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갑천변 하상주차장으로 내려가는 통로가 출입통제 푯말과 함께 공사차량 출입로로 사용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대전의 대표적 관문인 ‘엑스포 도로’가 고질적인 불법 주정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전시의 갑천1지구 생태조성사업과 맞물려 시행된 갑천변 하상주차장 폐쇄로 인해 주차차량이 일부 구간을 점령하면서 왕복 6차선 대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특히 대전시가 아무런 사후 대책없이 하상주차장을 갑자기 폐쇄했고, 관할 지자체는 사실상 단속 자체를 포기하고 있어 이 같은 불법 주정차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대전컨벤션센터(DCC) 앞 양쪽 도로변을 시작으로 이 일대는 엑스포 다리 등 갑천변을 찾는 가족 나들이객을 비롯, 연인들로 북적이며 불법 주정차 차량들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한 번에 수십여 대의 차량들이 아슬하게 양면 2개 차로를 점거하고 있는 것은 물론 2차로의 절반을 점거한 차량들도 이 곳에서는 당연시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이곳을 오가는 운전자들의 차량소통 방해는 물론 전방 시야를 가리면서 교통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고 있다.
   
▲ 26일 엑스포로에 불법주정차 차량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엑스포로는 직선 6차선 대로라는 특성상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고속주행을 일삼고 있어 불법 주정차 차량들로 갑자기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 반대편 차로에 불법 주정차를 하고, 무단횡단을 하는 운전자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차량과의 충돌 등 아찔한 순간이 잦아지고 있다.

이 모(36·서구 만년동) 씨는 “이 일대는 이미 오래전부터 불법 주정차 차량들이 점령한 지 오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고위험을 수시로 겪고 있지만 관할 구청의 단속은 커녕 계도조차 찾아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지역 내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있는 대전무역센터와 DCC 등 각종 공공시설이 밀집해 있는 특성상 행사 시에는 이 일대의 주차난이 더욱 심각하다.

문제는 관할 지자체의 단속은 전무한데다 하상주차장을 통제한 대전시는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는 뒷짐만 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할 자치구 관계자는 “인력부족 등 실질적으로 단속을 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라며 “앞으로 계도조치에 이은 단속에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대전시 하천관리사업소 주도로 하상주차장을 폐쇄했기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시는 관여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주변 대전컨벤션센터 등의 주차장에 주차를 하면되는데도 도로변에 불법 주정차를 하는 일부 시민들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는 내년도 취약계층 일자리창출을 시정의 주요 과제로 정하고, 이를 위한 정책사업 발굴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오는 2014년까지 100개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내년에는 전년대비 20억 원이 증액된 38억여 원의 예산을 편성, 모두 55개의 사회적 기업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또 풀뿌리형 사회적 기업 육성의 이전 단계로서 자립형지역공동체사업에 대한 예산 투입도 확대키로 하고, 내년에 3억여 원이 증액된 7억 80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해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 참여단체가 성공적으로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의 경우 정부계획인 1842명보다 1600여 명이 많은 3400명을 선발·추진 중에 있으며, 국비 지원액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비의 지방비 비율을 높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에 전국적으로 국비지원이 감소한 것에 대비해 시 자체적으로 공동체기반의 일자리창출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한 취약계층 일자리창출에 보다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해방 이후 60여년간 건축물과 산업구조물 등 대전지역 근대문화유산 대부분이 파손 또는 멸실돼 보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대전시와 근대문화유산 등록화 조사 보고서 등에 따르면 개화기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지어진 건축물 중 역사적 보존 가치가 있는 대전지역 근대문화유산은 모두 886건에 달했지만 이 중 무려 710건이 멸실돼 176건 만이 현존하고 있었다.

분야별로는 교육시설 141건 중 131건이 멸실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종교시설은 62건 중 49건, 의료시설은 38건 중 35건, 업무시설은 223건 중 194건, 숙박시설은 10건 중 9건, 주거시설은 54건 중 23건 등이 멸실됐다.

