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충남대에서 국과위 위상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고 현재 진행 중인 국과위 개편안의 강화에 대한 의견을 쏟아냈다.
이날 주제발표에서 정부측 입장을 밝힌 김영식 교과부 과학기술정책실장은 “이번 국과위 개편은 국가 R&D(연구개발) 예산 투자의 효율성 제고와 과학기술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라며 “전문성과 독립성 강화로 범부처 조정기구의 위상을 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장관급으로 낮아진 국과위원장이 다른 부처와의 관계를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제시하지 못했다.
앞서 국회 교과위 소속 이상민 의원(자유선진당)은 축사를 통해 “전 정권 때 부총리급의 혁신본부와 과학기술부가 있었음에도 다른 부처를 상대로 우월적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다”며 “특히 전문성 없는 관료들을 대하는 어려움이 컸다”고 지적했다.
또 민간 과학계를 대표해 주제발표를 한 손진훈 출연연발전민간위원(충남대 교수)은 이번 국과위 개편의 핵심을 ‘부처를 넘어선 리더십’과 ‘민간이 참여하는 국가 R&D 관리’로 보고 이를 위한 대정부 권고사항을 내놔 관심을 끌었다.
손 교수는 먼저 이번 국과위 개편안의 미흡한 점으로 민간 참여율이 부족하고, 부처간 정책 연계와 역할 분담 체제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또 국과위의 예산 배분·조정권 사항의 구체적 명시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재 제외되고 있는 국방관련 R&D 예산도 국과위가 맡아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특히 현재 개정안에서 다루지 않고 있는 각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국과위로의 이관 문제를 이번 기회에 다뤄, 출연연이 국가 차원의 임무수행이 가능토록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