 간담회에 이어 이 지사는 9일부터 15일까지 일본 순방길에 오른다.

이 지사는 일본 5개 지방자치단체장과 릴레이 회동을 갖고 백제문화를 기반으로 한 충남의 브랜드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올해 개최되는 제55회 백제문화제(Pre-대백제전)와 2010 대백제전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충남도와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맺고 있는 구마모토(9일)를 비롯해 일본 문화의 중심지인 오사카(10일)와 시즈오카(11일)를 차례로 방문하고 충남지사로선 처음으로 일본 최남단인 오키나와(13·14일)도 공식 방문해 대백제전 연계 등 상호 교류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순방길엔 충남도의회 농수산경제위원회 오세옥 의원(서천2)도 동행해 가축전염병, 우량품종개량 등 축산분야 공동연구와 관련 전문가 상호 교류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다. 임호범·이기준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의회가 김남욱 전 의장의 퇴진으로 공석으로 남아 있는 후임 의장 선출 방안에 대해 가닥을 잡았다. 시의회는 7일 확대운영위원회를 열고 후임 의장 선출과 관련, 오는 13일 후보 단일화를 통한 선출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운영위는 이날 주류와 비주류에서 각각 의장 후보를 낼 경우 또 다른 갈등의 소지가 될 것을 우려해 사전에 후보를 단일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운영위는 또 오는 13일 폐회하는 제183회 정례회 기간 안에 후임 의장을 뽑지 못하면 별도의 회기 일정을 잡거나 오는 9월 정례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폐회일인 13일 후임 의장을 선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수범 운영위원장은 “주류-비주류 간 계파 갈등으로 인한 상당한 위기의식과 함께 의회 정상화를 위해 조기에 후임 의장을 선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주류와 비주류 의원들이 참여한 확대운영위에서 의장 선출방식과 시기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이 교환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류-비주류 의원 간 갈등의 골이 여전히 깊은 데다,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돌출 이견이 제시되는 등 변수가 많아 시의회가 의장 선거까지 순탄한 길을 걷게 될지는 미지수다. 이선우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차기 대전시장 선거 출마가 유력한 인사들이 젊은 유권자인 대학생 끌어안기에 분주하다.

1년도 채 남지 않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20대 유권자 표심을 겨냥한 사전포석으로 응원메시지를 담은 편지와 공모전과 학술 세미나 등을 통해 대학가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대전지역 대학들을 순회하며 교직원과의 간담회를 잇달아 갖고 지역현안 청취와 시정의 방향을 제시했던 박성효 시장은 편지를 매개로 대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대 재학생 중 각종 공모전과 대회에서 입상해 수상소식이 알려졌을 경우 박 시장 명의의 친서를 보내 격려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친서에는 전국적으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전했다는 점을 치하하며 부단한 자기계발과 노력을 통해 성공적인 미래를 개발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염홍철 전 시장이 상임고문을 맡고 있는 미래도시공동체연구원은 방학기간을 맞은 대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1회 대학생 해외도시 벤치마킹 아이디어 공모전'을 오는 8월24일부터 9월4일까지 개최한다.

해외의 유명 여행도시를 중심으로 대전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자는 취지로 열리는 이 공모전은 대전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참가 대상을 제한했다.

미래도시공동체연구원 관계자는 "글로벌 인재양성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견문을 넓히고 취업과 진로에도 보탬이 되자는 취지로 앞으로도 정례화할 것"이라며 "젊은 대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시정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미래도시공동체연구원은 또 충남대 예술영재교육센터와 공동으로 '예술영재교육과 과학도시 대전'을 주제로 8일 심포지엄도 개최한다.

차기 시장선거 출마설이 돌고 있는 자유선진당 권선택 의원은 충남대 예술최고위 과정 수강생으로 매주 화요일마다 대학을 찾아 예술과 경영, 문화읽기 등을 주제로 강의를 듣고 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의회가 행정안전부가 요청한 행정도시 관련 의견 요청에 대한 공식 의견을 채택했다.

행정도시의 명칭과 법적지위를 세종특별자치시로 하고 관할구역은 예정지역과 주변지역, 연기군 잔여지역을 포함하는 안에 이견이 없음을 공식 확인했다.

