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 출범이 오는 10월로 예정되면서 대한주택공사·한국토지공사의 충북지역본부가 각각 추진해 온 지역사업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양사 충북본부는 진천·음성 혁신도시, 충주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내 굵직한 현안사업을 주도하고 있어 중앙의 통합작업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양사의 통합작업은 지난달 30일 국회를 통과한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도 불구하고 기능 조정, 인력 통합조정, 본사 이전지 결정 등이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건전한 통합을 이루지 못할 경우 지역 내 각종 현안사업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그동안 혁신도시 사업은 토공·주공의 통합 대치로 힘을 받지 못하며 답보상태를 면치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토공·주공 충북지역 사업은
주공 충북본부(본부장 곽윤상)가 그동안 충북에서 추진해 온 사업은 지역개발사업과 주거복지사업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특히 충북의 핵심동력사업인 진천·음성 중부신도시 건설을 주도해 왔다.
이를 위해 충북본부는 올해 투자사업비는 7318억 원을 책정하고 있으며 도시개발·주거복지 등 2개 사업단 9팀, 7개 지역건설사업단에 정규 인력 103명을 운영하고 있다.
토공 충북본부(본부장 전태호) 역시 지역 내 노른자 사업을 주도하기는 마찬가지다.
토공은 올해 740억 원을 투입해 충주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청주시 율량2지구 택지개발 등을 진행 중이다. 또, 오송생명과학단지의 기업 유치, 600억 원 규모의 청주 율량2지구 주변도로 공사 조기 착수 등에 역량을 모으고 있다.
◆지역사업 차질 없어야
토공, 주공 충북본부가 펼쳐 논 지역사업이 통합 논의에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다.
지역 경제계 인사들은 “양사 지역본부가 꾸려온 사업 대부분은 충북의 발전을 책임질 핵심사업들로 차질이 빚어질 땐 지역에 도미노식 악영향을 줄 것이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토공·주공 충북본부는 통합공사 출범이 인적 구조조정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에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등 정부는 통합공사가 재산과 부채, 의무와 책임, 고용승계 등을 공언하고 있지만 통합이 마무리단계에 이르면 결국 중복 기능 및 인력의 청산으로 이어질 것이란 걱정이다.
105조 원 규모의 토공·주공 통합은 택지개발, 주택 건축, 도시 조성 등 일원화된 종합계획 수립과 사업기간 단축, 원가절감, 주택 분양가 인하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현진 기자
양사 충북본부는 진천·음성 혁신도시, 충주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내 굵직한 현안사업을 주도하고 있어 중앙의 통합작업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양사의 통합작업은 지난달 30일 국회를 통과한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도 불구하고 기능 조정, 인력 통합조정, 본사 이전지 결정 등이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건전한 통합을 이루지 못할 경우 지역 내 각종 현안사업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그동안 혁신도시 사업은 토공·주공의 통합 대치로 힘을 받지 못하며 답보상태를 면치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토공·주공 충북지역 사업은
주공 충북본부(본부장 곽윤상)가 그동안 충북에서 추진해 온 사업은 지역개발사업과 주거복지사업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특히 충북의 핵심동력사업인 진천·음성 중부신도시 건설을 주도해 왔다.
이를 위해 충북본부는 올해 투자사업비는 7318억 원을 책정하고 있으며 도시개발·주거복지 등 2개 사업단 9팀, 7개 지역건설사업단에 정규 인력 103명을 운영하고 있다.
토공 충북본부(본부장 전태호) 역시 지역 내 노른자 사업을 주도하기는 마찬가지다.
토공은 올해 740억 원을 투입해 충주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청주시 율량2지구 택지개발 등을 진행 중이다. 또, 오송생명과학단지의 기업 유치, 600억 원 규모의 청주 율량2지구 주변도로 공사 조기 착수 등에 역량을 모으고 있다.
◆지역사업 차질 없어야
토공, 주공 충북본부가 펼쳐 논 지역사업이 통합 논의에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다.
지역 경제계 인사들은 “양사 지역본부가 꾸려온 사업 대부분은 충북의 발전을 책임질 핵심사업들로 차질이 빚어질 땐 지역에 도미노식 악영향을 줄 것이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토공·주공 충북본부는 통합공사 출범이 인적 구조조정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에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등 정부는 통합공사가 재산과 부채, 의무와 책임, 고용승계 등을 공언하고 있지만 통합이 마무리단계에 이르면 결국 중복 기능 및 인력의 청산으로 이어질 것이란 걱정이다.
105조 원 규모의 토공·주공 통합은 택지개발, 주택 건축, 도시 조성 등 일원화된 종합계획 수립과 사업기간 단축, 원가절감, 주택 분양가 인하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