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전·충청권 공기업들이 '제2의 엑스포' 사태를 우려하며, 초긴장 상태다.
27일 행정안전부, 대전시, 지방공기업경영정보공개시스템 등에 따르면 최근 행안부는 이명박 대통령 지시에 따라 지방공기업의 자금수지·사업분석 등을 통한 재무 안전성 및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5일부터 오는 12월 3일까지 전국 16개 시·도 산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행안부는 이번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무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컨설팅 방식으로 자체개선이 가능한 지방공기업은 약식진단을, 심층 분석이 필요한 경우는 정밀진단 등 2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지방공기업별로는 대전도시공사와 충남개발공사, 충북개발공사 등이 정밀진단기업으로 분류됐으며, 약식진단기업으로는 대전도시철도공사 등이 포함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공기업 부채관계에 문제가 있는지를 컨설팅 차원에서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일단은 문제 지적보다는 이정표 역할을 하겠지만 재정 문제가 심각할 경우 청산명령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전·충청권 지방공기업들은 모두 자사의 재무안전성을 검토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지난 2008년 당시 '엑스포과학공원 공사의 법인 청산 명령' 악몽을 되새기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전·충청권 지방공기업의 경영 성적표가 그다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 대전도시철도공사의 경우 임원 1인당 평균 인건비(지난해 기준)는 8692여만 원이며, 직원 1인당 평균 인건비는 4209여만 원 등으로 지방공기업 중 상위권에 랭크된 반면 영업적자는 503억 6300만 원, 당기순이익은 417억 3500만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대전도시공사도 임원 1인당 평균 인건비(지난해 기준)는 9128여만 원이며, 직원 1인당 평균 인건비는 4788여만 원 등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부채비율(부채합계/자본합계)은 지난 2005년 141%에서 지난해 200%로 59%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건실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사업성이 낮은 신규 사업은 시행 시기를 조정하겠다. 다만 제2의 엑스포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재정건정성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긴장을 끈을 놓지 않았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27일 행정안전부, 대전시, 지방공기업경영정보공개시스템 등에 따르면 최근 행안부는 이명박 대통령 지시에 따라 지방공기업의 자금수지·사업분석 등을 통한 재무 안전성 및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5일부터 오는 12월 3일까지 전국 16개 시·도 산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행안부는 이번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재무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컨설팅 방식으로 자체개선이 가능한 지방공기업은 약식진단을, 심층 분석이 필요한 경우는 정밀진단 등 2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지방공기업별로는 대전도시공사와 충남개발공사, 충북개발공사 등이 정밀진단기업으로 분류됐으며, 약식진단기업으로는 대전도시철도공사 등이 포함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공기업 부채관계에 문제가 있는지를 컨설팅 차원에서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일단은 문제 지적보다는 이정표 역할을 하겠지만 재정 문제가 심각할 경우 청산명령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전·충청권 지방공기업들은 모두 자사의 재무안전성을 검토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지난 2008년 당시 '엑스포과학공원 공사의 법인 청산 명령' 악몽을 되새기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전·충청권 지방공기업의 경영 성적표가 그다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 대전도시철도공사의 경우 임원 1인당 평균 인건비(지난해 기준)는 8692여만 원이며, 직원 1인당 평균 인건비는 4209여만 원 등으로 지방공기업 중 상위권에 랭크된 반면 영업적자는 503억 6300만 원, 당기순이익은 417억 3500만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대전도시공사도 임원 1인당 평균 인건비(지난해 기준)는 9128여만 원이며, 직원 1인당 평균 인건비는 4788여만 원 등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부채비율(부채합계/자본합계)은 지난 2005년 141%에서 지난해 200%로 59%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건실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사업성이 낮은 신규 사업은 시행 시기를 조정하겠다. 다만 제2의 엑스포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재정건정성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긴장을 끈을 놓지 않았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