행정안전부는 보다 한층 구체화 된 세종시의 법적지위를 담은 의견 요청서를 지난 3일 도의회에 전달했고 도의회는 7일 제226회 정례회 4차 본회의를 열어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연기군과 공주시 일부 지역 등 세종시 관할구역이 충남도에서 떨어져 나가는 상황에 대해서도 이견이 없음을 밝혔다.

다만 충남도의회는 세종시 관련 의견서를 채택하면서 세종시특별법이 이번 국회에서 반드시 통과돼야 하고 행정도시 이전기관 변경고시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의견 제시 대상인 연기군의회는 지난 6일 충남도의회와 같은 의견을 확정했고 공주시의회는 8일 긴급 의원간담회에서 안건을 조율한 뒤 9일 본회의를 열어 공식 의견을 확정할 계획이다.

충북 청원군의회와 충북도의회는 각각 9일과 10일 본회의를 열어 공식 의견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청원군의회는 일단 행정도시의 명칭과 법적지위를 세종특별자치시로 한다는 데 이견이 없지만 관할구역과 관련해선 정부안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안은 청원군 부용면 8개 리와 강내면 3개 리를 세종시 주변지역에 포함하고 있는 데 청원군 일부 지역이 제외되더라도 세종시 설치에는 큰 문제가 없는 만큼 청원군 일부 지역을 주변지역에서 제외해 달라는 의견에 무게가 실려 있다.

만약 정부안대로 간다면 행정구역 변경에 관한 사항은 주민투표를 거쳐야 한다는 원칙론도 여전히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청원=강영식 기자 like1010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조선 중기의 대학자 명재(明齋) 윤증(尹拯)의 13세 종손인 윤완식 선생(한국고택문화재소유자협의회 부회장)이 종가(宗家)에 소장해왔던 귀중한 문화재를 7일 충남도역사문화원(원장 변평섭)에 영구 기탁했다. 이번에 기탁한 유물은 8999점으로, 과거 2007년과 2008년, 2009년 등 과거 세 차례에 걸쳐 나눠 기탁했던 유물 1644점까치 합치면 윤증가(尹拯家)에서 충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 내놓은 유물은 모두 1만 643점에 달한다. 국내 종가에서 기탁한 유물 중 규모면에서 사실상 최대에 속한다. 더욱이 기탁유물 중에는 보물 제1495호인 '윤증 초상(肖像) 일괄'을 비롯해 중요민속자료 제22호인 ‘윤증가의 유품(遺品’) 54점, 논산시 향토문화유적 제12호인 ‘윤증가의 책판(冊版)’ 1039점 등이 포함돼 있었다. 방대한 규모뿐 아니라 내용 측면에서도 무한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충남도역사문화원은 선조의 숨결이 서려있는 귀중한 유물을 아무런 조건 없이 기탁키로 결정한 윤증가의 높은 뜻을 기리고, 그 정신을 확산시키기 위해 특별전과 도록 발간, 특별전시실 상설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유물 기탁은 어떻게

윤증가의 기탁은 충남도역사문화연구원이 역점 추진하고 있는 '우리 문화유산 찾기 운동'의 가장 큰 결실 중 하나이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일본 등 국외 반출유물의 반환·환수, 국내 개인소장유물의 기증·기탁 문화의 확산 등을 위해 우리 문화유산 찾기 캠페인에 남다른 열정을 투입하고 있다.

그런 노력으로 지난해 일본인 아메미야 히로스케 선생의 소장품과 공주 우성면 내산리에서 400여 년 전부터 전해오던 부전대동계 문서 등의 기탁이 이뤄져 화제를 모았다.

올 들어서도 충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 기증·기탁된 유물은 윤증가의 것을 제외하고도 공산성 공북루 현판 13점과 도 지정 문화재인 산신도 등 무려 468점에 달한다. 충남도역사문화원이 전개하고 있는 캠페인의 의미가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다.

윤완식 선생도 충남도역사문화연구원과 관계를 맺기 시작한 직후인 2007년 2월 윤증 초상 일괄 중 '이명기 신법' 1점을 포함해 윤증의 영정을 모신 유봉영당(酉峯影堂)에 보관해왔던 352점의 고서와 고문서를 기탁했다.

윤 선생은 이어 2008년 윤증 초상 일괄 중 '측면 상반신상'과 윤증가의 유품(중요민속자료 제22호) 가운데 '아얌', 명재고택을 정리하면서 나온 고서와 고문서, 생활 민속자료 등 1288점을 기탁했으며, 올해에도 4점을 기탁했다.

