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에 구제역이 발생한 지 벌써 반년이 지났다. ▶관련기사 3면 지난 4월 홍성을 마지막으로 구제역이 발생된 지 93일 만에 종식이 선언됐지만, 구제역이 남기고 간 상처가 쉽게 아물지 않고 있다. 47만 마리에 육박하는 많은 가축을 차가운 땅속에 묻으며 도민들이 치러야 했던 심리적·물질적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특히 구제역이 종식된 지 100일이 넘고 있지만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은 여전하다. 막대한 피해를 딛고 다시 일어서기 위해선 무엇보다 재입식을 통한 축산 정상화가 요구되지만 지난 5월 30일 현재 재입식률은 전체의 42%에 그치는 등 회복은 더디기만 하다. 또 피해 농가 지원도 66%에 머무는 수준으로 축산농가들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다. 충청투데이는 구제역 발생 6개월을 맞아 3차례에 걸쳐 피해 상황을 재점검하고 축산농가들의 건강한 회복을 위해 나가야 할 길을 모색해 본다. |
① 사상 최악의 피해, 계속되는 고통
2010년 11월 28일, 사상 최악의 구제역이 경북 안동을 기점으로 발생했다.
안동을 시작으로 같은해 12월 14일에는 경기도로 전파된 후 강원과 인천, 그리고 충북을 거쳐 올 1월 1일 충남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진 구제역은 11개 시·도 75개 시·군을 강타하며 총 153건으로 확산되는 등 유례 없는 피해 규모를 기록했다.
충남도는 안동발 구제역이 일파만파로 퍼지자 지난해 12월 29일 ‘심각단계’를 발령하고,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에 돌입했다.
그러나 결국 올해 1월 1일 천안을 시작으로 9개 시·군으로 확대됐고, 총 16건의 구제역이 발생하는 피해를 입었다.
살처분 피해도 막대 했다.
도내 가축농가 중 427농가가 구제역으로 인해 소 2298마리, 돼지 46만 3726마리, 염소 69마리, 사슴 57마리 등 46만 3726마리를 차가운 땅에 묻어야만 했다.
당진의 경우 101농가에서 13만 6352마리를 살처분 해야 했고, 천안은 74농가 10만 8855마리를, 보령 42농가 8만 9352마리, 예산 38농가 4만 2022마리 등 지역별로 지속적인 살처분이 진행됐다.
구제역 신고 역시 폭발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구제역 증상이 의심돼 접수된 건은 홍성이 129건, 당진 73건, 천안 66건 등 도내 10개 시·군에서 총 366건이 발생했고, 이 가운데 16건은 구제역으로 확진됐고, 임상증상 발현만 350건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 충남도는 상황 종식을 위해 도내 14개 시·군 1만 8000농가 187만 마리를 이동제한 대상으로 정하고 구제역 전파 경로 차단에 주력했다.
당진을 비롯해 홍성 등 축사가 있는 지역으로 진입하는 주요 도로에는 311개에 달하는 통제초소가 설치됐고, 이동제한을 비롯해 각종 방역 업무를 위해 공무원과 경찰, 군인, 민간인 등 총 15만 3000여 명의 방역팀이 투입됐다.
방역비만 해도 275억 원이 소요됐다.
게다가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총 604만 3000마리를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2차례 거쳐 실시하는 등 정신적·물질적 고통도 컸다.
결국 구제역 발생 93일 만인 4월 3일 홍성을 마지막으로 전 시·군의 이동제한 해제와 함께 구제역과의 사투는 겨우 마무리 됐다.
그러나 아직 구제역이 남긴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축산농가의 회생을 위해 필요한 피해농가 지원도 50%를 밑돌고 있으며 재입식 역시 50%수준에 머물고 있다.
게다가 구제역 피해로부터 축산업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EU(유럽연합) FTA도 발효돼 앞날이 어둡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으로 피해를 입은 축산농에 대한 피해 지원이 50%에 그치는 수준이며 재입식 역시 돼지 가격 상승과 소 값의 지속적 하락 등 시장적 요인에 의해 순조롭지 못하다”며 “FTA 발효라는 악재까지 겹친 상황으로 축산농가의 지속가능한 유지와 발전을 위해 종합적인 검토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