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상당공원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추모제와 5·18 민주항쟁운동 기념문화행사 등을 갖기 위해 청주시에 사용신청을 냈지만 청주시가 불허 입장을 밝혀 갈등을 빚고 있다. 상당공원 사거리에 5·18민주항쟁운동 기념문화행사를 알리는 플래카드가 걸려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
오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년을 맞으면서 청주시와 시민단체들이 1주기 추모제 개최장소를 놓고 신경전이 한창이다.
시민단체는 노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시민합동분향소가 마련됐던 청주상당공원을 고집하고 있지만 공원사용허가권한을 갖고 있는 청주시는 4·19 기념탑 건립공사를 이유로 장소사용을 사실상 불허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 시기는 6·2지방선서를 9일여 앞둔 시점으로 선거에 미칠 득실을 고려, 정치권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충북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와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 4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5·18민주항쟁 30주년 충북기념행사위원회’는 오는 15일부터 22일까지 청주상당공원 일원에서 5·18민주항쟁 기념 문화행사를 열 예정이다.
위원회는 이 기간 공원에 민주항쟁 당시 상황이 담긴 사진을 전시하고 야간에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영화제를 열 계획이다.
위원회는 행사개최를 위해 지난 3월 24일 청주시에 장소사용신청을 한 뒤 현수막 제작, 홍보활동 등 행사진행 준비를 이미 마쳤다. 행사에 동참하는 일부 시민단체는 노무현 대통령 서거 1주년(23일)을 앞두고 1주기 추모시민위원회를 구성해 22일 기념식을 열 예정이다.
이들은 또 청원군 오창읍의 한 농가에 보관된 노 전 대통령 추모 표지석을 시민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하지만 청주시가 장소사용기간을 15일부터 18일까지 제한하면서 양측간 묘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시는 지난 4일 위원회에 공문을 보내 18일까지의 사용만을 허가했다.
시 관계자는 “다른 단체에서도 집회신고를 해놓은 상태이고, 4·19 기념탑 기공식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15일부터 18일까지만 사용할 것을 통보했다”고 불허이유를 설명했다.
시의 불허방침에 위원회는 즉각 철회를 요구했으나 시는 11일 당초 입장을 고수했다. 불허방침을 놓고 재야단체 안팎에서는 시가 노 전 대통령 서거 1주년 추모제가 열리지 못하도록 한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6·2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진보단체들이 추모제 참석을 통해 세력을 결집한 뒤 추모제와 연결해 이명박 정권 규탄대회까지 열 것을 예측하고 시가 장소사용을 불허하는 방법으로 미리 논란의 근원을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다.
특히 장소사용 허가여부를 놓고 시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진보·보수단체로부터 비난의 화살을 받을 것을 우려해 아예 장소를 내주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세웠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 노 전 대통령 49재인 지난해 7월 10일 시민추모위원회가 표지석을 상당공원 한편에 세우려다 보수단체와 마찰을 빚었고, 결국 청주시의 반대로 무산됐다.
골머리를 앓고 있는 청주시와 달리 경찰은 일단 관망적 입장을 취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집회가 아닌 문화제 형식의 추모제이다 보니 경찰이 실질적 개입은 하지 않지만 시의 장소사용허가여부에 대해선 ‘촉’을 세우고 있다.
일부에서는 경찰이 추모제가 열릴 경우 자칫 진보·보수단체간 빚어질 충돌에 대비하고 불법집회형태로 변질될 경우 공권력투입이 불가피하다보니 시의 장소사용불허방침을 내심 반기고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시가 공원사용불허방침을 고집하더라도 추모시민위원회는 다른 시민단체들과 연계해 22일 청주 성안길 철당간 등 다른 장소에서의 추모제 개최를 계획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연찬(서원대 교수) 추모시민위원장은 “시가 장소사용을 끝까지 허가하지 않을 경우 다른 장소에서라도 반드시 추모제를 열 계획”이라며 “이날은 시민들의 뜻을 모아 만든 표지석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