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정부가 전·월세 대책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각종 세제지원 내용이 당장 이사철에 효과를 내기는 어려운 데다 시중은행 담보대출까지 막히면서 임대주택사업자로 나설 사람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월세 상한제 대책은 아예 논의조차 되지 않아 이러한 대책이 당장 주택공급을 늘리지는 못해 충청지역 부동산시장에서 전셋값 상승을 잡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국토해양부는 18일 민간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해 전월세 시장을 안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월세 공급 확대를 위해 준주거시설인 오피스텔을 주거용 오피스텔로 분류해 임대주택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임대주택 수준의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주택기금에서 오피스텔 건설자금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소형주택 전세보증금을 소득세 과세 대상에서 한시 배제하는 내용도 담겼다.

결국, 주택공급을 늘려 수요를 확대하는 것보다는 준주거시설인 오피스텔 등을 늘리고 임대사업자에 대한 지원을 통해 임대주택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역 부동산시장은 가을철 전세 재계약 시점까지 앞두고 있어 전세난 심화현상이 또다시 고개를 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 KB국민은행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둘째 주 대전지역 아파트 전셋값은 중구의 경우 기존 임차인들이 재계약을 선호하면서 물량이 부족한 가운데 신혼부부 수요와 학군수요 등의 증가로 전주와 비교해 0.5% 상승했다.

연기군은 내년 세종시 편입과 과학벨트 기능지구 확정 호재로 인한 투자수요와 대전과 청주보다 가격부담이 낮아 유입되는 수요 등이 맞물리면서 전주 대비 1.1% 증가했다.

청원군은 과학벨트 기능지구 확정으로 기업체와 정부 산하기관 등의 이전에 따라 유입되는 수요 등으로 중·소형을 중심으로 1.7% 상승했다.

정재호 목원대 교수(금융부동산학과)는 “이번 전·월세 대책은 수도권 가격 상승과 공급물량 감소에 따른 지원과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이 주요 내용으로 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 “정부가 시중은행의 담보대출은 막고 전월세 대책을 내놓는 것은 엇박자 행보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SK텔레콤은 휴대폰 구입비 부담을 낮추고 중고폰 활용을 통한 자원 절약을 실천하기 위해 중고 휴대폰 안심 매매 서비스 ‘T에코폰’을 19일 론칭 한다고 18일 밝혔다.

그동안 선불요금제 확대와 스마트폰 시장 급성장 등에 따라 중고폰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지만 중고폰 매매는 대부분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한 개인 간 거래로 이루어져 제품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회사가 직접 운영하는 중고폰 매매서비스 ‘T에코폰’을 론칭해 품질보증과 안심거래를 통해 중고폰 이용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T에코폰’은 고객들에게 매입한 중고폰을 전문 휴대폰 감정사를 통해 침수 및 내부부식여부, 음성통화품질, 데이터성능, 액정과 배터리 상태 등 20여 가지의 테스트를 거쳐 총 6단계로 품질을 판정·보증한다.

이후 간단한 수리와 부속품 보완 작업을 거쳐, 중고폰을 원하는 고객 또는 MVNO사업자에게 기종 및 등급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으로 재판매 하게 된다.

‘T에코폰’ 서비스를 통해 중고폰 판매를 원하는 고객은 전국 38개 SK텔레콤 지점을 방문하거나 우편 접수로 신청할 수 있으며, 중고폰 구입을 원하는 고객은 T스마트샵에서 구입을 신청하면 된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코스피지수가 사흘 만에 다시 하락하며 1860선으로 물러섰다.

18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32. 09포인트(1.70%) 하락한 1860. 58로 장을 마쳤다.

이날 하루 코스피는 장중 3% 넘게 급락하는 등 등락폭이 무려 61포인트에 달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59억 원, 3126억 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기관은 전기전자(-3852억 원), 운송장비(-1754억 원) 등을 집중 매도했고 외국인은 화학(-671억 원), 운송장비(-483억 원)를 주로 내다 팔았지만 전기전자를 970억 원 순매수해 기관과 대조를 이뤘다.

개인은 6055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급락을 막았고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에서 매물이 쏟아지며 1369억 원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특히 이날은 업종별로 혼조 양상이 짙었다. IT업종이 6% 가까이 급락한 것을 비롯해 운송장비, 기계, 철강금속, 은행, 증권 등이 2~4% 하락했다.

반면 통신과 음·식료품, 유통 업종은 강세를 보였다.

코스닥은 전날보다 1.36포인트(0.27%) 오른 507.80으로 장을 마감하며 엿새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관이 638억 원 가량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18억 원, 398억 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은 상한가 34개를 포함해 301개 종목이 올랐으며 하한가 2개 등 676개 종목이 내렸고 60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환율은 2.5원 오른 1074.0원에 장을 마쳤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