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체제로 복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이 정부로부터 7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거 의대와 비교해 교육과정은 큰 변화 없이 석사 과정이라는 이유만으로 등록금만 3배가 높아져 혈세 낭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9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안민석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터 제출받은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체제정착비 지원 현황'에 따르면 전국 35개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중 정부 예산이 지원된 곳은 26곳, 388억 6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의·치의전원으로 체제 전환이 이뤄진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간 정부 예산지원 현황을 집계한 것이다
대학별로는 경희대가 43억 원으로 가장 많은 액수를 지원받았고, 경북대·전북대는 39억 2000만 원, 부산대(35억 2000만 원), 전남대(28억 6000만 원), 서울대·충북대·가천의대·건국대(21억 6000만 원) 등이다.
충남대·동아대·중앙대·영남대는 7억 원을 지원받았다.
교과부는 이들 대학이 의·치의전원 체제에서 의·치의과대로 학제를 변경할 경우 신규 재정 지원은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기존 지원금은 초기 전문대학원 도입과 운영에 따른 인센티브 성격과 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실험·실습기자재 구매를 위한 것으로 별도의 회수조치는 고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의·치의전원을 도입한 대학들은 의과대학 체제와 비교해 등록금도 큰 폭으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대의 경우 의전원 체제 이전인 지난 2004년의 경우 등록금이 440만 원이었지만 올해는 1240만 원으로 3배 가까이 인상됐다.
동국대는 790만 원에서 1920만 원으로, 충북대는 365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각각 올랐다.
안민석 의원은 "대학들이 의·치의전원 체제 정착비 명목으로 수억 원대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학생들에게 비싼 등록금을 받아 이중으로 잇속을 챙겨왔다”며 “이제 와서 아무런 책임없이 의대 체제로 복귀를 눈앞에 두고 있어 복귀 이후에는 등록금을 기존 학부 수준으로 낮추는 등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또 과거 의대와 비교해 교육과정은 큰 변화 없이 석사 과정이라는 이유만으로 등록금만 3배가 높아져 혈세 낭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9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안민석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터 제출받은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체제정착비 지원 현황'에 따르면 전국 35개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중 정부 예산이 지원된 곳은 26곳, 388억 6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의·치의전원으로 체제 전환이 이뤄진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간 정부 예산지원 현황을 집계한 것이다
대학별로는 경희대가 43억 원으로 가장 많은 액수를 지원받았고, 경북대·전북대는 39억 2000만 원, 부산대(35억 2000만 원), 전남대(28억 6000만 원), 서울대·충북대·가천의대·건국대(21억 6000만 원) 등이다.
충남대·동아대·중앙대·영남대는 7억 원을 지원받았다.
교과부는 이들 대학이 의·치의전원 체제에서 의·치의과대로 학제를 변경할 경우 신규 재정 지원은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기존 지원금은 초기 전문대학원 도입과 운영에 따른 인센티브 성격과 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실험·실습기자재 구매를 위한 것으로 별도의 회수조치는 고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의·치의전원을 도입한 대학들은 의과대학 체제와 비교해 등록금도 큰 폭으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대의 경우 의전원 체제 이전인 지난 2004년의 경우 등록금이 440만 원이었지만 올해는 1240만 원으로 3배 가까이 인상됐다.
동국대는 790만 원에서 1920만 원으로, 충북대는 365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각각 올랐다.
안민석 의원은 "대학들이 의·치의전원 체제 정착비 명목으로 수억 원대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학생들에게 비싼 등록금을 받아 이중으로 잇속을 챙겨왔다”며 “이제 와서 아무런 책임없이 의대 체제로 복귀를 눈앞에 두고 있어 복귀 이후에는 등록금을 기존 학부 수준으로 낮추는 등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