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5일은 식목일이다.
식목일이 다가오면 행정기관을 비롯 각종 공공기관, 일반 기업체, 각 가정에서는 나무심기를 실시해 우리나라의 녹지화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나무심기는 식목일에만 진행되는 것이다. 나무심기는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간 전국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적기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면 과연 매년 봄철 나무심기를 통해 얼마나 많은 나무들이 산과 들에 심어졌을까. 식목일의 유래는 지난 1909년으로 올라간다. 조선시대 순종이 4월 5일 친경제 거행 시 친식한 것에서 유래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식목 기념행사는 지난 1946년 서울시 주관으로 중앙 기념행사가 진행됐지만 지난 1967년 산림청이 개청되면서 식목일 행사는 지난 1970년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우리나라의 나무심기는 한국전쟁 등으로 벌거숭이가 된 산림을 복원키 위해 치산녹화 중심으로 행해졌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제적, 생태적인 환경을 고려해 실시되고 있다. 지난 1962년부터 지난해까지 봄철에 심어진 나무는 422만 9719㏊에 108억 8900만 그루가 심어졌다.
이 중에서도 지난 과거 벌거숭이가 된 국토를 녹색화하기 위해 포플러, 은수원사시나무, 아카시나무 등 빠른 성장을 나타내는 나무들 중심으로 식재됐다.
이에 따라 지난 1962년부터 1972년까지 164만㏊에 46억 1700만 그루가 심어졌다.
또 제1차 녹화조림, 제2차 경제조림 등 정부 권장 10대 수종 위주로 실시된 1, 2차 치산녹화기(1973~1987년)에는 204만 6000㏊에 걸쳐 48억 7500만 그루가 전국을 녹색화로 물들였다.
그러나 지난 80년 후반 들면서 녹화 위주의 치산정책에서 벗어나 조림 방식 등에 변화를 거듭하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조성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조림권장 수종이 달라지고, 도시 생태, 경관 조림이라는 목표을 가지고 녹화사업이 진행됐다.
또 지역 맞춤형 식재가 이뤄지면서 과거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됐던 1㏊당 3000그루 심기에서 탈피해 지역 지형 여건에 따른 1㏊당 그루 수, 수종이 변화했다.
지난 1988년부터 1997년 10년간 실시된 제3차 산지자원화기에는 정부 권장 수종 중심의 경제림이 조성됐다.
이 당시에는 32만 4000㏊ 규모에 8억 3700만 그루가 식재됐다. 제4차 산림계획기인 지난 1998년부터 2007년에는 신규 조림, 재조림을 포함해 22만 9000㏊에 5억 1800만 그루가 식재됐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등으로 기후변화 추세에 맞춘 나무심기가 진행되고 있다.
오는 2017년까지 진행될 제5차 산림계획기에는 경제수 조림, 바이오순화림, 큰나무 조림, 유휴토지 조림 등으로 추진될 계획이며, 지난해에는 2200㏊(4200만 그루) 규모를 비롯 총 25만 3000㏊에 걸쳐 조성될 예정이다.
올해도 산림청은 봄철 나무 심기를 통해 2100㏊에 3700만 그루를 식재할 예정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원동력이 되는 나무심기가 확대돼 탄소흡수원으로서의 500만 그루가 식재되고, 희망의 숲, 생태한방밀원숲 등이 조성된다. 경제림 육성단지도 마련돼 450개소, 292만㏊를 중심으로 목재자원, 소득증대 등 내실있는 조림사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최장준 기자
식목일이 다가오면 행정기관을 비롯 각종 공공기관, 일반 기업체, 각 가정에서는 나무심기를 실시해 우리나라의 녹지화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나무심기는 식목일에만 진행되는 것이다. 나무심기는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간 전국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적기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면 과연 매년 봄철 나무심기를 통해 얼마나 많은 나무들이 산과 들에 심어졌을까. 식목일의 유래는 지난 1909년으로 올라간다. 조선시대 순종이 4월 5일 친경제 거행 시 친식한 것에서 유래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식목 기념행사는 지난 1946년 서울시 주관으로 중앙 기념행사가 진행됐지만 지난 1967년 산림청이 개청되면서 식목일 행사는 지난 1970년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우리나라의 나무심기는 한국전쟁 등으로 벌거숭이가 된 산림을 복원키 위해 치산녹화 중심으로 행해졌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제적, 생태적인 환경을 고려해 실시되고 있다. 지난 1962년부터 지난해까지 봄철에 심어진 나무는 422만 9719㏊에 108억 8900만 그루가 심어졌다.
이 중에서도 지난 과거 벌거숭이가 된 국토를 녹색화하기 위해 포플러, 은수원사시나무, 아카시나무 등 빠른 성장을 나타내는 나무들 중심으로 식재됐다.
이에 따라 지난 1962년부터 1972년까지 164만㏊에 46억 1700만 그루가 심어졌다.
또 제1차 녹화조림, 제2차 경제조림 등 정부 권장 10대 수종 위주로 실시된 1, 2차 치산녹화기(1973~1987년)에는 204만 6000㏊에 걸쳐 48억 7500만 그루가 전국을 녹색화로 물들였다.
그러나 지난 80년 후반 들면서 녹화 위주의 치산정책에서 벗어나 조림 방식 등에 변화를 거듭하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조성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조림권장 수종이 달라지고, 도시 생태, 경관 조림이라는 목표을 가지고 녹화사업이 진행됐다.
또 지역 맞춤형 식재가 이뤄지면서 과거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됐던 1㏊당 3000그루 심기에서 탈피해 지역 지형 여건에 따른 1㏊당 그루 수, 수종이 변화했다.
지난 1988년부터 1997년 10년간 실시된 제3차 산지자원화기에는 정부 권장 수종 중심의 경제림이 조성됐다.
이 당시에는 32만 4000㏊ 규모에 8억 3700만 그루가 식재됐다. 제4차 산림계획기인 지난 1998년부터 2007년에는 신규 조림, 재조림을 포함해 22만 9000㏊에 5억 1800만 그루가 식재됐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 등으로 기후변화 추세에 맞춘 나무심기가 진행되고 있다.
오는 2017년까지 진행될 제5차 산림계획기에는 경제수 조림, 바이오순화림, 큰나무 조림, 유휴토지 조림 등으로 추진될 계획이며, 지난해에는 2200㏊(4200만 그루) 규모를 비롯 총 25만 3000㏊에 걸쳐 조성될 예정이다.
올해도 산림청은 봄철 나무 심기를 통해 2100㏊에 3700만 그루를 식재할 예정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원동력이 되는 나무심기가 확대돼 탄소흡수원으로서의 500만 그루가 식재되고, 희망의 숲, 생태한방밀원숲 등이 조성된다. 경제림 육성단지도 마련돼 450개소, 292만㏊를 중심으로 목재자원, 소득증대 등 내실있는 조림사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최장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