특히, 비교적 보존이 유리한 교육시설의 경우 지난 1938년 건립돼 2002년 대전시문화재자료 제50호로 지정된 한밭교육박물관 등 10건 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이처럼 근대문화유산 대부분이 제대로 보존되지 않고 훼손·파손 또는 멸실된 이유는 대전의 도시확장 과정과 궤를 같이 한다.

국보나 보물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했던 근대문화유산들은 정부나 지자체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도심의 노른자위에 위치해 각종 개발사업으로 땅값이 폭등해 점차 헐려 나가기 시작했고 그 자리에는 고층빌딩과 아파트가 들어차게 됐다.

이에 따라 개항이후 일제강점기까지 우리 근현대사의 생활양식 등을 담고 있던 건축물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됐고 역사성이 있는 도시의 모습도 신도시처럼 변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문제는 근대문화유산의 멸실에 대해 별다는 대책없이 ‘사유재산’이란 이유로 방관하면서 사료적 보존가치가 높은 등록문화재나 지정문화재까지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재 건축물 등이 등록문화재나 지정문화재가 되기 위해서는 근대문화유산 중에서 대상을 선정하게 돼 있지만 근대문화유산 자체가 사라지게되면 등록이나 지정할 문화재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등록문화재나 지정문화재도 이익 우선의 개발 논리에 밀려 원형 보존 대신 당장의 개발 갈등을 피할 수 있는 ‘해체 후 이전 복원’ 방법을 택하면서 원형 훼손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최근 불거진 ‘뾰족집’의 무단 철거 사건 역시 개발업자들의 개발논리가 근대문화유산을 얼마나 경시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목원대 건축학과 김정동 교수는 “뾰족집 문제에 있어서도 지속적으로 원형 보존 개발을 주장했지만 비용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해체 후 이전 복원 방법을 택한 것”이라며 “도시의 역사성과 정통성은 물론 관광 등 경제가치가 높은 근대건축물들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충남지역 소비자들의 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이달 지역의 소비자들이 느끼는 현재생활형편CSI(소비자심리지수)는 95로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 소득 계층별로는 월 소득 100만 원 이하가 74로 전월(90)보다 무려 16포인트나 급락했고, 월 100만 원 대 소득 계층도 84포인트로 전월보다는 소폭 올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향우 6개월간의 소득을 나타내는 가계수입전망도 전월보다 2포인트 내린 99로 낮아지며 기준치(100)를 하회했다.

경기에 대한 인식도 나빠지고 있다. 지역 소비자들이 느낀 현재경기판단 지수는 99로 전월(104)보다 5포인트 내렸다. 특히 월소득 300만 원 이하 계층의 경기판단 지수는 76~92으로 전월보다 크게 내리며 기준치를 한참 밑돌았다. 향후 경기전망지수 역시 108로 올들어 최저치로 떨어지며 불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저출산 여파로 초등학생 숫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40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해 조사한 '2010 교육기본통계'를 발표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유·초·중·고교 학교 수는 1만 9850개로 지난해보다 94개가 늘었다.

유·초·중·고교 학생 수는 782만 2882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20만 9082명(2.6%)이 줄었다.

이는 2000년대 교육통계조사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특히 초등학생은 지난해보다 17만 5301명이 감소한 329만 9094명으로 지난 1970년(574만 9301명)과 비교해 57.4%에 불과했다.

고교생 숫자도 196만 2356명으로 지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이 21명, 초등학교 26.6명, 중학교 33.8명, 고교 33.7명으로 작년보다 0.5~1.2명 감소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도 유치원 14.8명, 초등학교 18.7명, 중학교 18.2명, 고교 15.5명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다. 전문계고의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13.1명으로 가장 적었다. 일반대와 전문대, 산업대, 교육대, 사이버대학 등의 학생 수는 364만 4158명으로 지난 2006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2003년부터 감소추세였던 전문대 재적학생은 6158명이 증가해 76만 7087명으로 집계됐다. 대학 계열별 입학생 비율은 일반대의 경우 인문사회계열이 44.8%, 공학계열이 25%, 자연과학계열 18.4%, 의학계열 11.7% 등의 순을 나타냈다.

