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도민대토론회’에서 이병규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장은 ‘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신약개발 R&D활성화가 첨단의료복합단지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며 “오송생명과학단지 신약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작업 착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유 소장은 오송첨복단지 성공적 조성을 위해 R&D인프라 구축 시급 이외에 △국내 연구개발능력개발 보유 제약사 연구소·해외R&D센터 유치노력 강화 △전방위적 신약개발이 가능한 연계 고리망 구축 △지원서비스 강화 및 규제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홍진태 충북대 약학대학 교수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을 위한 정책과 과제’ 주제발표에서 신약개발지원센터 특성화방안으로 오송의 질환군(암·감염성 질환 등)을 기준으로 한 특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 교수는 질환군 기준 특화방안에 대해 △신약개발 중심의 연구활성화 △연구역량의 전문성 확보 용이 △기초원천연구와 연계 용이 △합성·바이오간 중복인프라(평가) 공동활용 △합성·바이오간 연구개발 시너지효과 △글로벌기업, 국가지원 모델과 합치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질환별 특화된 신약개발관련 주변 연구역량을 단점으로 꼽았다.
또 홍 교수는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특성화방안으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의료기기 품목군을 기준으로 지역 역량과 현대의료의 경향을 고려해 특화해야 한다”며 BT/BIT기반의 첨단의료기기 집중지원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경기 충북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첨복단지 유치와 충북발전 전략'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연구개발, 임상시험, 인·허가, 생산유통시설이 집적화하는 오송 첨복단지를 의료산업, 바이오·신소재 산업 등 내륙첨단산업벨트 내 바이오산업 핵심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이 위원은 "인근 세종시와 의료·복지기능의 연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KTX 오송경제권의 시범 지역으로 육성하고, 장래 오송 확장 부지를 국가산업단지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