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대전시 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 내 근로자복지회관이 한국노총 입주 거부로 텅빈 채 재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김호열기자 kimhy@cctoday.co.kr |
|
|
수십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립한 대전 근로자종합복지관이 준공 2개월이 넘은 현재까지 입주자를 찾지 못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대전시는 서구 둔산동에 위치한 현 근로자복지관의 입주기관인 노동단체와의 협의를 끝내지도 못한 상태에서 성급히 대덕테크노밸리에 신축 이전을 추진, 스스로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9일 대전시,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시는 2008년부터 총사업비 68억 6000만 원을 투입, 유성구 관평동(대덕테크노밸리)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4758㎡ 규모의 근로자종합복지관을 지난 2월 준공했다.
시는 2005년 당시 대덕R&D특구에 기업입주가 증가함에 따라 일대 5만여 명의 근로자와 함께 대덕산업단지 내 8000여 명의 근로자들을 위한 필수시설로 근로자종합복지관 신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근로자종합복지관의 신축·이전을 기정사실화하고, 건립을 추진하면서도 시는 현 둔산동 근로자복지관의 운영 기관인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와 협의 절차를 생략한 채 사업을 강행, 현재와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
시는 이에 따라 근로자복지관 1층과 2층을 대전시건강지원센터 및 대전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우선 활용키로 하고, 지난 2월 이들 기관을 입주시켰다.
문제는 시가 '근로자종합복지관'이라는 당초 건립 성격을 살리지 못한 채 일부 시설을 복지시설로 전환하면서 지역 노동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시건강가정지원센터와 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공동 입주기관들도 노동단체 및 근로자들과의 잦은 왕래가 예상됨에 따라 민원인들의 기관 방문이 꺼려지는 등의 부작용을 벌써부터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입주기관 관계자는 "한 건물에 입주시킨 기관간 성격이 맞지 않는다"며 "결혼이민자들은 방문하는 목적 자체가 가족 내부의 비밀스런 상담을 원하고 있어 노동단체·현장 근로자들과의 충돌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가 신축된 근로자복지관이 빈 건물이라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지원센터 등의 개소식을 미루는 등 쉬쉬하고 있어 시민들에게 홍보를 많이 해야 하는 입장에서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속내를 털어놨다.
한국노총 지역본부 관계자는 "대전시의 청사 재배치 계획에 따라 이전해야 한다는 명분에는 동의하지만 근로자복지회관이라는 건립 성격에 맞지 않는 건물에는 입주할 수 없다"며 "접근성과 편리성도 떨어지고, 단일 건물도 아닌 상황에서 쫓겨 가듯이 둔산에서 대덕테크노밸리로 무작정 옮길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우선 현 둔산동 근로자복지관의 운영 계약이 오는 6월 말로 종료되기 때문에 지방선거가 끝난 뒤 다시 논의키로 했다"며 "만약 한국노총 지역본부가 이전을 거부한다면 신설 근로자복지관을 탁구장 등 체육시설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