학위과정에 있는 유학생의 출신 국가로는 중국이 4만 5944명(76.6%)으로 가장 많았고 몽골이 2196명(3.7%) 베트남 1667명(2.8%), 일본 1350명(2.3%) 등의 순을 나타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시중에 홍삼이 들어가지 않은 가짜 ‘홍삼캔디’가 유통되고 있다.

특히 홍삼 성분을 허위 표시한 것으로 적발된 5업체 중 대전과 충북지역 업체가 3곳이나 포함돼 있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제조 원가를 낮추기 위해 홍삼 성분을 전혀 넣지 않거나 표시량 보다 적게 넣어 홍삼캔디 등을 제조·판매한 식품제조업자 5명을 식품위생법 제13조(허위표시등의 금지)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적발된 제품은 ‘고려홍삼감귤캔디’, ‘풍기홍삼캔디’ 등 사탕제품과 ‘고려홍삼초콜릿비타민크런치’, ‘고려홍삼초콜릿’ 등 모두 17개 제품으로 이들 제품은 지난해부터 시가 7억 원 상당이 판매됐다.

이번에 적발된 내용을 보면 충북 진천군 소재 홍삼시대는 ‘고려홍삼감귤캔디’ 등 캔디류 3개 제품과 ‘고려홍삼초콜릿비타민크런치’등 초콜릿 2개 제품에 홍삼농축액과 분말의 함량을 허위 표시해 시가 4억 822만 원 상당을 판매했다.

충북 충주시 소재 정일품제는 ‘풍기홍삼캔디’등 4개 제품에 홍삼농축액 0.01%를 넣고 홍삼농축액 0.3%로 함량을 허위 표시해 시가 1억 192만 원 상당을 판매, 대전 동구 소재 (주)머꼬보꼬는 ‘홍삼캔디’ 제품에 홍삼농축액을 전혀 넣지 않고 홍삼농축액 0.5%가 들어있는 것처럼 허위 표시해 2009년 8월부터 시가 578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식약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원가를 줄이기 위해 고의적으로 원재료 함량을 속여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에 대해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이하 대덕특구본부) 이사장직에 그동안 내정설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전 기획재정부 고위공무원이 선임되면서 파장이 예상된다.

대덕특구본부는 26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제3대 대덕특구지원본부 이사장에 이재구(52) 씨를 만장일치로 선임했다.

신임 이 이사장은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행정고시를 거쳐 기획재정부 고위공무원을 역임했고, KAIST에서 기술 및 R&D관리 석사학위와 성균관대에서 산업조직론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신임 이 이사장은 지난 7월 강계두 전 이사장의 돌연 이임 직후부터 차기 이사장 내정설의 주인공으로 공공연하게 회자됐다.

결국 이번 이사회에서 논란의 주인공이 이사장으로 정식 결정됨에 따라 대덕특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임 두 명의 이사장이 모두 자신들의 향후 입지를 위해 중도 하차하면서 대덕특구의 발전에 악영향을 줬다는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전임 이사장들이 모두 임기도 채우지 못한 채 중도하차했을 뿐만 아니라 대덕특구와 경쟁 관계에 있는 대구와 광주로 자리를 옮겨 지역의 공분을 낳기도 했다.

게다가 이번 이사장 공모과정에서도 대덕특구본부는 공정성을 위한 후보자 명단 공개 요구까지 거부한 바 있어 의구심을 키웠다.

이런 가운데 3대 이사장마저 낙하산 논란의 중심 인물이 선임되면서 이를 바라보는 시각도 더욱 날카로워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임 이 이사장이 본격적인 업무를 통한 능력이 검증되기도 전에 부정적인 시각으로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도 내비치고 있다.

