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전지역 유통업계에서도 친환경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친환경 농산물은 안전한 먹을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호응을 이끌고 있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친환경코너 '올가닉샵'의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10% 정도 상승했다.
채소나 과일 등 신선식품이 전체 친환경코너 매출의 70%, 가공식품은 30%를 차지하고 있다.
대전 서구에 사는 서모(30) 씨는 “요즘에는 아이 먹을거리가 가장 걱정”이라며 “가족을 위해 친환경 농산물 등 친환경 제품을 사려고 노력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웰빙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백화점에서 취급하는 친환경 제품도 늘고 있다.
대전 롯데백화점 식품관에 입점한 친환경상품 전문매장인 ‘올가’의 매출은 2008년 이후로 매년 20% 이상 증가했다.
유기농 식품의 경우 일반 식품에 비해 가격이 10~30% 가량 비싸지만 어린이용 간식거리와 친환경 과일 등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말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최근에는 청정지역의 고랭지 한우를 판매해 한우매출이 20% 이상 증가했고 쌈채소를 유기농으로 전환한 후 매출이 70% 이상 증가했다”며 “전체 신선식품 중 30% 정도를 친환경 식품들로 채울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학교급식에서도 친환경 농산물의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농협대전농산물유통센터 친환경농산물급식센터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에 친환경 농산물을 납품한 학교 수는 190개에 달했고 하반기에 예정된 학교는 300개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해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친환경 농산물은 농가소득 증가뿐 아니라 농업환경개선의 의미를 갖는다”며 “여러 지방자치단체의 친환경 급식 사업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특히 친환경 농산물은 안전한 먹을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호응을 이끌고 있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친환경코너 '올가닉샵'의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10% 정도 상승했다.
채소나 과일 등 신선식품이 전체 친환경코너 매출의 70%, 가공식품은 30%를 차지하고 있다.
대전 서구에 사는 서모(30) 씨는 “요즘에는 아이 먹을거리가 가장 걱정”이라며 “가족을 위해 친환경 농산물 등 친환경 제품을 사려고 노력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웰빙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백화점에서 취급하는 친환경 제품도 늘고 있다.
대전 롯데백화점 식품관에 입점한 친환경상품 전문매장인 ‘올가’의 매출은 2008년 이후로 매년 20% 이상 증가했다.
유기농 식품의 경우 일반 식품에 비해 가격이 10~30% 가량 비싸지만 어린이용 간식거리와 친환경 과일 등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말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최근에는 청정지역의 고랭지 한우를 판매해 한우매출이 20% 이상 증가했고 쌈채소를 유기농으로 전환한 후 매출이 70% 이상 증가했다”며 “전체 신선식품 중 30% 정도를 친환경 식품들로 채울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학교급식에서도 친환경 농산물의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농협대전농산물유통센터 친환경농산물급식센터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에 친환경 농산물을 납품한 학교 수는 190개에 달했고 하반기에 예정된 학교는 300개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해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친환경 농산물은 농가소득 증가뿐 아니라 농업환경개선의 의미를 갖는다”며 “여러 지방자치단체의 친환경 급식 사업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