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공황 때 미국은 시민보전단을 구성해 경제 회생의 밑거름을 제공했고, 핀란드 역시 지난 90년대 경제위기에 산림클러스터사업을 통해 약 20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선진국들은 경기위기 시마다 산림분야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눈을 돌렸다.
미국의 경우 세계 공황 시기 시민보전단을 산림사업에 투입해 300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를 이끌어 내 경제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했다.
시민보전단은 숲가꾸기, 산불 감시, 등산로 조성 등 산림사업에 집중 투입해 애팔래치안 트레일, 요세미티, 옐로스톤 공원 등 대표적인 성과물을 개척해 냈다.
지난 1933년 1400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하던 미국은 루즈벨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일명 ‘루즈벨트 Tree Army’로 불린 시민보전단을 설치됐다.
시민보전단의 주요 임무는 산림녹화, 산불방지, 홍수 및 산사태 방지, 병해충 방지, 도로 유지 및 보수 등으로 구성됐고, 하와이와 알래스카를 포함한 50개 모든 주에 4500개의 캠프가 설치됐다.
이를 통한 고용창출은 지난 1933년 여름 기준 5만 2000명을 시작으로 지난 1935년 10월에는 무려 50만 6000명의 고용으로 경기 회복에 초석을 다졌다.
미국 전체 남자의 5%에 해당하는 청년실업자 300만 명을 고용하게 된 시민보전단은 30억 그루 조림, 임도 19만 5000㎞, 600만 체크댐을 건설했다.
또 3470개의 산불감시탑을 조성하고, 15만 5000㎞의 산불방지도로, 연인원 423만 5000명의 산불진화요원을 보유하게 됐다.
특히 지난 1933년 발생한 플로리다 토네이도·버지니아 헤리케인, 지난 1936~37년 와이오밍·네바다·유타의 블리자드 재난구조에도 투입돼 자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앞장섰다.
이외도 미국 동부지역의 휴경지, 황폐화된 초지 등을 매수해 국유림을 781만㏊로 확대해 현재 미국 국유림률 33%(우리나라 23%)을 기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핀란드에서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 녹색일자리를 활용했다.
핀란드는 지난 1990년대 마이너스 경제성장의 극복차원에서 산업정책을 클러스터별 접근방식으로 전환해 산림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8개 분야 클러스터 중 산림 분야에서 20만 명을 고용하는 일자리 효과를 나타냈다.
독일, 프랑스는 바이오 에너지 분야 투자 확대로 녹색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다.
독일은 녹색일자리 확대를 위해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지난 2006년 현재 10만 명의 일자리를 제공했고, 프랑스는 목질계 에너지 부문에 행정력을 동원해 2만 개 정도의 일자리를 창출한 바 있다.
이 같은 배경으로 산림청은 지난 외환 위기 당시 숲가꾸기 공공근로사업으로 상시 1만 3000명의 고용 효과를 기록했고, 총 5804억 원의 투자 효율성을 이끌어 냈다.
또 최근 경체침체를 극복키 위해 지난 1930년대 미국에서 실시한 뉴딜 역점사업을 확대 계승하고, 저탄소·녹색성장의 기조를 추가로 계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림(바이오순환림) 및 숲가꾸기, 사방댐 등 사방사업, 자연친화적 임도 개설, 국유림 확대 등은 미국 뉴딜사업의 확대 재생산을 꾀하고, 백두대간수목원, 탄소순환마을 조성, 4대강 상류유역 살리기 등을 추가 뉴딜정책에 포함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