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도내 지자체 간 업무 협조가 엇박자를 내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충남도는 앞서 도내 16개 시·군에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후 지난달 말까지 제출할 것을 통보했으나 5일이 넘도록 일부 시·군은 미동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도 본청과 시·군 간 업무 협조에 불협화음이 나오자 충남도 민선 5기 도정 철학인 ‘소통과 대화’가 한계를 보이는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5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16개 시·군에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해 6월 30일까지 도에 통보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5일 현재 9개 시·군만 조사결과를 보냈다.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는 충남도와 정부가 함께 실시하는 것으로 지난해 충남도로 귀농한 324가구에 대해 주거와 영농실태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것이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를 위해 지난달 15일 각 시·군에 정식으로 협조할 것을 통보했고, 6월 30일까지 전 시·군의 조사결과물을 취합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확인 결과 취합 날짜가 경과한 5일 현재 단 9개 시·군만 접수했다.

이 외에도 도와 시·군이 업무적으로 조율되지 않은 사례는 종종 발견된다.

이 외에도 도는 그동안 ‘세종시 상생발전 사업 발굴’과 ‘도 인삼공동상표인 GinsQ(진스큐) 참여 업체 발굴 사업’ 등을 놓고 각 시·군에 업무 협조를 당부했으나, 일선 시·군이 보고를 늦춰 제때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는 등 지속적인 엇박자를 보여 왔다.

도는 ‘세종시와 상생발전 사업 발굴’을 위해 각 시·군을 대상으로 사업안 제출을 요구했으나 당초 사업안을 취합하기로 한 3월 28일까지 단 한 건의 사업도 접수되지 않았었다.

이와 관련 도는 각 시·군을 상대로 발전안 제출을 거듭 촉구했지만 4월이 넘어서야 겨우 일부 시·군이 응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세계인삼엑스포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가 인삼공동상표로 ‘GinsQ’를 고안해 각 시·군에 이 상표를 사용할 업체를 파악해 줄 것을 당부했으나 단 한 건의 보고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민 정무부지사는 “시·군으로부터 업무보고가 제때 들어오지 않는 것은 아직 행정서비스의 수준이 떨어지는 것을 반증한다”며 “업무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방안을 고민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지방자치제도가 실행되기 전에는 도와 시·군 관계가 서열화돼 업무 협조가 잘됐었다”며 “도와 각 시·군이 불협화음을 보이고 있는 것은 지방자치제도 실행 후 민선 단체장이 선출되며 도와 지자체 간의 위계질서가 애매해 졌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