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취재 결과, 교과부는 전국 7개 시·도가 유치경합을 벌이던 과학영재학교 심사시 영재교육 인프라의 지역 균형배치 항목을 애당초 배제하고 평가에 들어갔던 것으로 25일 파악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본보와 전화통화에서 “영재학교 심사과정에서 지역 안배는 고려하지 않았다”며 “지역 안배를 고려할 경우 영재교육을 잘 시키자는 목적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본보가 제기한 과학영재학교 수도권·영남 특혜 의혹에 대해 “기존 과학영재학교(서울, 부산)의 입지를 떠나 각 지역별로 과학영재교육을 얼마나 잘할 수 있나에 심사의 초점이 맞춰졌다”며 “평가위원회에서 시·도별 점수를 냈고, 교과부는 평가위 점수를 토대로 순위만 매겼을 뿐”이라고 밝혔다.
교과부는 지역 안배 항목 배제 이유에 대해 영재교육 특성상 지역 안배를 할 수 없는 정책적 명분을 내세웠으나 이를 그대로 수긍하기엔 석연치 않은 부분이 적잖아 또 다른 논란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역차별과 편중없는 교육 인프라 구축은 절체절명의 교과부 존립 근거인데다 교과부가 지역 안배를 고려치 않았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중부권, 호남권엔 전무한 영재교육 인프라를 수도권과 영남만 중복되게 밀어준 꼴이 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과학영재학교의 지역간 균형적 배치론은 대전의 경우 의회까지 나서 줄기차게 요구했던 사안이다.
일각에선 지역 균형배치 항목이 포함될 경우 이미 영재학교가 위치한 수도권, 영남의 불리가 명약관화해지고 사실상 대전 유치가 기정사실화돼 이를 차단하기 위한 포석이란 의혹어린 시선도 제기되고 있다.
책임회피를 위한 시간끌기 식 행태로 일관하는 교과부의 대응태세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영재학교 심사와 관련한 교과부의 투명성이 이미 흠집이 난 상태고, ‘영재교육여건이 대전보다 우수하다’란 원론적 입장 외엔 아직까지도 대구·경기가 대전보다 앞선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해 교육계의 갈등과 불신, 의혹만 양산하고 있다.
김신호 대전시교육감도 지난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결과는 화살을 쏜 후 그에 맞춰 과녁을 그린 것 같은 느낌”이라며 “의혹이 있다면 깨끗하게 털고 가야 한다”고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 차원에서 평가의 기준과 항목 등을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