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쌀값 안정을 위한 정부대책촉구 충남농민단체 공동기자회견이 7일 한나라당 충남도당 앞에서 열려 기자회견을 가진 후 관계자들이 정부대책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홍성후 기자 hippo@cctoday.co.kr | ||
가격 폭락은 물론 올 가을 햅쌀 수매까지 우려해야 하는 지경에 처했다는 게 그 이유다.
예년 같으면 여름에 접어들면서 쌀 값이 한창 오를 때지만 지금은 반대로 쌀 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수확기부터 80㎏(정곡)당 16만 원대를 유지하던 쌀 값은 최근 들어 15만 원대로 내리더니 추가 하락의 조짐마저 보이는 추세다.
반면 지난달 말 현재 충남도내 쌀 보유량은 14만 76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4%나 늘었다.
게다가 습한 장마철과 더운 여름이 되면서 농가에 보관중인 쌀의 상태도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농민들의 고심은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도내 농민단체들은 연대를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하며 단체 행동도 불사하고 나섰다.
7일 한미 FTA저지 대전충남운동본부와 전국농민회, 한국농업경영인연합, 쌀전업농연합 등 6개 농민단체는 7일 대전시 중구 한나라당 충남도당 앞에서 쌀 값 안정을 위한 정부 대책을 촉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농민단체 연합은 사태 해결을 위해 대북 쌀 지원과 비축미 매입, 차상위계층까지 쌀 현물 지원 확대, 대형할인점 시장 교란행위 단속 등 다양한 대책을 촉구했다.
농민단체 관계자는 “쌀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와 농민, 농협이 안간힘을 다하고 있으나 상태가 나아질 기미가 전혀 없다”며 “지금 추세로는 올해 쌀 수매 불가 상황까지 예측되고, 이 경우 우리 농업의 내일도 얼마 남지 않았다”며 탄식했다.
농민단체들은 이 같은 쌀 재고 문재를 현 정권이 촉발시켰다고 주장했다.
현 정권이 물가를 잡는다며 쌀을 소위 ‘MB품목’으로 특별 관리하면서 많은 양을 시장에 방출시킨 데다, 무모한 대북정책으로 매년 쌀 수급의 중요 역할을 하던 대북 지원마저 막히면서 걷잡을 수 없는 쌀 파동을 야기했다는 것.
이 관계자는 “정부가 현재 겪는 쌀 재고 누적을 농협 탓으로 돌리거나, 정부 개입시 시장을 왜곡한다는 명분으로 책임져야 할 농업과 식량문제를 회피하고 있다”며 “현재 겪고 있는 쌀 재고량 누적 문제를 해결해 쌀 값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