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녹색성장 정책과 관련된 사업을 우선 추진하면서 충북 바이오연구타운 조성사업의 국비 지원이 늦어져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충북도는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세계적 바이오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R&DB(연구개발 비즈니스) 및 바이오산업 중심의 충북 바이오 연구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연구타운은 오는 2014년까지 오송단지 내 7만 6033㎡의 부지에 9개 바이오 관련 센터 건립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연구타운 내 핵심시설은 신의약제제(줄기세포) 상용화센터, 천연물신약 개발센터, 재생의약, 조직공항 전문병원, 바이오 공정센터 등으로 8개 센터가 들어서게 된다.

이들 센터를 전담하고 광대역 및 국내외 인프라 간 연계 허브역할을 담당하는 ‘아시아 바이오 지식네트워크센터’도 건립될 예정이다.

도는 이를 통해 전임상, 임상, 생산전용 등 단계별 시스템을 구축하고, 바이오 의약산업 Test-bed를 구축하게 된다.

또 R&DB, 임상시험, 제조, 유통, 인·허가, 마케팅 등 전 단계에 걸친 지원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 하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4대강 살리기 등 녹색성장 관련 사업에 우선적으로 사업비를 집행하면서 국비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바이오연구타운 조성사업은 총 사업비가 5223억 원이 소요되는 대형 사업인데다 이 중 국비가 3699억 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올해는 사업이 추진되는 첫 해로 국비가 1117억 원이 들어가는 등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도는 지난해부터 국무총리 지역 방문 때 지원을 건의했고,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광역협력·숙원사업을 행안부에 제출하는 등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재 도는 신의약제제상용화센터 설계비로 10억 원의 국고를 확보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충북 바이오 연구타운 조성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정부가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물론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녹색성장에 초점을 맞춰 모든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국비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며 “하지만 오송생명과학단지를 바이오 메카로 성장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추진을 위해 정부정책 반영 및 국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