모 기관 관계자는 “신임 이사장의 경력이나 학력 등을 고려할 때 대덕특구에 긍정적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임기를 시작도 하기 전에 적절성을 논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은 “정부가 국가 미래 기반인 대덕특구를 이끌어 갈 이사장직을 퇴직공무원 자리보전용 정도로 전락시키고 있다”며 “대덕특구 이사장이 역량과 리더십을 가진 적임자가 절실한 시점에서 또 다시 과거 이사장의 행태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티즌은 27일 오후 7시 포항스틸러스를 대전월드컵경기장으로 불러들여 ‘2010 K-리그’ 27라운드 경기를 갖는다.

최근 원정 두 경기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하며 승점 2점을 챙기고 돌아온 대전은 홈에서 만큼은 반드시 승리를 거둬 승점 3점을 추가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대전은 포항과의 통산전적에서 8승 15무 18패로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4경기에서는 1승 3무로 앞서있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다.

특히, 대전은 지난 9일 인천전에서 0-3으로 끌려가던 상황에서도 끝까지 경기를 포기하지 않고 극적인 3-3 동점을 만드는 등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고 있다.

대전은 이번 경기에 '마에스트로' 권집을 중앙 미드필더로 배치하고 전체적인 경기 주도권을 잡는 전술을 예고하고 있다.

부드러운 경기조율과 날카로운 패스를 앞세운 권집은 최근 든든한 후방지원과 헌신적인 플레이로 대전의 공수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여기에 스피드와 활동량이 좋은 김성준과 이경환이 허리를 받쳐주면서 상대적으로 파괴력이 부족한 공격진을 보완해주고 있다.

하지만 대전은 성남전에서 팔꿈치 인대 부상을 당한 한재웅의 출전이 불가능해 측면 전력누수를 해결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대전과 맞서는 포항은 최근 5경기에서 1승에 그치는 부진으로 6강 플레이프 진출이 좌절되면서 선수들의 사기가 꺾인 상태다.

특히, 포항은 주전수비수 황재원이 수원으로 이적하면서 수비라인의 급격한 불안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도안생태호수공원 등 지리적인 입점이 돋보였던 도안신도시에 조성된 7블록 공동주택용지 매각에 한곳도 입찰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7블록 매각 불발은 건설경기 침체가 부동산 호재를 뛰어넘지 못한 결과로 업계는 풀이하고 있다.

26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입찰을 마감한 결과, 한곳도 입찰에 응하지 않아 내달 1일부터 선착순 수의계약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에 매각하려고 했던 7블록은 LH 자체 주택건설용지로 사용하기 위해 계획되었던 공동주택용지로 대지면적이 7만 452㎡, 공급예정가격은 1110억 원이었다.

주택건설규모는 60㎡~85㎡이하로 1102호를 건설할 수 있으며 대금납부조건은 2년 무이자할부(6개월납 4회)로 공급하고 같은 조건을 적용해 대금을 납부약정일보다 선납하는 경우에는 선납일수에 선납할인율(연 6%)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에따라 계약시 일시납으로 납부하는 경우 공급가격보다 약 6.75% 정도의 가격할인 혜택을 볼 수 있는 가격적인 장점도 있었지만 건설경기 침체라는 벽을 넘지는 못했다.

LH는 더이상의 조건완화 등으로 매각을 검토하지 않은채 내달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선착순 수의계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때까지도 매각의사를 나타내는 업체가 없을 경우 LH 주택건설 재추진도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6년만에 처음 10월에 한파주의보가 떨어졌다.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바람이 강하게 불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이로 인해 중부지방의 체감온도는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졌다.이번주 내내 초겨울 추위가 이어진다고 하니 겨울 아이템을 활용할 때다. 올 가을·겨울에는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보온성은 한층 업그레이드 된 아이템들이 대거 출시되고 있다. 특히 패딩은 올 겨울 핫 아이템으로 주목받으면서 점퍼뿐 아니라 베스트, 신발에 까지도 활용된다.갑작스런 추위에 몸도 마음도 움츠려들기 십상이지만 춥다고 멋까지 포기할 수 없는 당신을 위한 아이템을 소개한다.

