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입학사정관제의 기준을 제시하는 종합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5일 대학 입시에서 비중이 커지는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각 대학이 공통으로 지켜야 할 전형절차 및 전형요소 예시안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대교협의 예시안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제는 사전공지와 서류심사, 심층면접·토론, 최종선발 등 4단계로 운영된다. 사전공지는 전형의 취지나 지원자격, 선발기준과 방법, 제출서류 등을 미리 안내하는 절차이다. 서류심사는 지원자격과 학생부 및 자기소개서, 추천서, 수능성적 등을 심사한다.

심층면접·토론은 학생의 잠재력과 창의성, 소질, 사고력, 인성, 적성, 교육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공통으로 반영해야 할 전형요소로는 학생의 특성과 대학의 건학이념, 학과 특성에 부합하는지 여부, 학생의 교육·가정환경, 출신 고교의 여건 등이 제시됐다.

학생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사고력(이해력, 분석력, 논리적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과 적성 및 역량(소질, 학업적성, 수학능력, 현장경험), 표현력(토론·설득력) 등을 전형요소로 활용토록 했다.

또 인성(자신감, 적극성, 리더십, 책임감, 목표지향성, 사회봉사성, 자기조절능력, 도덕성, 사회성)과 흥미(지적호기심, 열정, 학습동기), 태도(가치관, 학습태도), 잠재력, 미래성장 가능성, 전공적응 가능성 등도 제시됐다.

대학들은 이 같은 전형요소를 활용해 '다수'의 입학사정관이 참여하는 '다단계' 전형으로 학생들을 선발해야 한다.

대교협 관계자는 "대학들은 앞으로 이 예시안에 따라 각 대학의 특성과 차별화된 기준 등을 자체적으로 가미해 입학사정관을 활용한 학생선발 계획을 마련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