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우'는 괴물영화라고 소개된다. 하지만 '차우'는 괴물영화가 아니다. 절대적으로…. 오히려 코미디 중심의 괴물영화이거나 괴물이 나오는 코미디영화다. 영화의 기묘함을 즐길 준비가 된 관객에게 이 값비싼 멧돼지 영화는 제법 재미있는 영화가 될 것이다. 영화는 많은 할리우드 선배 괴물영화들의 유산을 끌어 모아 활용한다.
괴물 혹은 괴수 영화의 팬이라면 '조스', '엘리게이터', '쥬라기 공원'같은 영화들의 간접적 활용을 끝없이 발견할 수 있다.
그래도 멧돼지가 괴물인 영화는 처음이라고? 아쉽게도 영화 ‘하이랜더’의 감독인 러셀 멀케이의 출세작 '레이저백(1984)'이 있다.
또한 식인 살인마 한니발 박사도 식인 멧돼지를 이용했었으니까 멧돼지 괴물영화가 처음은 아니다. 그래도 상관없다. 괴물영화에서 괴물만 효과적으로 잘 보여진다면 절반의 성공은 이미 성취한 거나 다름없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차우'에서 가장 치명적으로 아쉬운 것은 ‘멧돼지’다.
CG의 완성도가 함량 미달이다. 그간 '차우'의 홍보팀이 가장 크게 내세웠던 건 ILM 출신 한스 울리히 등 진보한 할리우드 스태프들의 솜씨였음에도 영화를 보고나면 분명해지는 건 할리우드 스태프라는 사람들에게 '굉장히 많은 기술'은 애초에 없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추격 장면의 속도감과 리듬이 영 별로다.
'차우'의 줄거리를 알아보자.
지리산 어귀의 마을 삼매리에서 참혹한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삼매리에서 조용히 살아가는 전문사냥꾼 천일만(장항선)은 손녀가 머리만 남은 변사체로 발견되자 이것이 거대한 식인 멧돼지의 짓임을 짐작한다.
이장을 포함한 마을 사람들은 도시 사람들을 위한 주말농장 사업에 방해가 될까봐 식인 멧돼지의 존재를 은폐하려 하지만, 결국 멧돼지는 무참하게 마을회관의 사람들을 덮치고 만다. 천일만, 서울에서 교통경찰을 하다 삼매리로 부임한 김 순경(엄태웅), 살인사건 담당인 신 형사(박혁권), 서울에서 온 유명 사냥꾼 백 포수(윤제문), 동물 생태연구가 변수련(정유미)은 우여곡절 끝에 한 팀을 이뤄 깊은 산속으로 들어선다.
기묘한건 끔찍한 CG에도 불구하고 '차우'가 아주 웃기는(?) 영화라는 점이다. 괴물영화라기보다는 마치 감독의 전작인 '시실리 2㎞'의 속편처럼 느껴진다.
신정원 감독은 하나의 시퀀스에서 전혀 어울리지 않는 상황과 감정들을 관객에게 던져놓고 낄낄거리게 하는 재능이 있는데, '차우'에서는 그 정도가 더하다. 엄태웅, 정유미, 윤제문 등 메인 캐릭터들은 물론이거니와 반쯤 미친 여자나 순경 등 소소한 배경인물들 역시 기억할 만한 코미디 장면을 하나씩 부여받는다.
최근 대전지역의 극장가에서 영화를 선택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진다. 독자 분들께 다양한 영화를 소개하고 싶지만, 대전지역 극장들 대부분이 블록버스터들로 채워지거나, 조금이라도 흥행성이 담보되는 영화들로만 채워지는 느낌이다.
대중영화의 다양성이 인정된다면 좋겠는데 그저 아쉬울 뿐이다. 더 심각한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정도의 일로 머리띠를 두를 수도 없고…. 그래도 못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