   
◆겨울 필수 아이템, 부츠로 추위를


매년 추위가 다가오면 부츠를 신을 여성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너도나도 신는 부츠, 좀 더 특별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이번 겨울 시즌에는 패딩부츠, 쁠뤼부츠 등 다양한 스타일의 부츠들이 선보였다.

눈에 띄는 독특한 스타일의 부츠는 다른 포인트 아이템이 없이 부츠 하나로도 충분히 스타일을 낼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부츠가 인기를 얻고 있다.

레인부츠와 퍼(fur)가 합쳐진 ‘쁠뤼부츠’는 프랑스어로 ‘비’라는 뜻의 레인부츠다.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디자인을 강조하고 니트 소재와 퍼가 천연고무와 믹스 매치돼 있다.특히 뛰어난 방수 기능과 유연성으로 추운 날씨에도 딱딱해지지 않고 발을 감싸 뛰어난 착화감까지 느낄 수 있는 아이템이다.

패딩은 옷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츠에도 접목된다.

발수, 발포가 되는 특수소재인 올란텍스를 사용하고 트렌디한 디자인에 기능성 까지 겸비한 패딩부츠는 디자인, 내구성, 독창성 삼박자를 모두 갖췄다. 올 겨울에는 패션성과 고기능성을 겸비한 부츠들이 대거 등장해 여성들이 따뜻하게 멋을 낼 수 있을 것이다.

◆패딩 베스트, 스타일과 보온성을 동시에


갑작스런 한파에 아직 여유롭게 느껴졌던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추위를 이겨내야 하는 겨울, 저렴한 가격과 편안한 스타일로 매년 사랑받는 아이템 '패딩'은 인기 아우터 중 하나다.아직 10월이라 두툼한 패딩이 부담스럽다면 패딩 베스트는 어떨까?

패딩 베스트는 패딩 점퍼에 비해 좀 더 가벼워 보이고 활동적으로 보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뚱뚱해 보인다는 패딩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온 성능도 뛰어나 매우 실용적이다.

최근 이러한 패딩 베스트가 소재와 컬러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되고 있어 포인트 아이템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패딩 베스트를 두꺼운 후드와 매치하면 캐주얼한 느낌을 낼 수 있고 얇은 소재의 니트나 티셔츠를 레이어드하면 심플하고 가벼운 연출할 수 있다.

또한 화려한 컬러의 패딩 베스트에 톤 다운된 도톰한 코듀로이 소재의 레깅스나 스커트로 포인트를 주거나 밝은 톤의 체크 셔츠와 매치하면 상큼발랄한 연출이 가능하다.

◆올 겨울, 양털 아이템에 도전

이번 시즌에는 양털로 만든 시어링(shearing)패션이 대세다.

양털 패션은 포근한 곱슬곱슬한 모양의 털로 따뜻한 보온감과 저렴한 가격대로 모피(Fur) 대신 입을 수 있고 패셔너블해서 젊은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양털은 재킷부터 베스트, 스커트까지 다양한 아이템에 활용되고 있어 폭넓은 선택이 가능하고 보다 쉽게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고급스럽게 입고 싶다면 긴 양털 코트를 입어보자. 차분한 느낌의 양털코트는 부피감을 줄여 압축시킨 양털을 사용하거나 가죽 재킷에 양털트리밍을 가미해 경량감과 보온성이 탁월한 것이 특징이다. 양털 아이템은 롱 코트 외에도 크롭트 재킷, 베스트, 스커트 아이템에서도 두루 쓰이고 있다.

소녀적인 느낌의 블라우스에 양털스커트를 매치하면 여성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밑단과 후드, 안감에만 양털이 들어간 가죽베스트는 투피스나 원피스 어디에나 매치 가능하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