지난 7일 기탁한 8999점은 충남도역사문화원이 출범하던 해인 2004년 4월 윤증 종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5년 기한으로 기탁됐던 유물로, 지난해 충남도역사문화원 내 중부권 최대 규모인 수장고(收藏庫)가 완공된 것을 계기로 유물의 영구기탁을 결정했다.

◆어떤 유물 기탁했나

윤증가 기탁 유물 중 지정문화재는 보물 제1495호인 '윤증초상 일괄' 6점, 중요민속자료 제22호인 '윤증가의 유물' 54점, 논산시지정 향토문화유적 제12호인 '윤증가의 책판' 1039점 등이며, 비지정문화재는 고서 2319점, 고문서 6958점, 병풍 1점, 기타 266점 등이다.

가장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윤증 초상'은 초상 6점과 서적 1책 등 총 6점으로 구성돼 있다.

초상은 당대의 어용화사(御用畵師)이던 장경주가 화사 변량(卞良)이 그렸던 윤증 초상을 본떠 1744년 그린 전신좌상, 화사 이명기가 장경주가 그린 본을 토대로 장경주 필법에 따라 그린 것과 자신의 필법에 따라 그린 전신좌상이 2점, 작자와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장경주가 이명기가 그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면관 상반신과 측면관 상반신상 등 2점이다.
   

또한 영당기적(影堂紀蹟)은 유봉영당의 기록으로, 첩 형식의 필사본이다. 책의 앞부분에는 이한철이 윤증 유택을 그린 '유봉전도'와 작자를 알 수 없는 영당 그림이 있고, 1711년, 1744년, 1788년, 1855년 있었던 윤증 초상화 제작에 관한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윤증 초상'은 원화(原畵)를 본떠 그린 이모본(移模本)과 더불어 초상을 제작한 연혁을 기록한 영당기적이 함께 전해짐에 따라 국내 초상화의 역사적 변천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어서 학계에서는 국보 이상의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윤증가의 유품'은 명재 윤증 선생이 직접 사용했던 물건들과 문중에 전해 내려오는 유물이다. 생활자료와 회화류, 복식류 등이 있는데 당시 양반가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자료다.

여기에는 윤증 선생의 부친인 윤선거(尹宣擧)로부터 윤완식 선생의 증조부인 윤하중(尹昰重)에 이르는 11대 약 300년 간 일가의 인장이 28과가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끈다. 윤선거(3점), 윤증(5과), 윤행교(1과), 윤영진(1과), 윤상갑(2과), 윤규병(2과), 윤하중(2과) 등 7명 16개 인장은 사용자 파악이 가능할 정도다.

'윤증가의 책판'은 윤선거의 시문집 목판인 노서유고(魯西遺稿), 윤증의 언행록 목판인 명재언행록(明齋言行錄), 윤증의 연보인 명재언행록(明齋言行錄), 윤증이 그의 제자·동료 등의 예(禮)에 대한 질문에 답한 의례문답(疑禮問答), 윤동원의 시문집 목판인 일암유고(一庵遺稿) 등으로 윤증가의 가보다.

'고서'는 경학·유가류(經學·儒家類), 예학(禮學), 정치(政治), 천문·산법(天文·算法), 시문(時文) 등 5개 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고문서는 간찰(簡札)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계약서나 차용증 등도 전한다.

이외에도 최근 기탁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영당기적의 또 다른 이모본이 새로 발견된 데다 17세기 종학당(宗學堂) 운영규정에 해당되는 학규(學規), 유봉영당의 참배록, 석봉(石峯) 한호(韓濩)의 간찰 등 문화재급 유물들의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져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변평섭 충남도역사문화원장은 "충청도를 대표하는 3대 명가에 속하는 명가(名家)에서 집안 대대로 간직해온 1만점이 넘는 유품을 영구 기탁한 것은 모든 국민이 함께 보존하고 후대로 넘겨야 하는 소중한 역사자원으로 인식한 고귀한 결단에 있다고 본다"며 "기탁자의 소중한 뜻을 일반에게 널리 알리는 다양한 사업 전개는 물론 우리 문화유산 찾기 운동에 더 많은 열정을 쏟겠다"고 밝혔다.

공주=이성열 기자 lsyy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