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수출·벤처기업들이 황금연휴를 반납한 채 제품생산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해외 주문량을 기한 내 맞추기 위해 공장을 풀가동하는가 하면 점차 늘어나는 내수 주문량에 대비, 생산라인을 멈추지 않는 등 분주한 연휴를 보내고 있다.
3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소위 잘 나가는 수출중소기업들은 지난 1일 근로자의 날부터 5일 어린이날까지 최장 닷새간의 연휴기간에도 쉬지 않고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벤처기업들도 최적의 인원을 생산라인에 배치, 평일 생산량을 맞추고 있다.
수출 비중이 80%를 넘는 대덕특구 A업체는 지난해부터 수주한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연휴기간에 공장을 전면 가동키로 노사가 합의했다. 업체 관계자는 “많은 기업이 노동절이 낀 이번 황금연휴에 직원들을 쉬게 했지만 우리는 공장 가동을 위한 최적의 인원을 근무토록 하는 데 노사가 의견의 일치를 봤다”며 “휴일근무는 물론 연장근무까지 하겠다고 나서는 직원들의 열정이 남다르다”고 말했다.
반도체 부품 생산업체인 B업체 역시 미국시장을 중심으로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 일요일인 3일을 제외하곤 평일처럼 근무하며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간 상태다
국내시장도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예상되는 주문량에 대비, 생산라인을 가동하는 기업도 있다.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C업체는 미국, 캐나다 시장뿐 아니라 유럽, 중국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꾀하며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생산라인을 풀가동, 재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량기업을 중심으로 한 이 같은 경기회복 조짐은 자금난이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이고 위안화, 엔화 강세에 따른 환율효과로 수출제품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대덕특구 기업들의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해외 주문량을 기한 내 맞추기 위해 공장을 풀가동하는가 하면 점차 늘어나는 내수 주문량에 대비, 생산라인을 멈추지 않는 등 분주한 연휴를 보내고 있다.
3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소위 잘 나가는 수출중소기업들은 지난 1일 근로자의 날부터 5일 어린이날까지 최장 닷새간의 연휴기간에도 쉬지 않고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벤처기업들도 최적의 인원을 생산라인에 배치, 평일 생산량을 맞추고 있다.
수출 비중이 80%를 넘는 대덕특구 A업체는 지난해부터 수주한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연휴기간에 공장을 전면 가동키로 노사가 합의했다. 업체 관계자는 “많은 기업이 노동절이 낀 이번 황금연휴에 직원들을 쉬게 했지만 우리는 공장 가동을 위한 최적의 인원을 근무토록 하는 데 노사가 의견의 일치를 봤다”며 “휴일근무는 물론 연장근무까지 하겠다고 나서는 직원들의 열정이 남다르다”고 말했다.
반도체 부품 생산업체인 B업체 역시 미국시장을 중심으로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 일요일인 3일을 제외하곤 평일처럼 근무하며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간 상태다
국내시장도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예상되는 주문량에 대비, 생산라인을 가동하는 기업도 있다.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C업체는 미국, 캐나다 시장뿐 아니라 유럽, 중국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꾀하며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생산라인을 풀가동, 재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량기업을 중심으로 한 이 같은 경기회복 조짐은 자금난이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이고 위안화, 엔화 강세에 따른 환율효과로 수출제품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대덕특구 기업들의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