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통합을 핵심공약으로 내세운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가 11일 통합합의문서명식을 갖기로 하면서 통합에 대한 실현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특히 당사자인 양 시·군도 통합 분위기 조성을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이에 양 시·군의 추진중인 통합관련 핵심사안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전망해본다. / 편집자


청주시와 청원군은 이달 초 실무협의회를 통해 읍·면·동장 5급 2명, 6개 분야 6급 2명과 7급 4명 등 총 8명의 인사교류 계획안을 확정하고 이달 중 실행에 옮길 예정이다.

교류직위는 △시 동장-군 면장(행정5급) △시 교통행정과 대중교통담당-군 경제과 교통행정담당(행정6급) △시 도로과 시도시설담당-군 건설과 도로담당(토목6급) △시 도시계획과 도시계획담당-군 도시과 도시계획담당(토목7급) △시 사회복지과 노인복지담당-군 사회복지과 장애인복지담당(사회복지7급) △시 농업정책과 농업유통담당-군 농정과 원예유통담당(농업7급) △시 청소행정과 청소시설담당-군 환경과 청소담당(환경7급) 등이다.

교류신청 마감일인 10일 현재 신청자 수는 청주시의 경우 5급 1명(잠정)·6급 7명·7급 10명, 청원군은 5급 2명·6급 3명·7급 7명으로 신청자가 없어 임의로 지정해야 했던 도-시·군간 인사교류와 달리 자발적인 요구에 의해 인사교류가 마무리 지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인사교류에 대해 양 시·군은 도시와 농촌행정에 대해 서로 이해할 좋은 기회가 돼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분위기 조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청주·청원통합을 전제로 한 인사교류이기 때문에 교류 폭을 좀 더 확대해야만 그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란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전체 공무원 수가 1800여명이 청주시와 800여명의 청원군이 단 8명의 인사교류로 통합 분위기를 얼마나 이끌어낼 수 있냐는 것이다.

아울러 최소한 직렬별 정원을 고려한 뒤 가능한 직렬을 인사교류 대상으로 모두 포함시켰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현재 청주시의 총 직렬은 23개로 10명 미만의 소수 직렬을 제외한 실제 인사교류가 가능한 직렬은 15개 안팎인 반면 이번 인사교류에 포함된 직렬은 5개 직렬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시와 군은 이번 인사를 시작으로 인사교류 폭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당초 시 또한 통합 분위기 조성을 위해 40명 안팎의 대대적인 인사교류를 추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청원군에서 지자체 여건상 당장의 대폭 인사교류가 불가하다는 입장을 표명해 옴에 따라 점진적인 인사교류 확대로 가닥을 잡았다는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인사교류의 목적이 양 시·군 공무원간 화합을 통한 통합 분위기 조성이기 때문에 인사교류 폭이 넓으면 넓을수록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상호 업무간 상이함을 고려치 않을 수 없어 선실행 후 확대키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양 시·군간 요구가 발생하면 협의를 통해 수시로 추가 인사교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직원들도 도-시·군간 인사교류와 달리 청원군과의 인사교류에 관심도가 매우 높아 통합 분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창해 ·심형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